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살영락경 제1권
1. 보칭품[2]
[보살이 성도에 나아감]
이때 세존께서 보조에게 거듭 말씀하셨다.
“무릇 도행(道行)에 의거했다면 가고 옴이 없음을 알아야 하나니, 만일 가고 옴을 보면 상념의 집착이 있는 것이다.
죄와 복도 또한 일어나고 멸함이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하니, 이는 모두 자연히 공(空)하여 있는 바가 없는 것이다.
상(相)의 머묾은 본래 주재(主宰)함이 없어서 본말이 없으며, 또한 원하고 구한다 해도 얻을 수 있는 것이 없으니,
이와 같은 법을 능히 스스로 밝게 아는 것을 소위 보살이 성도(聖道)에 나아간다고 하느니라.
[지혜에 감음함]
다시 마땅히 3세의 법을 분별해서, 나도 없고 남도 없는 무이(無二)이고 온갖 경계가 비어서 있는 바가 없음을 알아야 하느니라.
만일 옴이 있다고 보면 이는 보응연기(報應緣起)의 법이니,
일어남도 없고 멸함도 없음이 바로 도의 가르침에 응하는 것이니라.
소리[聲]에 음(音)이 있다고 따지지만 음에는 형상이 없으며,
글자를 분별하지만 이 모두가 실다움이 없으니,
일체를 밝게 통달하면 통하지 않음이 없느니라.
보살의 영락은 진실하여 허망함이 없으며 또한 걸림도 없으니, 가리고 있는 덮개[陰蓋]를 없애면 다 있는 바가 없느니라.
만일 보시하는 바를 세우면 어디서나 바라는 바이며, 설사 세우지 못한다 해도 이는 응당 보시바라밀이다.
마음에 삼감[謹愼]을 품고서 온갖 옳지 못함을 버리면,
이 마음을 갖는 자가 곧 계율에 응하여 온갖 법을 밝게 깨달아서 자연히 머묾도 없고 본제(本際)도 없다.
부지런히 닦고 사유해서 처소를 건립하고,
정진과 선정[禪思]으로 행동과 말과 마음을 거두어 다스리고,
슬기의 밝음이 스스로 빛나면서 갖가지 더러운 행을 버리면,
이것이 바로 지혜에 감응함이니라.
[인연 보응의 과보를 아는 것]
보조야, 다시 알라.
신통이 미치는 바로 그 보응(報應)을 얻고,
그 천안으로 문득 사무치게 보게 됨은 모두 보시의 행과 금하는 계율을 닦아 받들고,
항상 정견(正見)에 순응하여 헐거나 범함이 없고,
법의 영락을 닦아서 천이(天耳)의 청취(聽取)를 이루고,
생각과 행으로 권하고 도와서 도의 뜻을 발했기 때문이니라.
혹은 다시 식념(識念)의 신통을 성취하여 지나간 세상의 일이 모두 다 스스로 그러해서[自然] 중생의 무리가 되었음을 기억하는 까닭에 공덕을 쌓되 매양 저 증득에 스스로 미치지 못함을 책망하며,
신통변화의 다함이 없음을 품고서 온갖 식(識)의 집착을 버리고 사유와 선정이 평등하여 둘이 없으면,
이것이 인연 보응의 과보를 아는 것이니라.
[보살의 영락심은 집착하는 바가 없음]
슬기의 신통으로 여러 가지 번뇌를 소멸하며,
그 삼매로 인해 거룩한 법을 궁구해 창달하며,
그리하여 불이(不二)에 들어가 온갖 유루(有漏)를 다하며,
도의 뜻을 잃지 않고 남에게 덕을 닦게 하며,
세속의 보시의 덕을 더욱 사모하며,
비록 보시의 은혜가 있어도 그 과보를 바라지 말며,
수없는 사람으로 하여금 법을 기뻐하고 힘쓰게 하며,
온갖 것을 능히 알아 통달하지 않음이 없게 하며,
보살의 법을 능히 받들어 행하게 하며,
모두가 정진으로 말미암아 게으름을 일으키지 않으며,
사랑과 연민으로서 저를 수호하여 일체를 성취하며,
중생이기 때문에 몸과 목숨을 아끼지 않으며,
자기 몸과 진기한 보배의 재물을 탐하지 말며,
태어나는 곳에서 도의 뜻을 받들며,
앞 사람의 추구를 의심하거나 논란하지 말며,
슬기를 배우고 보시를 믿어서 망설이지 말며,
행해진 말과 가르침을 다 함께 신용해야 하며,
여래의 지극한 진리는 걸리는 바 없으며,
행하는 바가 적정(寂靜)해서 또한 방일함이 없으며,
굳게 인욕하여 한가로운 생활을 즐길지니라.
다시 중생을 교화하면서 스스로 미치지 못함을 질책하며,
선정과 사유의 해탈문을 올바로 받아서 어지럽게 하지 않으며,
항상 신통에 노닐면서 스스로 즐기며,
다시 무극(無極) 광명의 비춤으로 때에 맞게 의당함을 따르고,
온갖 글귀의 뜻과 이치를 분별하며,
온갖 근심을 소멸해서 감추어 숨김이 없으며,
항상 한마음으로 성현의 지혜를 열어 인도하며,
수없는 사람에게 보응의 결과를 보이며,
온갖 덕을 갖추어서 맹렬한 힘에 의해서도 침노당하지 않으며,
3세(世)가 도무지 있는 바 없음[無所有]을 밝게 깨달으며,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일이 늘거나 줄지 않느니라.
그런 뒤에 비로소 지(智)바라밀에 응하고,
능히 보시함으로써 스스로 도의 뜻을 발하고,
중생 모두를 널리 편안케 하고자 하며,
스스로 온갖 번뇌를 흩어버리고서 자기 몸을 근심하지 말며,
만일 다른 사람이 몽둥이로 때리더라도 능히 참으며,
또한 남도 교화하여 인욕을 능히 행하게 하며,
온갖 덕의 근본을 갖추어 더욱더 전심전력하며,
여러 부처님의 가르침을 닦아서 중생들에게 권하며,
출가하여 도를 배워서 잘못 드러난 만물의 청정치 못함을 스스로 관하고,
문득 악취(惡趣)를 싫어하여 공훈을 마쳐야 하며,
행한 바 선업으로 그 마음을 기쁘게 하며,
지혜를 깊이 체달하여 한을 품지 말며,
금계를 독실하게 믿어서 스스로 착한 덕을 이루고,
다시 온화한 마음과 부끄러움으로 미혹되지 말며,
항상 신지(神志)를 다루어서 추악한 데에 집착하지 말며,
지옥의 끓는 물과 뜨거운 불의 고통을 생각하며,
하늘에서 받는 복의 지극한 즐거움을 찬탄하며,
고요해서 근심이 없고 다시 탐욕이 없으며,
은혜롭게 보시해도 세 가지 상념을 없애며,
마음이 안으로는 의지함이 없고 밖으로는 번뇌를 일으키지 않으며,
도의 법을 닦아 행해서 온갖 욕망을 쉬어버리며,
분별 지혜로 스스로 그 마음을 깨달으며,
공(空)ㆍ무상(無相)ㆍ무원(無願)으로 해탈문을 건립하며,
뒤바뀜을 없애서 상해(傷害)하는 바가 없나니,
보조야, 이것을 보살의 영락심은 집착하는 바가 없다고 이르니라.
[보살의 영락이 일체에 두루 원만함]
그 뜻이 평등하고 공하여서 두루하지 않음이 없고,
망상을 품지 아니하며,
보시로써 갖추어 뜻을 고르게 하고,
남을 위하여 법을 설하되 공의 뜻을 여의지 않으며,
온갖 것을 사랑하고 불쌍히 여겨서 행하매 빠뜨리거나 잃지 않으며,
그 중생이 받은 법식(法式)을 관하고,
그 뜻의 성품을 알아서 개화하며,
노니는 곳마다 일체를 위하여 인도하며,
성명(聖明)을 준수하고 닦아서 도의 뜻을 나타내며,
지극하고 크나큰 연민의 마음으로 남김없이 제도하며,
또한 훌륭한 권도(權度)와 방편의 힘으로 외도의 다른 학파 속에 들어가서 저들의 법칙에 따라 제사에 순종하다가 그 뜻의 취향을 보아 도탈(度脫)을 시키며,
여러 범지로 하여금 복을 일으킴이 한량이 없게 하며,
혹 나쁜 도둑들 속에 있으면 인도하고 이끌어서 그 행을 나타내 보이며,
이를 인연으로 수없는 중생을 교화하고 제도하며,
지나간 옛 세상에서 공덕을 이미 갖추었으므로 모두 기뻐하며 공경하지 않음이 없음을 보며,
감로도법(甘露道法)의 맛을 비처럼 내려서 중생의 성냄과 원한의 맺힘을 없애주어야 하며,
만일 다시 앞의 사람이 약간의 번뇌로 침범해 오더라도 싫어하거나 근심하지 말고 적멸의 법을 보여주어서 그 일으킨 바가 참되지도 않고 실답지도 않음을 알게 해야 하느니라.
보조야, 이와 같이 보살이 닦는 심의(心意)의 영락으로 그 속에서 노닐면서 항상 이것을 즐기되, 즐기는 바를 보지 않고 즐기는 바 없음을 즐김이 참다운 법의 성품으로 즐기고 좋아하는 것이니라.
중생의 근본이 나아가는 바를 밝게 알아서 구제하고 제도하여 갖가지 번뇌를 없게 하며,
위해(危害)의 근심을 영원히 남기지 않게 하며,
그 마음을 허공처럼 평등하게 다루어서 4대(大)의 일어나고 멸함을 분별하며,
중생을 교화하고자 가르치고 훈도함에 그 설함이 참되고 옳아서 미움이나 애착이 없으며,
온갖 삿된 소견의 마음을 없애버리고 견고한 마음으로 견고함의 깃발을 영락하며,
약간의 법품(法品)으로 함께 싸우는 것이 마치 용맹한 큰 군사의 장수가 외적을 항복시켜 법률에 들게 함과 같으며,
만약 익숙한 세속에 들어가서 법의 가르침을 베풀면, 그 베풂이 과보를 받아서 계를 지녀 하늘에 태어나나니,
지은 덕에는 모두 보응이 있다고 제도함으로써 무위(無爲)에 이르게 해야 하느니라.
무릇 보살이 되면 스스로 영락에 순종해서 마음이 애초부터 악한 벗의 말을 따른 적이 없어야 하느니라.
그러한 뒤에 대사(大士)의 행을 온전히 하면,
품은 뜻이 맑고 깨끗해 ‘나’라고 하는 집착이 결코 없고,
마음가짐이 산과 같아서 이지러지거나 새는 행(行)이 없고,
지혜가 일체에 두루함이 마치 달이 처음 비추는 것과 같으니,
대중에게서는 능히 미칠 자가 없느니라.
보조야, 이것을 보살의 영락이 일체에 두루 원만하다고 말하느니라.
[보살의 영락이 무궁무진함]
비고 고요함을 깨달아 마쳐서 공(空)하여 있는 바가 없으면,
태어나는 곳에서 항상 광명을 보며,
듣는 바를 문득 알아서 불도의 성취에 이르며,
근문(根門)의 요체를 나누어 펼 것을 항상 생각하며,
스스로 업을 건립해도 침해받음이 없으며,
본성이 자연히 일어나고 멸함을 전부 보며,
세상의 여덟 가지 법[八法]을 지나가면서도 걸리는 바 없으며,
몸ㆍ입ㆍ마음 뜻을 일찍이 속인 적이 없느니라.
다시 방편과 슬기로써 중생을 구제하되, 곤궁하고 재액 있는 사람은 넉넉히 만족케 하며,
마음가짐을 땅처럼 해서 세 가지 허물을 범하지 말며,
날로 그 도에 나아가서 방일(放逸)하지 않으며,
물러나지 않는 견고한 마음에 이르며,
법인(法忍)을 일으키지 않고도 앞에 나타나 있으며,
10력(力)과 4무외(無畏)와 7각지(覺支)와 8정도(正道)로 올바로 관해서 나와 남과 수명을 버리며,
유(有)와 무(無)의 법을 분별하고 사유하며,
한량없는 부처님 나라를 감동으로 변화시키고,
이 신통을 말미암아 자재를 얻느니라.
보살이 선포한 바는 언사(言辭)의 영락이니,
갖가지 소견을 초월하여 다시 욕망이 없고,
마음은 바른 길을 향하면서 또한 뒤바뀜이 없고,
변재는 걸림이 없어서 막히는 일이 없으며,
두루 돌아가면서 오고 가지만 상념의 집착을 내지 않으며,
일체의 모든 속박과 번뇌[結使]를 끊어 없애며,
교만과 자기 과신을 영원히 남김없이 멸하며,
그 소리와 음향은 마치 사자의 부르짖음 같고 천둥치는 것 같아서 소리를 듣지 못함이 없으며,
영원히 구경(究竟)에 서서 멸도에 이르며,
다함없는 영락의 구름을 발하며,
연설한 법은 천둥소리이고 법고(法鼓)이고 번갯불이며,
해탈의 맛을 비처럼 내려서 7각의(覺意)를 선포하며,
법의 청정함을 염(念)해서 삼보를 여의지 않으며,
마음은 밝은 달과 같아서 또한 더러움이 없으며,
통달하여 오고가면서도 바른 업을 없애지 않으며,
온갖 모습의 훌륭한 법을 갖추느니라.
보조야, 이것을 보살의 영락이 무궁무진함이라 말하느니라.
상선(上善)ㆍ중선(中善)ㆍ하선(下善)과 중간의 통리(通利)가 품고 와서 비추어도 금계(禁戒)를 잃지 않으니, 과거와 미래의 항하(恒河) 모래 수효와 같은 성현들이 이 보살의 덕을 찬탄하지 않음이 없느니라.
보조야, 이처럼 성현의 도품(道品)과 묘법(妙法)의 곳간은 진귀한 보배의 문으로서 다하질 않느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