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해안길 1. 서해랑 6코스(진도대교-벽파항-연동마을). 2
◈ 일시 : 2023. 12.18(월). 진도1차 3박 4일 중 첫날.
진도 둔내면 날씨.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12.8km. 5시간 20분.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07 : 19. 천안. 아산역에서 목포행 SRT타고-광주 송정역 08. 36. 도착. 20600X2.
09 : 00. 광주. 송정역 지하철 3번 출구 앞에서 진도 솔비치행 버스 타고(15600x 2). 남악. 삼호. 우수영 경유.
10 ; 40. 진도대교 건너 녹진정류소 하차. 진도대교 쪽으로 조금 가면
10 : 46/11:17. 진도 휴게소에서 백종원의 진도 소고기 대파국으로(7900x2) 점심.
11 : 24. 진도대교밑 통과. 명량 대첩 해전도. 물살이 회용돌이 치는 울돌목을 바라본다.
11 : 31. 서해랑길 5.6코스 시종점 안내판.
진도대교 준공기념탑 무공수훈자공적비뒤로 진도타워를 보며 도로 따라 진도타워로 올라간다.
12 : 00/24. 진도타워 7층 전망대. 360도 막힘없는 진도와 해남해안을 둘러보고 2층 명량대승전관을 둘러본다.
12 ; 30. 명량대첩승전광장 끝에 있는 전투장면 조형물 뒤에서 데크 계단을 내려다. 강강술래터 가는 길 안내판.
12 : 45. 철탑을 지나 울돌목 무궁화동산의 정자. 망금산정상의 진도타워를 보며 갈지자로 내려간다.
12 : 50. 평화통일비와 화장실. 시멘트길을 따라 내려간다.
12 : 58. 해안도로. 진도갯벌 습지보호지역 안내판. 조선수군 재건로 안내판. 우측으로 해안도로를 따라간다.
13 ; 04. 만금마을 표지석. -금진수산.
13 : 16. 전복 양식장.
13 : 22. 넙섬 앞. 지형도의 도깨불치. 넙섬과 망금산의 진도타워를 뒤돌아 보고.
13 ; 33. 배수갑문. 방조제 우측의 도로를 따라간다.
13 : 38. 방조제 끝. 습지 보호구역 생태지도. 앞 언덕 위엔 전망쉼터가 있는 소공원. 좌측으로 돌아간다.
13 : 42. 습지보호구역 문을 지나 전망데크. 지형도의 부치 끝이다. 직전에 습지보호구역 서식생물도.
13 : 59. 둔전방조제. 둑이엔 바람이 많이 불어 둑아래 도로를 따라가며 진도지맥의 금골산, 첨찰을 바라본다.
14 ; 16. 방조제 끝 쉼터. 징도타워와 진도대교, 지나온 해안을 뒤돌아보며 도로 따라간다.
14 : 45. 동물 이동통로밑 작은 터널을 지난다.
14 ; 57. 오류리 북동 능선 끝. 해남 문내면의 옥매산을 바라보고 우측으로 돌아간다.
15 : 13. 오류리 앞 제방. 우측에 태양광 발전 시설물. 그 뒤로 선황산, 설매봉을 보며 간다.
15 ; 16. 방조제 끝에서 우측으로 간다. 좌측은 남해 씨푸드 350m. 서해랑길 벽파항 1.1km.
15 ; 22. 801 지방도로 삼거리. 좌측은 벽파, 우측은 해남, 진도읍 가는 길. 좌측으로 간다.
15 : 25. 호국의 얼 벽파마을 표지석.
15 : 28/30. 벽파 정류소. 70-3번 버스가 진도터미널에서 16 : 20 출발예정 전광판과 지도시내버스 시간표가 뜬다.
정류소 앞 능선길 입구에 충무공 전첩비 입구 표지석이 보인다.
15 ; 32. 우측 골목길로. 입구에 서해랑길 6코스 이정표. 벽파진 전첩비 0.1km.
15 : 35. 벽파항 앞. 코앞엔 감보도. 바다 건너편 좌측엔 옥매산. 조선수군 재건로.
15 : 38. 벽파정 정자. 위에 이충무공 벽파진 전첩비. 정유재란 때 울돌목에서 13척의 배로 133척의 왜선을
격파한 명량대첩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진도군민의 성금으로 1956. 11. 29 건립. 이은상 글 손재형 글씨.
15 : 41. 벽파방조제를 건너간다.
15 ; 49. 벽파방조제 건너 서해랑길은 좌측으로 돌아 연동마을로 가 우리는 우측으로 연동마을로 간다.
15 : 53. 801도로. 좌측으로 공사 중인 도로를 따라간다.
16 ; 03. 연 마을회관. 연동마을버스종점. 16 : 20분에 진도 터미널에서 출발하는 버스를 기다린다.
16 : 45. 연동마을에서 70-3번 버스 타고(1000x2). 진도 전 지역 시내버스는 카드는 안되고 현금만 된다.
17 : 00. 진도 터미널 도착. 예약한 대동모텔로 가는 길에 GS25 시에서 우유. 빵 3등을 사고
대동모텔에서 1박.(3박에 150000인데 카드, G마켓 할인받아 121130).
방 뜨끈하고 깨끗하고 스타일러. 공기청정기. 테이블과 의자 있어 시설 좋고 사장님 마음씨도 좋아 강추)
1부에 이어
13 : 22. 넙섬 앞. 지형도의 도깨불치. 넙섬과 망금산의 진도타워를 뒤돌아 보고.
13 ; 33. 배수갑문. 방조제 우측의 도로를 따라간다.
13 : 38. 방조제 끝. 습지 보호구역 생태지도. 앞 언덕 위엔 전망쉼터가 있는 소공원. 좌측으로 돌아간다.
13 : 42. 습지보호구역 문을 지나 전망데크. 지형도의 부치 끝이다. 직전에 습지보호구역 서식생물도.
눈밭에 발자국 꽃도 그려보고
뒤돌아 보고
앞사진 좌측을 당겨봤다.
진도 일주도르는 120km.
13 : 59. 둔전방조제. 둑위엔 바람이 많이 불어 둑아래 도로를 따라가며 진도지맥의 금골산, 첨찰을 바라본다.
좌 측 멀리 첨철산.
우측 뾰족한 금골산.
둔전방조제 긑의 쉼터.
뒤돌아 보고.
뒤돌아 본 금골산과 둔전방조제.
진도타워와 진도대교.
배추를 묶어주고있다.
저앞에 동물이동통로.
14 : 45. 동물 이동통로밑 작은 터널을 지난다.
가운데 앞산은 바다 건너편 화원지맥의 옥매산.
뒤 돌아 본 진도타워(우)와 금골산(좌)
14 ; 57. 오류리 북동 능선 끝. 해남 문내면의 옥매산을 바라보고 우측으로 돌아간다.
옥매산(우).
좌측 산 넘어가 벽파항 -가운데 멀리 첨찰산.
벽파항앞의 감부도(좌).
벽파항 앞의 감부도(좌)와 첨찰산(맨 우측)
선황산(좌)-첨찰산.
감부도(우)와 바다 건너편 해남 황산면.
15 : 13. 오류리 앞 제방. 우측에 태양광 발전 시설물. 그 뒤로 선황산, 설매봉을 보며 간다.
선황산,
15 ; 16. 방조제 끝에서 우측으로 간다. 좌측은 남해 씨푸드 350m. 서해랑길 벽파항 1.1km.
15 ; 22. 801 지방도로 삼거리. 좌측은 벽파, 우측은 해남, 진도읍 가는 길. 좌측으로 간다.
15 : 25. 호국의 얼 벽파마을 표지석.
15 : 28/30. 벽파 정류소. 70-3번 버스가 진도터미널에서 16 : 20 출발예정 전광판과 지도시내버스 시간표가 뜬다.
정류소 앞 능선길 입구에 충무공 전첩비 입구 표지석이 보인다.
15 ; 32. 우측 골목길로. 입구에 서해랑길 6코스 이정표. 벽파진 전첩비 0.1km.
15 : 35. 벽파항 앞. 코앞엔 감보도. 바다 건너편 좌측엔 옥매산. 조선수군 재건로.
벽파항.
전라남도 진도군 북동쪽의 고군면 벽파리에 있다. 이러한 지리적 조건 때문에 목포와 완도, 목포와 제주를 오가는 도중에 들르는 기착지가 되고 있다.
벽파항은 진도군과 해남군을 잇는 항구이다. 울돌목이 진도군과 육지를 잇는 가장 가까운 해협이었지만, 조류 속도가 빨라 항로로는 문제가 있었다. 그런 이유에서 1984년 진도대교(珍島大橋)가 준공되기 전까지 진도군과 해남군을 오갈 때 가장 많이 이용하던 항구이다.
벽파리는 해변에 벽도(碧桃)나무의 꽃이 피곤 해서 붙여진 지명이다. 벽파항은 그 벽파리에 있는 항구라는 데서 생겨난 이름이다.
1993년 9월 10일에 지방어항으로 지정되어 전라남도청의 관리 아래 항구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다른 항구들이 잇따라 개발되면서 항구로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고, 고천암방조제 건설로 어획량도 줄었다. 결국 2005년 4월 22일 어항법시행규칙 2조의 기준에 미달하여 지방어항에서 해제 고시되었다.
방파제 시설이 없으며 물양장(物揚場:소형 선박이 육지에 대는 부두) 거리는 200m이다.
감보도.
가운데 저위에 충무공 벽파진 전첩비.
조선수군 재건로.
벽파정.
15 : 38. 벽파정 정자. 위에 이충무공 벽파진 전첩비. 정유재란 때 울돌목에서 13척의 배로 133척의 왜선을
격파한 명량대첩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진도군민의 성금으로 1956. 11. 29 건립. 이은상 글 손재형 글씨.
벽파정.
올라가는 계단은 돌을깎아 만들었다.
벽파정.
눌러보세요.
벽파정은 1207년(고려희종3년)에 창건하여 1465(조선 선조11) 중건하였으나 허물어진것을 2016년 재건하였다.
이충무공 벽파진 전첩비.
이충무공 벽파진 전첩비.
2001년 10월 30일 진도군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1597년(선조 30) 9월 충무공 이순신(李舜臣 1545~1598)이 거둔 명량대첩(鳴梁大捷) 승첩을 기념하고, 해전에서 순절한 진도 출신 참전자들을 기리기 위하여 1956년 11월 29일 건립한 비석이다.
비신 높이 3.8m·폭 1.2m·두께 58cm 크기로, 비문(碑文)은 노산 이은상(李殷相 1903~1982)이 짓고, 글씨는 진도 출신의 서예가 소전 손재형(孫在馨 1903~1981)이 썼다. 벽파진(碧波津)은 명량해협의 길목으로, 진도의 관문 역할을 하였던 나루터를 말한다.
진도타워에 있는 사진이다.
벽파정에서 본 벽파항.
15 : 41. 벽파방조제를 건너간다.
벽파방조제.
15 ; 49. 벽파방조제 건너 서해랑길은 좌측으로 돌아 연동마을로 가 우리는 우측으로 연동마을로 간다.
뒤 돌아 본 벽파정.
살짝 당겨보고
서해랑길은 좌측으로 산을 돌아간다.
우측으로 가면
15 : 53. 801도로. 좌측으로 공사 중인 도로를 따라간다.
16 ; 03. 연 마을회관. 연동마을버스종점. 16 : 20분에 진도 터미널에서 출발하는 버스를 기다린다.
연동마을 버스종점.
서해랑길을 따라오면 이길로 나올것이다.
연동마을 회관.
서해랑길은 해안으로 안가고 저 골짜기로 올라가서 산넘어 용장사앞에서 6코스가 끝니고 7코스로 들어 진도지맥을 넘어간다.
16 : 45. 연동마을에서 70-3번 버스 타고(1000x2). 진도 전 지역 시내버스는 카드는 안되고 현금만 된다.
17 : 00. 진도 터미널 도착. 예약한 대동모텔로 가는 길에 GS25 시에서 우유. 빵 3등을 사고
대동모텔에서 1박.(3박에 150000인데 카드, G마켓 할인받아 121130).
방 뜨끈하고 깨끗하고 스타일러. 공기청정기. 테이블과 의자 있어 시설 좋고 사장님 마음씨도 좋아 강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