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庚 |
壬 |
戊 |
戌合 |
午白 |
申靑 |
辰玄 |
甲寅 |
술○ |
子 |
申 |
.
제1과둔반 |
제2과둔반 |
제3과둔반 |
제4과둔반 |
일간상신 |
제2과상신 |
지상신 |
제4과상신 |
일간 기궁 |
제2과지반 |
支辰 |
제4과지반 |
.
- 干支 : 정단하는 당일의 간지이다.
육임 조식의 기본이 된다.
갑자일이면 갑은 간, 자는 지이다, 일진과 같은 의미이다.
- 일辰 : 정단하는 날의 일진을 말한다.
갑자일이면 '갑자'가 일진이다.
日辰은 정단의 주체와 객체가 된다.
- 일간 : 정단하는 일진 중의 日을 만한다.
갑자일 정단이라면 '갑'을 말한다.
일간은 정단에서 주체자가 된다.
- 日上 : 일간상을 가리킨다.
예로 갑위 戌合이 적힌 곳이 일상이다.
- 日上神 : 일진에서 일지 위의 12지를 가리킨다
甲子日이라면 갑의 기궁이 寅이므로,
天地盤圖에서 日上神(寅 위의 12지)는 戌이다. 이를 干上神이라고도 부른다.
- 辰上神 : 일진에서 ㅇ리지 위의 12지를 가리킨다.
위의 그림에서 子 위의 申이다.
- 六處 : 일간, 일지, 초전, 중전, 말전, 年命을 가리킨다.
-------
2. 과전도에 관계된 용어
- 加 : 지반 12지 위에 천반 12지를 올린다는 뜻으로
"더한다"라고도 한다.
예) 천지반도에서 월장 자를 점시인 진 위에 가하였다
과전도의 3과에서 천반 申이 지반 子 위에 가하고 있다.
- 乘 : 12천장이 천반을 타는 것을 승한다고 한다.
과전도 제3과에서 청룡이 천반 싱을 "승한다", 또는 "탄다" 고 한다.
- 乘神 : 천장이 타고 있는 천반지를 말한다.
위 그림에서 청룡신은 申이다.
- 臨 : 12지가 지반에 앉는 "座"는 임이다.
제3과에서 靑龍이 申을 乘하여 子에 臨한다.
- 天將 : 천반 12지에 접지되는 천장을 말한다.
과전도의 제1과에는 육합(合), 제2과에는 백호(白).
제3과에는 청룡(靑), 제4과에는 현무(玄)가 보인다.
천장으로 길흉을 알 수 있다.
- 外戰 : 천장 오행에서 천장이 타고 있는 12지를 제극하거나
천반에서 지반을 극하는 것을 말한다.
제1과에서 六合(乙卯 木)이 戌土를 타고 있다.
천장 오행 木에서 천반지 오행 土를 목극토하고 있다.
외전이 되면 길흉의 작용력이 모두 약해진다.
또한 외전은 바깥 일을 뜻하기도 한다.
- 內戰 : 외전의 반대어이다.
천반지의 오행에서 천장의 오행을 제극하거나, 지반에서 오행을 극하는 것
- 順布 : 월장가시(천지반 조식)를 할 때, 천반지가 12지 순으로 배열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12천장 분포에서는 귀인이 양경에 임하면 귀인을 순포한다.
아래 천지반도에서 귀인이 자에 타서 지반의 양경이 辰에 떨어지므로 귀인은 순포한다.
- 陽境 : 양의 구역이다.
천지반도에서 색칠한 지반 亥에서 辰까지가 양경이다.
- 陰境 : 음의 구역이다. 천지반도에서 색칠한 지반 巳에서 戌 까지가 음경이다.
- 夾剋 : 地盤에서 天盤을 극하고, 天將이 천장乘神을 하는 것.
제1과에서 지반 甲木이 天盤支 戌土를 剋, 이와같이 아래, 옆에서 同時에 制剋하는 것을 夾剋이라 한다.
협극이 되면 천반지는 힘을 잃어 작용을 하지 못한다.
만약 일록이 협극되면 록을 취할 수 없다.
- 交叉 : 일간은 지상신과 일지는 일상신과 연결짓는 것을 교차, 교호 라고 부른다.
교제사 곧 혼인, 매매, 교역, 동업, 쟁송, 전쟁, 타국과의 회담 등에서
성합, 손익, 승패 정단에서 많이 쓰인다.
- 鬼殺 : 일간을 제극하는 오행을 말한다.
제3과의 천반지 申金은 일간 갑목을 제극한다.
이 신금이 귀살이다.
귀살은 관재, 병재, 구설, 도난 등을 뜨한다.
- 求神 : 흉신을 제극하는 오행을 말한다.
귀살 신금을 제극하는 제2과 산신 午火가 구신이다.
만약 구신에서 귀살을 제극하면 흉이 변해 길하게 된다.
- 忌神 : 육임 정단에서 흉하게 작용하는 12신을 가리킨다.
과전도의 귀살인 申금과 제2과 둔반의 庚금이 기신이다.
- 吉神 : 육임에서 길한 12지 혹은 천장을 말한다.
주로 구보 팔살에서의 구보 외에 여러 가지가 있다.
아래 과전도에서 말전의 寅은 일간 갑목의 일록이다. 이 일록도 길신이다.
- 空亡 : 순 중에서 천간과 짝을 짓지 못한 12지를 가리킨다.
갑자, 을축, 병인 ... 임신, 정유 하고 짝을 이루다가 마지막 술亥는 짝을 이루지 못한다.
이런 지지의 술,해는 외톨이가 되니 공망이라 한다.
공망이면 길흉사, 모두 성립이 되지 않는다.
구신에서 과전도의 제1과 산신 戌은 갑자순의 공망이다.
- 落空 : 천반 12지가 공망이 된 지반에 앉으면 "락공"이라 한다.
갑신순에는 午未가 공망이다.
락고이 되면 길흉사 모두 ㅅ겅립이 되지 않는다.
과전도의 제2과 지반 무토는 갑자순의 공망이다.
따라서 그 위의 천반지 오가 락공되었다.
-------
3. 三傳
- 三傳 : 과전도에서 위의 세줄을 가리킨다.
초전둔반 중전둔반 말전둔반 | |||
초전천반 중전천반 말전천반 | |||
초전지반 중전지반 말전지반 | |||
제1과둔반 |
제2과둔반 |
제3과둔반 |
제4과둔반 |
제1과천반 |
제2과천반 |
제3과천반 |
제4과천반 |
○△ |
제2과지반 |
제3과지반 |
제4과지반 |
3전은 4과에서 유래하고초전은 하늘천, 중전은 땅지, 말전은 사람인을 상징한다.
1) 초전천반 : 發用 혹은 用神이라 부른다. 어떤 일의 시작을 보는 곳이다.
2) 중전천반 : 어떤 일의 중간 과정을 보는 곳이다.
3) 말전천반 : 어떤 일의 결과를 보는 곳이다.
- 入傳 : 초,중,말전에 목적사에 해당하는 12지 혹은 12천장이 보이면 입전했다 고 한다.
- 遁干 : 잠복한 길흉을 알고자 할 경우에는 둔간을 본다.
육임에서의 둔간은 장단일이 어느 순 중에 있는지를 파악한 후에
순 중에 있는 천간을 각 지지와 배합하면 된다.
3. 육임의 요소
- 개관 : 육임 정단을 기초 용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본다.
- 학습목표
1) 기초 요소 중 10간 12지의 정의
2) 태세와 월건의 정의 및 적용법
3) 점시의 정의와 정확한 적용법
4) 월장의 정의 및 정확한 적용법
5) 일진의 정의를 알 수 있고, 일과 진의 구별
6) 각 순으 공망과 공망의 중요성
7) 12천장의 의미와 중요성
8) 연명의 정의와 정확한 적용법
1.10천간
- 甲 : 이른 봄 씨앗의 껍질이 터지는 것을 말한다.
백과 초목은 우레 풍작으로 그 껍질을 쪼갠 뒤에 싹이 트게 되는데
이 甲은 모든 것의 처음으로 하늘의 진리를 펴는 것을 말한다.
- 乙 : 씨앗에서 싹이 뻗어 나갈 때 어린 싹이 단단한 땅을 뚫기 어려워
그 끝이 乙의 모양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상징한다.
만물이 처음으로 그 형체를 세상에 드러내는 시기이다.
- 丙 : 태양을 뜻하고, 陽道가 밝게 빛난다.
- 丁 : 만물 성장을 뜻한다.
- 戊 : 만물이 무성하게 성장함을 뜻한다.
- 己 : 만물이 성장하여 외형적 성장이 완성 단계이다.
하지절은 양이 극도로 성한 가운데 음의 기운이 싹트는 시점이다.
- 庚 : 만물이 내적으로 충실해지는 시기이다.
- 辛 : 만물의 결실의 시기이다.
- 壬 : 생성의 한 세대가 종료되는 시기이다.
낮이 제일 짧은 동시절은 음이 화하여 양이 출생하는 시기로
새로운 세계의 배태이다.
- 癸 : 회임한 뱃속 아기가 점차적으로 성장하여 양의 존재가 내면에서 확실해진 시기를 말한다.
2. 12지지
- 子 : 하나의 양기가 잉태하는 일양기이다.
- 丑 : 음기가 굴복하여 꺾이는 이양기이다.
- 寅 : 양기가 나와서 만물이 활동하려는 의욕의 삼양기이다.
- 卯 : 만물이 땅위로 솟아 나오는 사양기이다.
- 辰 : 만물이 기지개를 펴는 오양기이다.
- 巳 : 양기가 충반한 육양기이다.
- 午 : 음양이 서로 교제하는 일음기이다.
- 未 : 양기운이 쇠잔하는 이음기이다.
- 申 : 만물의 형체가 완성되는 삼음기이다.
- 酉 : 만물이 결실을 완료하는 사음기이다.
- 戌 : 만물이 생성 일대기를 끝낸 오음기이다
- 亥 : 만물이 한 세대 씨앗을 거두어 저장하는 육음기이다.
3. 점시
- 점시는 월장과 함께 육임학의 2대 학문 요소이다.
정단하는 시각의 12지나 혹은 12지 죽점을 쓰는데, 주로 찾아온 시각의 12지를 많이 쓴다.
손님이 午時에 찾아 왔다면 점시는 午가 되고, 申時에 찾아 왔다면 점시는 申이 된다.
1) 차객법 : 육임학에서는 같은 시간에 또 다른 래방자가 있다면
같은 시간을 쓰지 않는다는 "일사에 일점시"라는 원칙이 있다.
즉 한번 사용한 점시는 다른 사람, 혹은 다른 상담 내용에 다시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같은 시간 안에 온 두 번째 손님의 점시가 양지지에
해당하면 네 시진을 진행하여 채택하고,
반대로 전시가 음지지라면 뒤로 여섯 시진을 후퇴하여 구한다.
예1) 양지지인 인시에 여러명이 구점한 경우 첫 방문 객 : 묘시에 쓴다. 두 번째 방문 객 : 인에서 네 시진 나아간 인→묘→진→사 巳時를 쓴다. 세 번째 방문 객 : 사 에서 여섯시진 물러난 자←축←인←묘←진←사 子時를 쓴다. |
예2) 음지지인 묘시에 여러명이 구점한 경우 첫 방문 객 : 묘시에 쓴다. 두 번째 방문 객 : 묘에서 여섯시진 물러난 술←해←자←축←인←묘 술시(묘시 포함)를 쓴다. 세 번째 방문 객 : 술시에서 네 시진 나아간 술→해→자→축 축시를 쓴다. |
※ 육임에서 채용하는 점시와 월장은 태양의 공, 자전 운동ㅇ서 비롯되는 것이므로
"태양의 학문", "천문역학" 이라고도 부르는 것이다.
이러한 차객법이야말로 육임학의 독특한 특징이 되는 법칙이다.
비록 동일한 사주를 가진 사람이 같은 시간에 여럿이 왔을지라도
감정의 결과가 모두 다르게 나오게 되는 것은 바로
차객법이 있기 때문이다.
2) 시간의 경계
- 육임학은 점시와 월장에 의하여 천지반도와 과전도를 조식하므로
점시의 경계는 매우 중요하다.
시간은 동경 135도가 아닌 동경 127도 35분을 경계로 정하는 것이 옳다.
- 1961년부터 현재까지는 일본과 같이 동경 135도를 기준으로 적용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추면 30분을 늦춰서 적용함이 옳다.
서울 기준이라면 밤 11시32분부터 1시 31분이 되고,
축시는 밤 32분부터 밤 3시 31분이 된다.
4. 月將
- 월장은 태양을 가리키니 점시와 함께 우리 육임학의 2대 요소이다.
만약 우주에 태양이 없다면 지구상에는 생명체가 존재할 수 없을 뿐더러
설사 존재하더라도 태양의 대덕을 받지 못한다면 생장할 수 없을 것이다.
인간 역시 광대무변한 우주 중의 일점 생명체이므로 태양은
인간의 생로병사를 사령하는 지극히 존귀한 존재이다.
- 육임학은 무한 억겁의 시간 중 찰나에 찾아 온 래발자의 점시라는 기미에
황도를 따라 운행하는 태양의 공간 작용력을 일치시켜서,
래방자에게 태양의 대덕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가늠하여
길흉을 예단하는 "자연학"이다.
다시 말하면 육임학은 손님이 찾아온 시간에 태양이 12궁 중 어느 궁에 들었는가를 보아
인간사의 길흉을 판단하는 학문이다.
※월장의 적용기간과 황경
월장 |
기간 |
월장명 |
황경 |
월장 |
기간 |
월장명 |
황경 |
해 |
우수 ~춘분 |
登明 등명 |
330 ~360 |
사 |
처서 ~추분 |
太乙 태을 |
150 ~180 |
술 |
춘분 ~곡우 |
河魁 하괴 |
0 ~30 |
진 |
추분 ~상강 |
天罡 천강 |
180 ~210 |
유 |
곡우 ~소만 |
從魁 종괴 |
30 ~60 |
묘 |
상갈 ~소설 |
太衝 태충 |
210 ~240 |
신 |
소만 ~하지 |
傳送 전송 |
60~90 |
인 |
소설 ~동지 |
功曺 공조 |
240 ~270 |
미 |
하지 ~대서 |
小吉 소길 |
90 ~120 |
축 |
동지 ~대한 |
大吉 대길 |
270 ~300 |
오 |
대서 ~처서 |
勝光 승광 |
120 ~150 |
자 |
대한 ~우수 |
神后 신후 |
300 ~330 |
- 태양은 태양의 도로라 부르는 "황도"를 따라 운행하는데,
지구(월건)는 우로 회전하고 태양(월장)운 좌로 운전하므로
서로 육합관계가 되는 지지를 월장으로 취용한다.
황도를 12궁으로 나누면 각기 30도가 된다.
태양의 12궁 운행은 모두 24절기에서의 중기에서
다음 궁으로 교대되므로 월장은 중기를 채택한다.
위의 월장 적용기간을 설명하면
태양은 우수기 절입시각부터 춘분기 절입시각 전까지 해궁에 머문다.
5. 太歲
- 정단하는 시각의 년지를 말한다.
서기 2003년은 계미년이므로 이 해에 정단한다면 태세는 未가 된다.
또 갑신년에 정단한다면 태세는 申이 된다.
태세의 적용은 입춘 절입시각 전까지로 한다.
- 태세는 1년의 모든 신살 중에서 가장 존귀한 존재이다.
만약 4과 3전이나 연명에 길장이 태세를 타서 日干을 生하면 길하다.
그러나 만약 흉장이 태세를 타서 일간을 극한다면 흉한 재액이 발생한다.
태세의 중요성은 이루 다 말할 수 없으므로 정확한 대입과 해석이 요구된다.
例를 들어, 2003(계미)년 경오일 정단이다.
發用에서 太歲支 未에 靑龍이 타서 日干 庚金을 生해오면
이 해에 큰 재물을 얻는 기쁨이 있다.
| |||
靑未 | |||
| |||
生 |
|
|
|
|
|
|
|
庚 |
|
午 |
|
6. 월건
- 월건은 12절을 기준으로 정해진다.
인월에 정단한다면 월건은 寅, 묘월에 정단한다면 卯이다. 월건은 황도상의 黃經에 의해 전해진다.
가령 2011. 4. 10 청명(15도)~입하(45도)에 머물고 있으므로 월건은 辰이다.
7. 일진
- 정단하는 당일의 간지로써 육임식반 조식의 기본이다.
甲子日에 정단한다면 갑은 일이 되고, 子는 辰이 된다.(?)
육임학은 점시와 월장과 일진으로 천지반도와 과전도를 조식하므로 하루의 구분은 매우 중요하다.
육임학에서는 子時를 기준으로 하루의 경계를 정하되 조자시와 야자시를 적용하지 않는다.
서울 기준으로 12일(甲戌)밤 11시 40분이라면 13일(乙亥) 子時로 보아 日干은 乙이 되고 日支는 亥가 된다.
8. 공망
- 순의 외톨이 12지를 가리킨다.
천간은 10간이고 지지는 12지이므로 1:1 짝을 이루어 나가다 보면 지지가 둘이 남는데,
이를 공에 떨어졌다 하여 "낙공"이라 하고, 순공이라고도 하며,
또 공이 되면 좋지 않다 하여 "空亡" 혹은 "天中殺"이라고 부른다.
갑자순:을해, 갑술순:신유, 갑신순 : 오미, 갑오순:진사, 갑진순:인묘, 갑인순:자축
9 . 기궁
- 10천간을 하늘에서 땅으로 끌어 내리면 기궁이 되는데,
10간 중에서 양간은 祿地로, 음간은 刃地로 표시한다.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寅辰巳未巳未申戌亥丑
祿刃祿刃祿刃祿刃祿刃
- 반드시 암기하면 좋다.
10. 12천장
- 12천장은 12지에 붙는 將으로서 일의 상의(자세한 뜻)를 나타낸다.
12천장의 순서는 귀인, 등사, 주작, 육합, 구진, 청룡, 천공, 백호, 태상, 현무, 태음, 천후 등으로서
각각의 천장 오행이 배속되어 있으니 아래 배속표와 같다.
귀인귀 기축 토, 등사사 정사 화, 주작주 병오 화, 육합합 을묘 목, 구진구 무진 토, 청룡청 갑인 목,
천공공 무술 토, 백호백 경신 금, 태상상 기미 토, 현무현 계해 수, 태음음 신유 금, 천후 후 임자 수.
- 천장의 오행 베속은 정단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므로 반드시 암기하면 좋다.
11. 遁干
- 천지반도,과전도의 둔반에 있는 천간이 둔반이다.
출현 된 뜻은 12지지로 알 수 있고, 감추어진 실상은 둔간으로 알 수 있다.
둔간을 쓰는 법은 정단일이 어느 순 중에 속하는지를 파악한 후에
순 중에 있는 천간을 각 지지와 배합하면 된다.
사실상 둔간의 응용은 4과 3전과 연명상에서 모두 특수한 의의가 있으므로 가벼이 여겨서는 안 된다.
과전도 조식에서 다시 설명한다.
12. 年命
- 연명은 육임의 주요 요소로서 띠(본명)와 행년 모두를 아울러 가리키는 말이다.
육임 과전도를 조식하여 각 개인의 길흉을 전단할 때
개인의 연명을 참작하면 착오가 생기지 않는다.
과전도를 조식하여 길할지라도 개인의 연명상신에서 길신을 제극하면 흉이 되고,
흉신일지라도 개인의 연명상신에서 흉신을 제화하면 길이 될 수 있다.
이와같이 연명에 의하여 길흉의 변화가 생기므로 연명을 일러 "변화문"이라고 부른다.
12/1. 본명
- 본명은 피점자의 출생년 지지를 말한다.
계해년 출생자라면 癸亥가 본명이 된다.
실제 정단에서는 천지반도의 지반에서 해를 찾고
해 위에 있는 12지와 12천장으로 길흉을 판단한다.
12/2. 행년
- 행년을 정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고대는 물론이고 현대에서 제1론을 주로 채용하고 있다.
(1) 제1론
- 行年은 피점자의 나이에 해당하는 지반의 12지이다.
피점자의 행년을 지반에서 찾은 뒤에, 지반위의 천반 오행으로 길흉을 판단한다.
행년을 찾는 방법은 남녀가 다르다.
남자는 寅을 1세로 시작하여 12지지를 차례로 세다가
자신의 나이에 이러렀을 때 해당하는 지지가 행년이 된다.
여자는 申을 1세로 시작하여 12지지를 역으로 세다가
자신의 나이에 이러렀을 때 해당하는 지지가 행년이 된다.
페이지 42쪽 의 행년을 보면 한 눈에 알 수 있다.
<예> .본명법과 행년범(辛酉日 申時 午月將 남자 55세, 出生年支(壬辰)
- 본명법
卯 巳 |
辰 午 |
巳 ← 未 |
午 행년←申 |
寅 본명 辰 |
|
未 酉 | |
丑 卯 |
申 戌 | ||
子 寅 |
亥 丑 |
戌 子 |
酉 亥 |
.
- 점시 申 위에 월장 午 를 올려서 12지 순서대로 배열하여 천지반도를 조식하였다.
- 본명이 壬辰생이니 지반에서 辰을 찾고, 辰 위의 천반지인 寅이 본명상신이 된다.
- 이 寅 을 4과3전에 대입하여 吉凶을 판단한다.
- 행년법
남자 55세라고 했으니 55를 12로 나누면 몫은 4이고 나머지 7이다.
따라서 寅에서 7위인 申이 행년이 되고, 申 위의 천반지인 午 가 행년상신이 된다.
이 午를 과전에 대입하여 吉凶을 판단한다.
- 남자는 병인을, 여자는 임신을 1세로 시작하는 이유
태양(日)은 寅方에서 나오고 또한 태양(寅)은 양의 정화(陽精)이다.
남자는 양의 정화로 출생하여 양의 이치에 따르므로 태양을 취한 것이다.
丙은 태양을 뜻하므로 丙과 寅을 짝을 지어 남자는 丙寅을 1세로 시작하는 이유이다.
달(월)은 申方에서 나오고 또한 달(申)은 음의 정화(陰精)이다.
여자는 음의 丁火로 출생하여 陰의 이치를 쫒으므로 달을 취한 것이다.
壬은 달을 뜻하므로 壬과 申을 짝을 지어 여자는 壬申을 1세로 시작하는 이유이다.
※행년표
나이 1세 2세 ....... 10세
남자 丙寅 丁卯 ....... 乙亥
여자 壬申 辛未 ....... 癸亥
나이 11세 ~
남자 丙子 ~
여자 壬戌 ~
나이 21 ~
남자 丙戌 ~
여자 壬子 ~
나이 31 ~
남자 丙申 ~
여자 壬寅 ~
나이 41 ~
남자 丙午 ~
여자 壬辰 ~
나이 51 ~ 60세
남자 丙辰 ~ 乙丑
여자 壬午 ~ 癸酉
(2). 제2론(육임시가, 육임심원)
- 歲祿命은 모든 사람이 공통으로 얻는 것이다.
행년으로써 과전 길흉의 세밀한 부분까지 살필 수 있다.
행년 계산법은 남녀가 각각 다르니 이를 설멸하면 다음과 같다.
** 각 순중 행년 1세표
갑자순 남 丙寅 갑술순 남 丙子
갑자순 여 壬申 갑술순 여 壬午
--
갑신순 남 丙戌 갑오순 남 丙申
갑신순 여 壬辰 갑오순 여 壬寅
--
갑진순 남 丙午 갑인순 남 丙辰
갑진순 여 壬子 갑인순 여 壬戌
<남자>
- 출생년도가 소속된 旬으로부터 세 번째 지지가 1세이다
甲者旬 중에 태어난 남자이면 첫 글자는 甲子의 "子"이고,
이로부터 세 번째 지지는 寅이다.
이 인에서 순행하여 나이 수에서 멈추면 행년이 된다.
<예> 갑자순 중에 태어난 무진생 남자(금년 나이5세) : 신유일 신시
오월장
출생년인 무진년은 갑자순에 소속된다.
따라서 갑자순의 세 번째 지지인 寅이 1세이다.
이 인에서 순행하여 5세를 간 오가 행년이고,
그 위(천반)에 있는 진이 행년상신이 된다.
.
卯 4세 巳 |
행년생신 辰 5세 午 |
巳 未 |
午 申 |
寅 3세 辰 |
|
未 酉 | |
丑 2세 卯 |
申 戌 | ||
↑ 子 1세 寅 |
亥 丑 |
戌 子 |
酉 亥 |
<여자>
- 출생년도가 소속된 순의 지지에서 뒤로 다섯 번째 지지가 1세이다.
갑자순 중에 태어난 여자이면 申을 1세로 하고 역행하여 나이 수에 멈추면 행년이 된다.
<예>
1968년 무신년(갑진순중 출생자) 출생 여자의 2005년도 38세 행년은?
신유일 신시 오월장
- 출생년도인 戊申年은 甲辰순에 속하므로 뒤로 5위를 간 子 가 1세이고,
역행 38세 한 亥 가 행년이 된다.
따라서 행년상신인 酉를 보아 정단하면 된다.
卯 巳
|
辰 午 |
巳 未
|
午 申
|
寅 辰 |
|
未 酉
| |
丑 卯 |
申 戌 | ||
子 寅
|
亥 丑
|
戌 子1세 →
|
행년생신
酉 亥 |
기준이 되는 간지는 1세, 13세, 25세, 37세, 49세, 61세,
73세, 85세, 97세, 109세, 121세 ... 등이 된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