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천세헌록을 말하다”세미나 성공리에 개최되다
7.20. 영덕문화원에서 개최된 (신)안동김씨 사직서령공파 영해문중이 주최한 “양천세헌록을 말하다” 발표회가 80여명이 청중이 참석한 가운데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양천세헌록은 축산항 입구 도치머리에 서 있는 정효각에 얽힌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1830년대 영해부 남면 양장동(현재 축산2리)에 신안동김씨가 살고있었다. 병형-성균-제진 3대가 효행이 뛰어났다. 이에 영해부를 중심으로 경상도 충청도등의 유생들이 그들을 포상하라는 상소를 23번 올렸다. 그 결과 1857년 철종으로부터 정려를 받아서 1867년 정효각이 건립된 것이다. 정효각의 편액은 우의정을 지낸 민규호가 적었고 예조판서를 지낸 김병교가 적은 정효각기라는 현판이 있다. 김병형과 김성균에 대한 양대의 비석이 정효각내에 서있다. 이들 상소문과함께 김제진과 그 동생인 김관진이 받은 편지글 등이 모아져서 후세에 전해져왔다. 이들을 모아서 김수동 선생이 양천세헌록이라는 이름을 붙였고 1989년 김진현에 의해 양천세헌록이 필사본으로 책자로 만들어졌다. 그 번역작업으로 한글판 양천세헌록이 3년전에 출간되었고 이번에 출판 기념회를 가지게 된 것이다.
김상근 총무의 사회로 세미나가 시작되어 김관현 회장의 개회사, 김광열 영덕 군수의 축사, 김두기 영덕문화원장의 축사가 이어졌다. 이철우 경북 도지사, 박형수 국회의원의 축하전보도 소개되었다.
이어서 김인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의 양천세헌록 소개, 신창호 고려대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의 양천세헌록의 의의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김수태 충남대 교수와 이완섭 영덕문화원 사무국장이 토론자로 나섰다.
김인현 교수는 자신도 이 집안의 후손인데 번역작업에 관여했다고 밝혔다. 이 책은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효행에 대해 포상하라는 내용의 상소문이고 다른 하나는 편지글 모임이다. 23번의 상소문은 김병형과 김성균에 대한 것과 김제진에 대한 것도 포함되어있다. 1857년 김병형에 대해 정려가 내려져 1867년 정효각이 만들어졌다. 김제진의 지인인 김병교 예조판서의 글, 1839년 이장우 영덕현감의 편지글이 3통이나 남아있어서 사료로서 가치도 크다. 이 집안은 이후에 크게 번성했는데 효행이 바탕이 된 것이다. 양천세헌록은 1830년-1860년대 영덕지방의 사회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기록이다. 영덕북부지방을 역사해양관광지를 만들 때 또 하나의 역사적인 사료로서 양천세헌록과 정효각이 활용되기를 바란다며 마무리를 했다.
신창호 교수는 자신이 이 책자의 번역을 총괄책임을 졌다고 밝혔다. 김수동 선생이 집안에서 내려오던 서류를 분류하여 이름을 붙였고 1989년 김진현 선생이 양천세헌록이라는 책으로 펴냈다. 이 책은 서지학적으로도 가치있는 2대에 걸친 효행록이다. 효도라는 것이 조선의 큰 지도이념으로 중요하게 여겨졌다. 정부로터 포상을 받은 정효각은 집안에서 세운 효자각과 다른데, 안동김씨 영덕 집안의 이 정효각은 품격높은 것이다. 1839년 명란을 보낸 사실, 영덕현감의 편지글에서 담양에서 빗을 팔러오는 이야기등은 사회상을 알수 있는 좋은 기록이다.
강구출신인 김수태 교수는 신안동김씨 가문에서 3대에 걸쳐서 효자가 나왔다는 개인 집안의 자랑에 그쳐서는 안되고 이런 효행이 어떤 맥락에서 나왔는지 사회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고 말했다. 통상 이런 행사에는 집안 사람만 참석하는데 오늘 행사는 외부에서 많은 분들이 오셔서 가치있는 행사가 되어서 좋다. 상소가 여러 지방의 여러 사람에 의하여 이루어졌는데 이들과 어떻게 주인공들이 관계를 맺으면서 이들이 공론으로 세분에 대한 효행을 강조하려했는지 가능했는지 더 연구가 되면 좋겠다거 말했다.
이완섭 국장은 영덕이라는 이름의 덕은 어짊을 말하는데 영덕은 효성이 가득한 곳이다고 말했다. 양천세헌록은 효도의 기록이다. 이를 통하여 영덕의 효행을 자랑하고 문화가 깊다는 것을 알리자. 번역본이 젊은 세대들이 쉽게 접근하게 학교등에도 배포되면 좋겠다. 이런 번역작업이 다른 집안에 보관중인 자료에도 빨리 이루어지길 원한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광열 군수, 황재철 도의원, 배재현 국의회 부의장, 김일규 군의원, 신정희 군의원, 최대석 문화관광과장, 김두기 영덕문화원장, 조용택 전 교육장, 이덕희 전 청송문화원장, 김달현 영덕군 축산면 노인회장 등 80여명이 참석하여 성황을 이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