1. 오온(五蘊)
‘온(蘊)’이라고 하는 것은, 즉 오온(五蘊)을 말한다.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색(色)ㆍ수(受)ㆍ상(想)ㆍ행(行)ㆍ식(識)이다.
이 가운데 색(色)이란 다섯 가지 감각기관[根]과 다섯 가지 인식 대상[境]이다.
감각기관이란 눈ㆍ귀ㆍ코ㆍ혀ㆍ몸이다.
인식대상이란 빛깔ㆍ소리ㆍ냄새ㆍ맛ㆍ촉감이다.
안식(眼識)이 의지하는 것은 청정한 안근(眼根)이다.
이식(耳識)이 의지하는 것은 청정한 이근(耳根)이고,
비식(鼻識)이 의지하는 것은 청정한 비근(鼻根)이고,
설식(舌識)이 의지하는 것은 청정한 설근(舌根)이며,
신식(身識)이 의지하는 것은 청정한 신근(身根)이다.
색(色)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으니,
현색(顯色)과 형색(形色)이다.
현(顯)이란 ‘푸름[靑]’ 등이고, 형(形)이란 ‘길다[長]’ 등이다.
소리[聲]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으니,
집수대종(執受大種)과 부집수대종(不執受大種), 그리고 집수대종과 부집수대종을 모두 갖춘 구대종(俱大種)이다.
냄새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으니,
좋은 냄새와 나쁜 냄새이다.
맛에는 여섯 가지 종류가 있으니,
쓴맛ㆍ신맛ㆍ단맛ㆍ매운 맛ㆍ짠맛ㆍ싱거운 맛 등이다.
감촉[觸]에는 열한 가지 종류가 있으니, 굳
고 강함ㆍ유동성ㆍ따뜻함ㆍ동력성ㆍ무거움ㆍ가벼움ㆍ매끄러움ㆍ껄끄러움ㆍ부드러움ㆍ배고픔ㆍ목마름 등이다.
이와 같은 감촉들을 총체적으로 요약하여 설한다면 세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이른바, 기쁜 상태와 기쁘지 않은 상태, 그리고 기쁨도 기쁘지 않음도 아닌 중간의 상태이다.
이와 같은 것들은 눈 등으로 말미암아 일어나는 것이다.
계취(界趣) 등을 과거ㆍ현재ㆍ미래의 삼세(三世)로 분별하고,
유무변분(有無邊分)이 미세하고 차별적인 행상(行相)으로 분별한다면,
이와 같은 것들을 크게 색온(色蘊)이라고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수온(受蘊)이란 무엇인가?
감수작용[受]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으니, 괴로움의 감수작용[苦受]과 즐거움의 감수작용[樂受]과 괴로움도 즐거움도 아닌 감수작용[非苦樂受]이다.
그리고 이 세 가지 감수작용을 눈 등의 인식기관에 의거해서 분별한다면, 그것에는 여섯 부분이 있으므로, 그것을 이와 같이 분별하여 감수작용에는 열여덟 가지가 있다고 한다.
아래에 십팔계(十八界)를 설명하는 가운데에서 따로 행상(行相)을 밝힐 것이다.
이 수온(受蘊)은 계취(界趣) 등을 유무변분행상(有無邊分行相)으로 분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것들을 크게 수온이라고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상온(想蘊)이란 무엇인가?
표상작용[想]에는 여섯 가지 종류가 있다.
이것의 행상(行相)은 이를테면 눈 등에 의거해서 그 인식대상의 모습을 분별하는 것으로, 그것에는 여섯 가지 종류가 있다.
인식대상의 모습이란, 즉 색(色) 등이다. 그러나 의지처[所依性]는 분별할 수 없다.
분별을 하거나, 분별을 하지 않는 것은 색(色)과 감수작용[受]의 두 가지 법이다.
이와 같은 것들은 모두 ‘나’라고 고집하는 것[我蘊自類]으로부터 일어나는 것이다.
이 상온이라는 것은 계취(界趣) 등의 유무변분행상(有無邊分行相)으로 분별한다면,
이와 같은 것들을 크게 상온이라고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행온(行蘊)이란 무엇인가?
이를테면 마음이 소유하고 있는 법[心所有法]을 말하는 것으로 믿음 등의 선(善)의 부분과 탐욕ㆍ성냄ㆍ어리석음 등의 번뇌들의 부분이다.
이와 같은 심소법(心所法)은 마음이 여러 가지로 나누어진 상태[分位]에 소유하고 있는 행상으로 눈 등의 인식기관에 의거해서 전전한다.
이 행온은 계취(界趣) 등의 유무변분행상으로 분별한다면, 이와 같은 것들을 크게 행온이라고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식온(識蘊)이란 무엇인가?
이를테면, 여섯 가지 식의 몸[識身]이다.
이 식온은 눈 등의 인식기관에 의하여 색 등의 인식대상을 분별하고, 그 인식의 모습[識相]을 선(善)ㆍ불선(不善)ㆍ무기(無記) 등에까지 미친다.
유무변분행상을 분별한다면, 이와 같은 것들을 크게 식온이라고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상과 같은 것들을 총체적으로 ‘오온(五蘊)’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