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간[天干]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
|
적용 서기연도 |
4 |
5 |
6 |
7 |
8 |
9 |
0 |
1 |
2 |
3 |
|
|
12지[地支]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적용 서기연도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 |
2 |
3 |
1. 천간을 계산하는 방법
먼저 천간을 계산하는 방법은 쫌 쉽다. 어떤 서기연도의 끝자리 숫자만 보고 1이면 ‘辛(신)’,
2면은 ‘壬(임)’ 하는 식으로 정해진다.
2. 지지를 계산하는 방법
천간은 열 개이기 때문에 10진법으로 누적되는 해당 연도를 10으로 나누어서 나머지를
가지고 대입하면 똑 떨어져서 간단히 계산되지만, 지지는 12개이기 때문에 해당 연도를 12로
나누어서는 안 됩니다.
여기서 천간과 지지가 결합한다는 점을 감안해, 먼저 익히 알고 있는 60(갑자)으로 나누고
나머지가 12보다 크다면 그것을 다시 12로 나누어 나머지 숫자를 확인하면 됩니다.
< 예시 >
▶ 2001년은 무슨 해?
끝자리가 1이니까 천간은 ‘辛(1)’에 해당하고,
60으로 나누면 나머지가 21, 21 나누기 12는 나머지가 9니까 지지는 ‘巳(9)’에 해당.
☞ 2001년은 辛巳年(신사년)
▶ 임진왜란이 1592년에 일어난 것인지 확인하면?
끝자리가 2니까 천간은 ‘壬(2)’
1592 나누기 60은 32, 다음에 32 나누기 12는 나머지가 8, 그럼 지지는 ‘辰(8)’
☞ 1592는 壬辰年(임진년)
Ⅱ. 간지연도 표기를 서기연도로 계산하는 방법
10단위의 천간부분은 앞에서처럼 서기 연도 끝자리 숫자를 그대로 적용합니다.
12단위의 지지부분은 12를 기준으로 4,5,6~11,12,1,2,3으로 각각 대입시켜 놓고,
그런 뒤에 변경하고자 하는 지지부분의 끝에 대입된 숫자에 0부터 12씩을 더해 나가면서
앞의 천간부분의 끝자리 숫자와 동일한 숫자의 연도가 바로 서기연도가 됩니다.
그런 그 뒤에 60씩 더해나가면 모두 동일한 간지연도표기의 서기연도가 나옵니다.
예) 기미년은 언제, 언제 인가?
1) 천간이 기 이므로 끝자리는 9가 되어야 함.
2) 지지는 미 이므로 12로 나눈 나머지가 11.
따라서 60으로 나눈 나머지가
11(=12*0+11),
23(=12*1+11),
35(=12*2+11), 47, 59 의 5 종류가 있을 수 있음.
3) 위 5종류의 나머지들 중, 1)에 의해서 끝자리가 9인 59년을 기준으로 하여
4) 59+(60*n)의 해에 해당됨. (단 n = 0,1,2,3,,,,). 따라서 59년, 119년,,, 2039년등등
예) 임진년은 언제, 언제인가?
1) 천간이 임 이므로 끝자리가 2
2) 지지는 진이므로 12로 나눈 나머지가 8
따라서 60으로 나눈 나머지가 8, 20, 32, 44, 56 의 5가지 종류
3) 여기서 끝자리가 2인 32를 기준하여
4) 32+(60*n)의 해임
즉 32년, 92년,,,, 1532년, 1592년 등등
첫댓글 유익한 자료 감사합니다!
잘 활용해 보세요 ^^*
땡큐 이제 어른들이 손을 꼽으면서 나이를 계산하는 방법을 알게 됬군요 감사합니다.
선생님이 쉽게 얘기 해 줘서 그런지 알고 나니까 상당히 쉬운데요.
유용하게 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2001년 나누기 60하면 나머지가 21이 아니라 33.35가 나오네요
2001년은 60년이 33번 들고 그리고 남는 해가 21년 이란 뜻 입니다.
즉 2001을 60으로 나누면 33.35가 나오는 것이 맞습니다.
일단 소수점은 생각말고 60 X 33하면 = 1,980 .
그러니깐 1,980이 2,001이 되려면 1,980+21 해야겠죠.
정말 도움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