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기별 연주곡 - 바이올린(Violin)
• 바흐(Bach)의 G선상의 아리아(Air on the G string, 1731년 작곡)
• 사랑의 기쁨(Plaisir D'amour, by Nana Mouskouri(1968), 1784년 프랑스 Martini 곡)
• 아베 마리아(Ave Maria, 슈베르트 1825년 작곡)
• 파가니니(Paganini, 1782-1840) : La Campanella(라 캄파넬라, 바이올린 협주곡 2번, 이 곡은 리스 트가 1838년 쉽게 편곡) / 파가니니의 바이올린 협주곡 1번 / 무궁동(Moto Perputuo Op.11) 등
※ 파가니니(Niccolo Paganini)는 천재 바이올린 연주가(일명, 악마의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작곡가, 그 는 4옥타브에 걸치는 넓은 음역을 자유자재로 구사했으며 음을 하나하나 끊어 연주하는 스타카토 주법, 현을 손끝으로 튕겨서 소리를 내는 피치카토 주법. 현에 손가락을 가만히 대서 휘파람 같은 소리를 내는 하모닉스, 이중 트릴 등 화려한 연주 기법을 만들어 냈다. 그의 놀라운 연주를 들은 관객들은 감동한 나 머지 집단 히스테리를 일으키기도 했다. 나폴레옹의 여동생 보나파르트는 그의 연주만 들으면 까무러쳤 다. 그래서 그가 악마에게 영혼을 팔아 탁월한 실력을 얻었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 악마의 트릴(Il Trillo del Diavolo(Devil's Trill) by 이태리 G. Tartini(주세페 타르티니, 1692-1770) 작곡)
• 사랑의 기쁨(Liebesfreud, by 오스트리아 미국 바이올리니스트 Fritz Kreisler)
※ 크라이슬러(F. Kreisler, 1872-1962)는 파가니니(Niccolo Paganini, 이태리, 1782-1840), 파블로 데 사라사테(Pablo de Sarasate, 스페인, 1844-1908), 야사 하이페츠(Jascha Hefetz, 리투아니 아-미국, 1901-1987)과 함께 세계 4대 최고 바이올리니스트(세계 3대는 파가니니, 크라이슬러, 사라 사테)
• 사랑의 슬픔(Liebesleid, by Fritz Kreisler, 1910)
※ 크라이슬러의 대표곡은 이 곡과 함께 사랑의 기쁨(Liebesfreud), 아름다운 로즈마린(Schön Rosmarin)
• 아름다운 로즈마린(Schön Rosmarin, by Fritz Kreisler)
• 지고이네르바이젠(Zigeunerweisen op.20, by Pablo de Sarasate(사라사테) 1878년 작곡) ※ 사라사테의 이 곡은 파가니니 곡에 버금가게 연주하기 어려운 곡으로 꼽히며, 바이올린 전공자에게는 파 가니니와 같이 가장 중요한 인물로 간주, 그의 곡은 이 외에 서주와 타란텔라, 카르멘 환상곡 등
• 안달루시아(Analuza, by 스페인 E. Granados(그라나도스, 1867-1916) 작곡)
• 사랑의 인사(Salute d'amour(Love's greeting), by 영국 Edward Elga 1888년 작곡)
• 유모레스크(Homoresque, by 오스트리아 제국(지금의 체코) A. Dvorak(드보르작, 1841-1904) 1894년 작곡)
• 타이스의 명상곡(Meditation from Thais, by 프랑스 J. Massenet(마스테, 1842-1912) 1894년 작 곡)
• Beautiful dreamer(꿈길에서, 1862년 Stephen C. Foster 작곡)
※ 미국 민요의 아버지이자 미국의 슈베르트로 불리는 S. Foster(포스터)는 대중음악 작곡가의 효시. 이 곡 외에 오 수재너(Oh! Susanna, 1848), 스와니 강(1851), 켄터키 옛집(1853), 금발의 제니(1854) 등 다수의 세계적 애창 가곡을 작곡 / 저작권 개념이 거의 없던 시절, 그는 오 수재너란 곡을 음악 출판 업자에게 단돈 100달러로 팔았지만, 이 노래가 히트를 치면서 출판업자는 수만 달러의 수익을 올려 그 는 개털이 된 셈/
• Home, sweet home(1823년 미국 오페라 곡, 영국 Henry Bishop 작곡, 미국 남북 전쟁 때 애창곡)
• 작은 별(Estrellita, by 멕시코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 M. Ponce(폰세) 1912년 작곡)
• 하바 나길라(Hava Naguilla, 1915년 곡, '우리 모두 기뻐하자‘라는 뜻)Hava Nagila,
• 베사메 무쵸(Besame Mucho(=kiss me a lot), 1940년 C. Valazquez와 Trio Los Panchos 노래)
• 땅벌의 비행(Flight of the bumblebee, by Nikolai Rimsky-Korsakov(림스키-코르사코프, 러시아, 1844-1908) 1900년 작곡)
• 사랑의 찬가(Hymne A L'amour, by 프랑스 Edith Piaf, 1950년 노래)
• One way ticket(by Neil Sedaka(1959), 1978년 Eruption 리메이크)
• You mean everything to me(by Neil Sedaka, 1960)
• Sad Movies(by 미국 Sue Thompson, 1961)
• The end of the world(by Skeeter Davis, 1962)
• The house of the rising sun(by The Animals, 1964)
• Unchained melody(by 미국 The Righteous Brothers, 1965, 1955년 Les Baxter 곡)
• Hey Jude(by The Beatles, 1968)
• Those were the days(by 웨일스 Mary Hopkins(1968), 1930년대 러시아 노래)
• Speak softly love(1972년 영화 대부(The Godfather) OST, by Andy Williams)
• My way(by Frank Sinatra, 1969)
• Don't forget to remember(by Bee Gees, 1969)
• A love idea(by 영국 Mark Knopfler, 1969)
• Bridge over troubled water(by Simon & Garfunkel, 1970)
• Help make it through the night(by Kris Kristofferson, 1970)
• Czardas(by Paul Mauriat, 바이올린 연주곡)
• 집시 바이올린(Gypsy Violin, 1970년 영화 밀애(Darling Lily) OST)
• The saddest thing(by 미국 Melanie Safka. 1971)
• Honesty(by Billy Joel, 1978)
• When I dream(by Crystal Gayle(1978), 1999년 한국 영화 쉬리 OST)
• 당신 곁에 소중한 사람(Jeg Ser Deg Sote Lam by 스웨덴 Susanne Lundeng, 1997)
• Poeme(by 노르웨이 Secret Garden, 1997, 바이올린 연주) / You raise me up(by 노르웨이 듀엣 Secret Garden 작곡 & 노래(2001), 2005년 Westlife 노래) 등
• Moldova(by 몰도바 Sergei Trafanov, 1997) / Deux guitars(by Sergei Trafanov, 2000)
※ 세르게이 트로화노프(Sergei Trafanov, 1960년 생)은 몰도바 공화국(루마니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에 있는 소련 자치국) 출생 바이올린 연주가 겸 작곡가로, 집시 바이올린의 세계적 거장. 러시아 국립오 페라단에서 일하다가 캐나다로 이주하면서 솔로 활동. 대표곡으로는 이 곡 외에도 Adios(2000), Czardas(2000), Goldilocks(2000), Dark eyes(1999, 우크라이나 민요), Corsica(2002), Duex guitars 등
(클래식 음악)
• 헨델의 사라방드(Salabande)(by 독일 Hendel(1685-1759) 작곡)
• 바흐(Bach) : 2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 / 무반주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와 파르티타(Sonatas and Partitaa fo solo violin, 1720) / 바이올린 협주곡 1번 / 바이올린 협주곡 2번
• 모차르트(Mozart) : 바이올린 협주곡 5번 A 장조(1775) / 신토니아 콘체르탄데(Sintonia Concertante) / 바이올린 협주곡 3번(1775) / 교향곡 40번 G 단조(1774)
• 베토벤(Beethoven) : 바이올린 소나타 5번 봄(1801) / 바이올린 소나타 9번 A 장조(1803) / 바이올린 협주곡 D 장조(1808) / 로망스 제2번 F 장조
• 슈베르트(Schubert)의 세레나데
• 동물의 사육제 중 백조(by 프랑스 Camille Saint-Saëns(생상스, 1835-1921) 1861년 작곡)
• 차이콥스키 : 감성적인 왈츠 F 단조(원래 첼로 연주곡) / 바이올린 협주곡 D 장조
• 시벨리우스의 바이올린 협주곡 D 단조(by 핀란드 J. Sibelius(1865-1957) 1905년 작곡)
• 보칼리제(Vocalise)(by 러시아계 미국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 Rachmainoff 1915 년 작곡)
• 페르귄트 모음곡 중 아침(by 노르웨이 Grieg 1875년 작곡)
• 멘델스존의 바이올린 협주곡 E 단조 Op.64(by 유태계 독일 Mendelssohn(멘델스존, 1809-1847)
※ 이 곡은 흔히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 D 장조, 브람스 협주곡 D 장조와 함께 세계 3대 바이올린 협주곡 중 하나.(세계 4대에는 차이콥스키 바이올린 협주곡 D 장조가 포함)
• 브루흐의 바이올린 협주곡 1번 G 단조(by 독일 Max F. Bruch(1838-1920) 1867년 작곡)
※ 세계 5대 바이올린 협주곡에 들어가 있는 이 곡은 그의 친구이자 19세기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인 요제 프 요하임(J. Joachim, 1831-1907, 헝가리 태생 유대계 오스트리아, 브람스와도 친분)에게 헌정
• 브람스(Brahms) : 바이올린 협주곡 D 장조(1878) / 바이올린 소나타 3번(1888) / 헝가리 무곡 5번
• 비발디(Vivaldi) : 바이올린 협주곡 4계 중 겨울 2악장(1725) / 4계 중 여름 3악장 / 4계 중 가을
• 프랑크의 바이올린 소나타 A 장조(by 벨기에 Cesar A. Franck(1822-1890) 작곡)
• 프로코피에프의 바이올린 협주곡 1번(by 러시아 S. Prokofiev(1891-1953) 작곡)
• 비예니아프스키의 바이올린 협주곡 2번 2악장 로망스 / 비에니아프스키의 전설(Legend Op.17)(by 폴란 드 H. Wieniawski(1835-1880) 작곡)
• 슈만의 3개의 로망스 Op.94-2(by 독일 R. Schumann, 1810-1856) 작곡)
• 슈크의 엘리지(Elegy) Op.23(by 체코 Josef Suk(1874-1935) 작곡)
• 글라주노프의 바이올린 협주곡 A 단조(by 헝가리 Glazunov(1865-1936) 1905년 작곡)
• 랄로의 스페인 교향곡(by 프랑스 E.V. Lalo(1823-1892) 작곡, 1875년 Sarasate 연주)
• 바르톡의 바이올린 협주곡 2번 G 장조(by 헝가리 Bela Bartok(1881-1945) 작곡)
• 라벨의 찌간느(Tzigane)(by 프랑스 Mauris Ravel(1875-1937) 작곡)
• 비탈리의 샤콘느(Chaconne)(by 이태리 바이올리니스트 겸 작곡가 Viatli(1632-1692) 작곡)
※ 지상에서 가장 슬픈 음악
• 가보트(by 프랑스 Gossec(고세크), 1780년 경)
• 스트라빈스키의 세레나데(by 미국 Stravinsky(1882-1971)작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