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8.28-恒産과 恒心.hwp
恒産과 恒心(항산과 항심) - 孟子 -
無恒産而有恒心者는 惟士爲能이어니와
무 항 산 이 유 항 심 자 유 사 위 능
若民則無恒産이면 因無恒心이라
약 민 즉 무 항 산 인 무 항 심
苟無恒心이면 放辟邪侈를 無不爲已니
구 무 항 심 방 벽 사 치 무 불 위 이
及陷於罪然後에 從而刑之면 是, 罔民也니
급 함 어 죄 연 후 종 이 형 지 시, 망 민 야
焉有仁人在位하여 罔民을 而可爲也리오?
언 유 인 인 재 위 망 민 이 가 위 야
是故, 明君이 制民之産하되 必使仰足以事父母하며
시 고, 명 군 제 민 지 산 필 사 앙 족 이 사 부 모
俯足以畜妻子하여 樂歲終身飽하고
부 족 이 휵 처 자 낙 세 종 신 포
凶年에 免於死亡하나니 然後驅而之善이라
흉 년 면 어 사 망 연 후 구 이 지 선
故로 民之從之也. 輕하나이다.
고 민 지 종 지 야. 경
풀이 : 일정한 생업이 없으면서도 떳떳한 마음을 가지고 있는 자는 오직 선비만이 가능한 일이요, 백성으로 말하면 떳떳이 살 수 있는 생업이 없으면 항심이 없어지는 것이다.
만일 항심이 없어진다면 방탕하고 편벽되고 간사하고 사치함을 “하지 않을 수 없으니” 그리하여 죄에 빠진 뒤에 이들을 형벌한다면 이것은 백성들을 그물질 하는 것이다. 어찌 仁人(王)이 지위에 있으면서 백성들을 그물질 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현명한 군주는 백성들의 생업을 만들어주되 반드시 위로는 족히 부모를 섬길만하며 아래로는 족히 처자를 거느릴만하여 풍년에는 일 년 내내 배부르고 흉년에는 죽음에서 면하게 하나니, 그런 뒤에야 백성들을 몰아서 선으로 이끈다. 그러면 백성들이 명령을 따르기가 쉬운 것이다.
恒 |
뜻 : 항상, 언제나, 늘
음 : 항 |
産 |
뜻 : 낳다, 생산하다
음 : 산 |
惟 |
뜻 : 오직, 생각하다
음 : 유 |
爲 |
뜻 : 하다, 위하다
음 : 위 |
若 |
뜻 : 같을
음 : 약 |
民 |
뜻 : 백성
음 : 민 |
因 |
뜻 : 인할
음 : 인 |
苟 |
뜻 : 진실로, 만약에,
구차하다
음 : 구 |
放 |
뜻 : 놓다, 석방함, 멋대로
음 : 방 |
辟 |
뜻 : 임금, 법, 허물
음 : 벽 |
邪 |
뜻 : 간사하다
음 : 사 |
侈 |
뜻 : 사치할
음 : 치 |
已 |
뜻 : 그치다, 버리다,
그만두다
음 : 이 |
及 |
뜻 : 미치다, 도달하다
음 : 급 |
陷 |
뜻 : 허방다리, 빠지다,
떨어지다,
음 : 함 |
罪 |
뜻 : 허물, 잘못
음 : 죄 |
然 |
뜻 : 그러할
음 : 연 |
後 |
뜻 : 뒤
음 : 후 |
從 |
뜻 : 좇을, 따르다
음 : 종 |
刑 |
뜻 : 형벌
음 : 형 |
罔 |
뜻 : 그물
음 : 망 |
於 |
뜻 : 어조사 (목적과 동작, 장소와 동작, 앞의 문장과 뒷문장의 비교를 나타냄)
음 : 어 |
也 |
뜻 : 어조사 (句末에 붙어 결정의 뜻을 나타냄)
음 : 야 |
制 |
뜻 : 마르다, 만들다
음 : 제 |
焉 |
뜻 : 어찌, 의문 • 반어의 뜻. 이에, 이리하여 등
음 : 언 |
必 |
뜻 : 반드시, 오로지
음 : 필 |
是 |
뜻 : 이것, 지시하는 말, 여기, 이곳, 옳다
음 : 시 |
畜 |
뜻 : 기를, 六畜, 쌓다
음 : 축, 휵 |
故 |
뜻 : 연고, 사건, 옛날, 그러므로, 본디, 이유
음 : 고 |
妻 |
뜻 : 아내, 시집보내다
음 : 처 |
使 |
뜻 : 하여금, 부리다, 심부름꾼, 사신
음 : 사 |
世 |
뜻 : 해, 나이, 세월, 대
음 : 세 |
仰 |
뜻 : 우러르다, 전경, 사모, 위쪽을 봄
음 : 앙 |
終 |
뜻 : 마치다, 다하다, 죽다
음 : 종 |
俯 |
뜻 : 구부리다, 머리를 숙임, 드러눕다
음 : 부 |
飽 |
뜻 : 배부르다, 만족하다
음 : 포 |
樂 |
뜻 : ① 즐거울 락 ② 좋아할 요 ③ 음악 악 |
驅 |
뜻 : 말을 몰다
음 : 구 |
輕 |
뜻 : 가볍다, 깔보다, 경솔하다, 쉽다
음 : 경 |
善 |
뜻 : 착하다, 좋다
음 : 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