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푸른 언덕위에 원문보기 글쓴이: 여행나라
♧ 백두산(서파→북파)종주길의 아름다운 풍경과 야생화 ♧
▒ 언 제 : 2009. 07. 26 (일요일) ▒ 어디로: 백두산(장백산) ▒ 코 스 : 서파 - 북파 종주 (약8시간) ▒ 식 수 : 천지주변 계곡해결 ▒ 카메라 : OLYMPUS FE-300/1200백만화소급/3배줌/자동카메라 ▒ 사진 및 편집 : 여행나라 & 마틸다 ▒ 스크랩 : 허용 ▒ 내용출처 : 국가생물종정보시스템, 네이버백과 발췌,
# 이도백화에서 1박을하고 새벽에 서파로 이동중...
# 비좁은 1차선 콘크리트 포장길..
# 서파 주차자에 도착하여 ,,,아침은 도시럭으로 해결...
# 일요일이라 그런지 이미 주차장은 만원 ...
# 장백산...중국에서 부른 백두산의 이름..
# 이곳 서파 주차장에서 셔틀버스로 백두산 아래까지 이동한다
# 서파주차장까지 오가는 저상식 셔틀버스 ..
# 입장권 --원화로 약 33.600원/1인
# 백두산으로 가는길....
# 백두산(장백산)으로 가는 길은 주변이 초원이다 ...
# 차창밖으로 ... 그림같은 초원이 펼쳐진다
# 금방이라도 내려서 야샹화가 만발한 초원으로 가고싶은 충동이다 하양꽃은 꿩의다리..
# 수목 한계선쯤일까 ...구분이 들어고도가 높아진다 .. 푸른 초원에는 산능선에는 수목이 없어 손을 내미면 금방 하늘이 잡일듯...
# 푸른 초원을 가로지른 버스는 경사진 도로따라 구불 구불한 길을 잘도 오르내린다.
# 초원에 핀 노란꽃(금매화),,,보라꽃(하늘매발톱)이 만발하다 .
# 주차장에 다달으니 구름이 시샘한다.
# 주차장에 도착하니 영상 8도 .... 싸늘한 날씨인데 야생화가 만발했다 키가큰 꽃은 "박새"
# 주차장에서 천지로 오른 계단 ...
# 씨범꼬리
이명 : 무강범의꼬리, 씨범꼬리풀.가는범꼬리·큰산범의꼬리·가는잎씨범꼬리라고도 한다 학명 : Bistorta vivipara (L.) Gray 분류 : Polygonaceae(마디풀과)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중국 동북부 고산초원에 난다. 북부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크기 : 키 10-30cm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수상화서에 달리며 연한 홍색이다. 화경(花莖)은 높이 10-30cm이고 수상화서는 길이 2-5cm로서 밑부분에 길이 2.5mm 정도의 난원형 주아(珠芽)가 달리며 화피는 길이 3mm정도이고 수술은 8개, 암술은 1개이며 암술대는 3개로서 길게 꽃 밖으로 나온다. 열매 : 결실하지 않는다. 용도: 호범꼬리와 비슷하나 포기 전체가 작고 꽃은 더욱 작다. 밀원식물이며 목초로도 쓴다. 북한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고 있다.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와 백두산 분화구 바로 아래에서 자라며, 북반구의 온대에서 한대에 걸쳐 분포한다.
# 하늘매발톱
# 비로용담 [毗盧龍膽] 도울비/밥그릇로/용용/쓸개담]
이명: 비로봉용담, 비로과남풀, 백산용담이라고도 한다 학명: Gentiana jamesii Hemsl. for. jamesii 분류: Gentianaceae(용담과) 쌍떡잎식물 용담목 용담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한국,일본,만주, 크기: 높이 5~12cm 꽃 : 7~9월에 짙은 벽자색의 꽃이 피는데 화경이 없다. 꽃의 길이는 25-30mm이고 꽃받침통은 길이 6-8mm이며 열편은 난형이고 끝이 둔하며 통부 길이의 1/3-1/4이고 화관통부는 좁으며 열편은 통부 길이의 1/3-1/4이고 열편 사이에 있는 부편은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삼각형으로서 안쪽을 향해 후부를 덮고 있다. 열매: 삭과의 과병은 밖으로 나오며 종자는 방추형이다. 용도: 뿌리의 맛이 쓰다 하여 용담이라 하고 약용으로 쓰이며 어린 순과 잎은 먹는다. 북한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고 있다. 한국(강원도 이북)·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비로용담(for. albiflora)이라고 한다.
꽃잎들이 날까로운 녀석 ... 루드베키아 닳았다
# 화살곰취
학명: Ligularia jamesii (Hemsl.) Kom. 영문: James Goldenray 분류: Compositae(국화과) 다년생초본 분포: 한국의 북부 지방과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 북부지방의 고산지대 고원지 습지에 자생하는 고산식물 크기: 높이 20-60cm 가량 된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황색이며 줄기 꼭대기에 1개의 두상화가 달린다. 두화는 1개이고 지름 6.5-8cm이며 포엽은 선형으로서 총포보다 짧고 총포는 통상 종형이며 길이 15mm, 지름 19mm로서 적자색이고 밑부분에 털과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포편은 1줄로 배열되고 13개로서 끝에 털이 다소 있다. 열매: 수과는 길이 7mm로 원추형이며 털이 없고 관모는 적갈색이며 꽃이 필 때는 길이 7-8mm로서 화관과 길이가 비슷하고 9월에 익는다. 용도: 어린잎은 식용하고 민간에서 전초 및 뿌리를 진정,진통,보익등 약으로 쓴다.
# 7월의 끝자락에 봄같은 느낌이다 ...보라색은 "하늘매발톱" 이 지천에 피었다
# 천지로 오르는 길은 꽃동산 ...
# 뒤돌아본 주차장방면...
# 오르는 길목에 좌측으로 중앙에는 아직도 잔설이 남아있다
# 우측 능선.. 고산 지역을 실감케한다 .. 나무가 없는 지역이다
# 고산지역이라 계단을 오르는데 숨이 가프고 다리도 퍽퍽하고 쉽지않다
# 여행규정준수.... 우리나라 같으면 국립공원지역을 보존 ..
# 건너 편에는 북한땅이지만 중국 국인이 경계를 넘지 못하게 통제하고 있다.
# 5호 경계비
# 서파 5호 경계지역에서 구름사이로 잠시 천지를 보고 ... 집결...
# 나도개미자리 이명 : 털산개미자리, 산솔자리풀, 큰산개미자리 학명 : Minuartia arctica (Steven ex Seringe) Graeb. 분류 : Caryophyllaceae(석죽과)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의 특산종. 우리 나라 북부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가 5cm가량 된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백색이고 대개 가지 끝에 1송이씩 달리지만 엽액에 달리는 것도 있으며 꽃받침잎은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길이 4-6mm로서 가장자리 는 막질이고 뒷면에 3맥이 있다. 꽃잎은 백색이며 넓은 도피침형이고 길이 7-9mm로서 끝이 다시 파지며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긴 타원형이고 길이 8mm정도로서 꽃받침보다 1.5배 정도 길다. 종자는 난형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다. 용도 : 식용. 약용
# 하늘매발톱 이명: 골매발톱꽃, 산매발톱꽃, 시베리아매발탑꽃, 하늘매발톱꽃 학명: Aquilegia japonica Nakai & H.Hara 분류: Ranunculaceae(미나리아재비과)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낭림산 이북에 나며 일본, 만주에 분포한다. 크기: 높이 15~30cm이다. 꽃 : 꽃이 7~8월에 밝은 하늘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1~3개씩 하향하여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난형으로 끝이 둔하고 벽색이며 꽃잎 5, 수술 9~10, 암술 2~4개이다. 거는 끝이 가늘어져 안쪽으로 굽으며 둥글다. 열매: 과실은 골돌로 5개이며 길이 2~3cm이고 털이 없다. 용도: 관상용으로 심는다. 북한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 "구름송이풀" (분홍꽃) 이명: 고산송이풀, 올송이풀 학명: Pedicularis verticillata L. 영문: Whorledleaf Woodbetony 분류: Scrophulariaceae(현삼과)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아시아,유럽,북미 크기: 높이가 5-15cm정도이다. 꽃 : 화서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홍자색으로서 정생하는 총상화서에 밀집하여 달리며 포는 꽃받침보다 길고 삼각형으로서 우상 장상으로 갈라지며 밑부분이 좁다. 꽃받침은 길이 3-5mm에서 8mm정도로 자라고 10맥이 있으며 앞쪽이 중앙까지 갈라지고 끝이 5개로 갈라진다. 화관은 길이 1.5cm이고 순형으로 상순은 곧고 끝이 부리처럼 되며 하순은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이다. 열매: 삭과는 피침형으로 길이 15mm이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황갈색으로 8월에 익는다. 종자는 길이 3mm로서 겉에 그물눈이 있다. 용도: 밀원식물이며 어린 순을 먹는다. 북한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고 있다
# (산)솜방망이 이명: 들솜쟁이, 산방망이, 소곰쟁이,구설초(拘舌草)·풀솜나물이라고도 한다 학명: Tephroseris kirilowii (Turcz. ex DC.) Holub 분류: Compositae(국화과)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크기: 높이 20-65cm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3-4cm로서 3-9개가 산방상 또는 산형 비슷하게 달리며 화경은 길이 1.5~5cm로서 백색 털로 덮여 있다. 총포는 통형이고 길이 8mm, 폭 11mm이며 포린은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고, 설상화는 1줄로 배열되는데 길이가 12-16mm, 폭은 2~3mm로 황색이다. 열매: 수과는 길이가 2.5mm이며, 원통형이고 털이 밀생한다. 관모는 길이 11mm로 설백색이 난다. 용도: 어린 순을 나물로 하고 꽃 부분을 거담제로 사용한다. 전체가 거미줄 같은 흰 털로 덮여 있어 솜방망이라고 부른다
# 담자리(참)꽃나무
이명: 담자리꽃,모전화수(毛氈花樹), 다변목(多辨木)이라고도 한다 학명: Dryas octopetala var. asiatica (Nakai) Nakai 영문: Mountain Avens 분류: Rosaceae(장미과)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상록활엽 소관목 분포: 평북, 함남북에 나며 일본, 만주, 우수리, 사할린에 분포한다. 크기: 잎 길이 1∼2cm, 폭 6∼15mm, 꽃 지름 2cm 꽃 : 꽃은 6월에 백색으로 피고 길이 3~10cm의 화경 끝에 1개씩 달리며 꽃의 지름은 2cm 정도이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각 8~9개이고 수술과 암술대가 많으며 암술대는 자방과 더불어 털이 있다. 열매: 과실은 수과로 백모가 있고 화주는 과시에 3cm로 신장하며 흰색의 긴 털이 우상으로 난다. 형태 : 풀 같은 상록성 낙엽활엽 소관목 용도: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는다. 북한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고 있다.
# 두메자운 이명: 두메돔부·장백국두라고도 한다 학명: Oxytropis anertii Nakai ex Kitag. 분류: Leguminosae(콩과)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중국(동북)에 분포한다. 낭림산 이북의 높은 산에서 자란다. 크기: 높이가 12cm정도로 자란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홍자색이며 긴 화경끝에 1-5개가 밀집되어 총상화서로 달린다. 소포는 피침형이며 막질이고 길이 15mm정도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꽃받침은 종형이며 겉에 긴 털이 있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기판은 도란형으로서 끝이 파지고 익판은 기판보다 다소 짧으며 끝이 비스듬히 파지고 용골판이 가장 짧다. 열매: 협과는 부풀며 긴 타원형이고 겉에 긴 털이 있으며 길이 2cm 정도로서 긴 부리가 있고 5개 정도의 종자가 들어 있다. 용도: 관상용이나 밀원보조용으로 쓴다
# 호범꼬리 이명: 북범의꼬리 학명: Bistorta ochotensis (Petrov ex Kom.) Kom. 분류: Polygonaceae(마디풀과) 식물계, 종자식물문, 쌍떡잎식물아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분포: 한국의 특산종, 중국 동북부, 북한, 시베리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함경도 고산지대의 산정 근처에서 자란다. 크기: 높이15-30cm에 달한다. 꽃 : 7-8월에 연한 적색의 꽃이 1m 가량의 화경(花莖) 끝부분에 수상화서로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 4-5mm이고 화피는 4mm로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난형이고 수술은 8개로 화피보다 다소 길다. 화주는 3개이며 화피보다 훨씬 길다. 열매: 수과는 세모가 지고 화피로 싸여있다. 용도: 관상용
# 두메영귀비 이명: 두메아편꽃, 산양귀비, 조선앵속 학명: Papaver radicatum var. pseudoradicatum (Kitag.) Kitag. 분류: Papaveraceae(양귀비과)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양귀비과의 두해살이풀 분포: 함경북도 백두산 고지의 중턱 크기: 높이는 5~10cm 정도이다. 꽃 : 꽃은 7∼8월에 노란빛을 띤 꽃이 꽃줄기 끝에 1송이 핀다. 꽃받침조각은 2개인데, 타원형 배모양이고 꽃잎은 4개가 다소 둥글며 지름 1.5∼2cm이다. 수술은 많고 씨방은 도란형이며 암술대는 방사형으로서 씨방꼭지를 우산 모양으로 덮는다. 열매: 열매는 삭과로 달걀 모양 구형이고 퍼진 털이 있다. 용도: 관상용으로 가치가 있다. 북한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고 있다.
바람이 불면 꽃잎이 모아져 저항을 작게 받으며 환경에 맞게 살아간다
# 구름범의귀
이명: 호이초(虎耳草)·등이초(嶝耳草)·석하엽(石荷葉)·금사하엽(金絲荷葉),구름범의귀풀이라고도 한다 학명: Saxifraga laciniata Nakai & Takeda 영문: Laciniate Rockfoil 분류: Saxifragaceae(범의귀과)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중국에 분포한다. 평안도 및 함경도 등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크기: 높이 25cm정도로 자란다. 꽃 : 화경(花莖)은 잎이 없고 끝에서 산방상 취산화서가 발달하며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1cm정도로서 백색이며 소화경에 선모가 있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피침형이고 젖혀지며 꽃잎은 난상 타원형으로서 밑부분에 황색 밀선(蜜腺)이 있다. 수술은 10개이고 꽃잎보다 짧으며 암술대는 2개로서 난형이다. 열매: 삭과의 윗부분에는 2개의 암술대가 남아 긴 부리로 된다. 용도: 북한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였다. 옆으로 벋는 기는줄기가 있는 것을 백두산바위취(S. takedana)라고 한다.
# 두메자운
# 천지가 보이는 벼랑에핀 담자리꽃나무
고도가 높아 질수록 키는 작아지고 뿌리는 3배정도 깊이 내린다
# 잠시 구름사이 햇살이 방긋 ..
가까이 ..담자리꽃나무
# 바위돌꽃
# 노랑만병초 ... 백두산에서 제일 많이 보는 꽃이다 이명: 만병초, 들쭉나무, 노랑꽃만병초, 노랑뚝갈나무 학명: Rhododendron aureum Georgi 분류: Ericaceae(진달래과)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진달래과의 상록관목 분포: 한국,일본,만주,아무르,우수리,사할린,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크기: 높이 1m에 이른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가지끝에 5-8개의 꽃이 산형 또는 취산상으로 달리고 기부가 인편으로 싸여 있으며 소화경은 길이 2.5-3.5cm로서 갈색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작고 둔두로서 털이 있으며 화관은 깔때기모양이고 지름 2.5-3.5cm로서 연한 황색이다. 수술은 10개로서 수술대 기부에 털이 있으며 자방에 갈색털이 있고 암술대는 길이 1.5-2cm로서 수술보다 길며 털이 없다. 열매: 열매는 삭과로 좁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1-1.5cm로 9월에 성숙한다. 용도: 낮은 지대에서 재배하기는 곤란하고 잎은 강정제로 사용한다. 관상용·약용에 쓰이고 한방과 민간에서 잎을 발진·건위·이뇨·류마치스 등의 약재로 쓰며, 유독성식물이다
.
# 구름국화
이명: 큰산금전화, 구름금잔화, 산망초, 동국· 무모장씨비련(无毛臟氏飛聯)이라고도 한다. 학명: Erigeron thunbergii subsp. glabratus (A.Gray) Hara var. glabratus 분류: Compositae(국화과)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백두산 지역의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크기:높이는 10-35cm 정도로 자란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3-4cm로서 자주색이며 원줄기 끝에 1개의 꽃이 달리고 화경에 털이 있다. 총포는 반구형이며 길이 7-9mm, 지름 14-20mm이고 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길이가 비슷하고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털이 있고 나비 1mm로서 자줏빛이 돈다. 열매: 수과는 좁으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2mm, 지름 0.5mm로서 털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2.5-3.5mm이고 오황색(汚黃色)이며 9월에 익는다. 용도: 관상용으로 심는다. 북한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였다.
# 구름사이로 잠시 ..천지의 얼굴 ..
# 뒤로 깊은 골짜기엔 아직도 잔설이 얼어있고 언덕엔 매발톱..호범꼬리가 골짜기 바람에 한들거린다
# 가까이 ...하늘매발톱 .. 백두산의 꽃들은 봄.여름 100여일동안 개화하는 동안에 곤충들을 유혹하여 번삭한다
# 능선따라 골짜기로 내려다 본풍경...풍화작용으로 건들면 흘러내린다 지금까지 90여차례 화산 폭발이 있었다 한다
# 하늘매발톱 이명: 골매발톱꽃, 산매발톱꽃, 시베리아매발탑꽃, 하늘매발톱꽃 학명: Aquilegia japonica Nakai & H.Hara 분류: Ranunculaceae(미나리아재비과)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한국 낭림산 이북에 나며 일본, 만주에 분포한다. 크기: 높이 15~30cm이다. 꽃 : 꽃이 7~8월에 밝은 하늘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1~3개씩 하향하여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난형으로 끝이 둔하고 벽색이며 꽃잎 5, 수술 9~10, 암술 2~4개이다. 거는 끝이 가늘어져 안쪽으로 굽으며 둥글다. 열매: 과실은 골돌로 5개이며 길이 2~3cm이고 털이 없다. 용도: 매발톱꽃과 함께 섞어 화단 식재나 절화용으로 이용하면 좋다. 북한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 화살곰취와 매발톱
# 돌꽃
# 박새 이명: 묏박새, 넓은잎박새, 꽃박새 학명: Veratrum oxysepalum Turcz 분류: Liliaceae(백합과)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크기: 높이 1.5m. 꽃 : 꽃은 엷은 황백색으로 6-7월에 피고 지름 25mm이며 원줄기끝의 원추화서에 밀생하고 화서(花序)에 양털같은 털이 밀생한다. 수술과 암꽃이 있으며 6개씩의 화피열편(花被裂片)과 수술이 있다. 자방에 털이 있고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삭과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2cm정도이며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진다. 용도: 독성이 강한 근경을 약용으로 한다
# 구름제비꽃 이명 : 큰장백오랑캐, 구름노랑제비꽃, 구름털제비꽃. 학명 : Viola crassa Makino 분류 : Violaceae(제비꽃과) 분포 : 낭림산 이북 크기 : 높이 5~12cm 꽃 : 화경은 길이 3-4cm로서 원줄기 끝에 달리고 위쪽에 소포가 있으며 꽃은 7월에 피고 밝은 황색이며 좌우상칭이다. 꽃받침잎은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4-5mm이며 부속체는 반원형으로서 밋밋하고 꽃잎은 길이 10-12mm이며 측판에 털이 없고 갈색줄이 있으며 거(距)는 반원형이고 길이 1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넓은 타원형이고 털이 없다. 용도 : 관상용
# ????
이명: 학명: 영문: 분류: 분포: 크기: 꽃 : 열매: 용도:
# 금매화 [金梅花] 학명:Trollius ledebourii Rchb. 분류: Ranunculaceae(미나리아재비과)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평북, 함남북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크기: 높이는 40~80cm이다. 꽃 : 꽃은 7~8월에 황색으로 피며 줄기와 가지 끝에 1개씩 달린다. 꽃잎모양의 꽃받침조각이 5~7개, 꽃잎은 5~10개로 수술보다 길며 수술은 많다. 열매: 과실은 골돌이며 모여 달리고 점착성이 있으며 끝에 뾰족한 암술대가 있다. 용도: 관상용으로 심기도 한다.
# ?????
# 주머니 같은 매발톱 송이
# 서파에서 북파로 이동중 ... 금매화 군락지
백두산 (네이버 백과 설명자료) 양강도(량강도) 삼지연군과 중국 지린성의 경계에 있는 산. 휴화산으로 고생대부터 신생대까지 여러 시대의 지층들이 발달하였으며, 특히 중생대와 신생대의 구조운동에 의해 형성된 단열구조, 파열구조 단층이 발달하였다. 화산분출은 쥐라기(약 6억 년 전)에서 신생대 제4기까지 지속되었는데 특히 신생대 제3기부터 활발히 진행된 화산활동으로 현무암질 용암이 대량 유출되어 약 5,350㎢의 넓은 백두용암대지가 만들어졌다.
남쪽의 더운 공기와 몽골지방에서 오는 찬 공기가 마주치면서 안개가 많이 끼는데 7~8월에 안개가 끼는 날수는 33일 가량 되며, 구름이 많고 천둥현상이 잦으며 주로 눈·비를 동반한다. 벼락회수는 연간 48회이고 그중 60∼70회는 6∼7월에 있다. 연평균 강수량은 1,500mm이며, 겨울 날씨가 연중 230일 정도 계속된다. 또 매저지나무·들쭉나무·백산차 등의 냉대성 관목들이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금방망이·삼잎방망이·자주꽃방망이·무수해·황기·부채붓꽃·손바닥란·동의나물·분홍노루발풀·왕바꽃·메바꽃·구름범의귀풀·물매화 등 냉대성 초본식물들이 있다.
# 구름국화 ...해국같이 탐스럽다
# 구름국화보다 키가 큰 바위구절초
# 계곡에 매발톱
# 기린초
# 사막같은 고산 풍경..
# 비탈진곳을 오르니 고산 증세가 심하게 온다 ..저 능선을 가면 천지가 보인다
# 개감채 이명 : 산무룻, 두메 학명 : Lloydia serotina (L.) Rchb. 영문: Common Alplily 분류 : Liliaceae(백합과)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우리나라 북부지역에서 자란다. 크기 : 화경(花莖)의 높이는 7-15㎝ 꽃 : 화경은 길이 7-15㎝로서 2-4개의 잎이 달린다. 꽃은 7월에 피고 넓은 종같으며 길이 10-13mm, 지름 1.5cm정도이고 화피열편(花被裂片)은 6개로서 거의 비슷하며 긴 타원형이고 백색이지만 뒷면의 맥이 때로 자줏빛이 돈다. 수술은 6개로서 화피 길이의 1/2정도이며 꽃밥은 타원형이고 아래쪽으로 수술대에 붙는다. 자방은 타원형이며 암술대는 길이 2-2.5mm로서 자방보다 짧고 암술머리는 희미하게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로 갈색이고 길이 6-7mm로서 넓은 도란형이다. 용도 : 어린 잎을 먹고 풀 전체를 약재로 쓰기도 한다
# 파노라마 풍경
# 벼랑끝선에 핀 ...두메양귀비
# 톱바위취 이명 : 바위취, 멧바위취 학명 : Saxifraga punctata L. 연문 : Dotted Saxifrage, Punctate Rockfoil 분류 : Saxifragaceae(범의귀과)
분포 : 한국,만주,아무르,우수리,몽고,시베리아,유럽 크기 : 높이 20-50cm가량 자란다. 꽃 : 화경(花莖)은 잎이 없고 높이 5-25cm이며 꽃은 6-8월에 피고 백색이며 꽃받침은 젖혀지고 길이 2mm정도로서 좁은 난형이며 끝이 둔하다. 화서와 소화경에는 선모가 있다. 꽃잎은 긴 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으로서 꽃받침보다 2-3배 정도 길고 꽃받침조각은 5개로서 난형이며 길이 1-2mm이고 녹색 또는 자홍색을 띤다. 수술은 10개로서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다소 짧으며 수술대는 윗부분이 다소 넓어지고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 삭과는 난형으로 길이 5mm가량이며 8월에 익어 2조각으로 갈라지고 남아 있는 암술대가 긴 부리로 되고 종자는 방추형으로서 양끝이 다소 좁다. 용도 : 북한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고 있다
# 두메양귀비 ..바람이 세게 불고 있는데 꽃송이는 위로올라 바람의 저항을 이겨내고있다 ...
# 노랑만병초 군락지 ...
# 노랑만병초 이명 : 만병초, 들쭉나무, 노랑꽃만병초, 노랑뚝갈나무 학명 : Rhododendron aureum Georgi 분류 : Ericaceae(진달래과)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진달래과의 상록관목 분포 : 한국,일본,만주,아무르,우수리,사할린 크기 : 높이 1m에 이른다. 백두산 고산지역에선 키가 작은편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가지끝에 5-8개의 꽃이 산형 또는 취산상으로 달리고 기부가 인편으로 싸여 있으며 소화경은 길이 2.5-3.5cm로서 갈색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작고 둔두로서 털이 있으며 화관은 깔때기모양이고 지름 2.5-3.5cm로서 연한 황색이다. 수술은 10개로서 수술대 기부에 털이 있으며 자방에 갈색털이 있고 암술대는 길이 1.5-2cm로서 수술보다 길며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좁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1-1.5cm로 9월에 성숙한다 용도 : 낮은 지대에서 재배하기는 곤란하고 잎은 강정제로 사용한다. 관상용·약용에 쓰이고 한방과 민간에서 잎을 발진·건위·이뇨·류마치스 등의 약재로 쓰며, 유독성식물이다
# 호범꼬리
# 구름송이풀 이명 : 고산송이풀, 올송이풀 학명 : Pedicularis verticillata L. 영뭉 : Whorledleaf Woodbetony 분류 : Scrophulariaceae(현삼과)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아시아,유럽,북미, 한국의 제주도·남부지방·북부지방을 비롯한 북반구 한대에 분포한다. 크기 : 높이가 5-15cm정도이다. 꽃 : 화서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홍자색으로서 정생하는 총상화서에 밀집하여 달리며 포는 꽃받침보다 길고 삼각형으로서 우상 장상으로 갈라지며 밑부분이 좁다. 꽃받침은 길이 3-5mm에서 8mm정도로 자라고 10맥이 있으며 앞쪽이 중앙까지 갈라지고 끝이 5개로 갈라진다. 화관은 길이 1.5cm이 고 순형으로 상순은 곧고 끝이 부리처럼 되며 하순은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이다. 열매 : 삭과는 피침형으로 길이 15mm이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황갈색으로 8월에 익는다. 종자는 길이 3mm로서 겉에 그물눈이 있다. 용도 : 밀원식물이며 어린 순을 먹는다. 북한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고 있다.
# 좀참꽃 이명 : 좀참꽃나무, 묏참꽃나무, 두메참꽃나무, 멧참꽃나무 학명 : Rhododendron redowskianum Maxim. 분류 : Ericaceae(진달래과) 분포 : 백두산의 해발 2,000m 이상에 자생한다. 함경남북도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 10cm정도이다. 꽃 : 꽃은 지름 2cm정도로 홍색이고 새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화축에 선모가 있고 포엽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둔두로서 선모가 있으며 화관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타원형이며 둔두 또는 미요두이고 6-7월에 개화한다.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 기부에 털이 있으며 암술대는 털이 있고 수술보다 짧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형이고 털이 있으며 10월에 성숙한다
# 꿩의밥 종류
# 시원한 ..장백폭포 줄기
# 장백폭포 방향으로 ...
# 오랑캐장구채 이명 : 흰대나물, 북장구채, 가지대나물 학명 : Silene repens Patrin 영문 : Creeping Silene 분류 : Caryophyllaceae(석죽과)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중국, 시베리아, 유럽에 분포한다. 중부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가 10-60cm정도에 이른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백홍색이며 취산화서는 원줄기 끝에 달리고 소화경(小花梗)은 극히 짧으며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통형(筒形)으로서 길이 12-15mm이며 연모(軟毛)가 있다. 꽃잎의 현부(舷部)는 길이 6-7mm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지며 백색 또는 연한 홍색이고 수술은 10개이며 꽃받침통에서 약간 밖으로 나온다. 열매 : 삭과는 난형(卵形)이며 길이 7mm로서 6개로 갈라지며 꽃받침이 숙존하고 대는 길이 6mm이다. 용도 : 민간에서 부종 ·최유 등에 약재로 사용한다. 북한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고 있다
# 등대시호 이명 : 등때시호 학명 : 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영문 : Bigbract Thorowax 분류 : Umbelliferae(산형과)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한국 특산 식물로 ,만주,우수리, 고산지대 및 깊은 산 속 초원에서 자란다 크기 : 보통 8-12cm 꽃 : 자주색 반점이 있고 화경이 거의 없다. 개화기는 7-8월로 줄기나 가지끝에 자녹색 또는 적자색의 산형화서가 달린다. 암술대의 기부가 처음에는 자주색이지만 점차 적자색으로 되고 암술대는 자주색이며 뒤로 말리고 자방은 긴 타원형이며 자주색이다. 열매 : 분과는 타원형으로 자주색으로 익는다.
# 소천지로 가는 능선방향에서 .. 좌측골짜기로 ..
# 비온뒤 ... 아래로 북파(온천) 주차장 방면
# 건너편 봉오리가 북파에서오른 천문봉
# 장백폭포..
# 둥근이질풀 [痢 설사이. 疾병질] 이명 : 산이질풀, 긴이질풀, 둥근쥐손이, 왕이질풀 학명 : Geranium koreanum Kom. 분류 : Geraniaceae(쥐손이풀과) 분포 : 만주에 분포한다.경남, 전북(운봉, 지리산 세석), 경기, 강원, 황해, 평남, 평북, 함남에 야생한다. 크기 : 높이 1m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지름 18-20mm로서 연한 홍색이고 원줄기 끝에 3-5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며 한군데에 3개 또는 1개씩 달리는 것도 있다. 꽃잎은 털이 없고 긴 타원형이며 수술보다 길고 암술대가 밑부분에서 2개로 갈라지며 암술머리는 점상이고 수술은 10개로서 밑부분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이며 털이 있고 9월에 익는다. 용도 : 풀 전체를 약용한다
# 박쥐나물 종류
# 눈개승마 이명 : 삼나물, 죽토자, 눈산승마라고도 한다 학명 :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Maxim.) H.Hara 분류 : Rosaceae(장미과)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전국 각지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가 30-100cm이다. 꽃 : 꽃은 이가화이며 6-8월에 피고 지름 2-4mm로서 황록색이며 원추화서는 길이 10-30cm로서 짧은 털과 짧은 소화경이 있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5개이며 도란형이고 길이 1mm이다. 수꽃은 20개의 수술이 있다. 암꽃에는 3-4개의 암술이 있고 곧게 선 3개의 자방이 있다 열매 : 골돌은 7-8월에 익고 갈색이며 타원형이고 길이 2.5mm가량이며 익을 때는 윤채가 있고 밑을 향하며 암술대가 짧다. 용도 : 관상용으로 심으며, 풀 전체를 약으로 쓴다.
# 자주꽃방망이 이명 : 자주꽃방맹이, 꽃방맹이, 자지꽃방맹이 , 꽃방망이 학명 :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Fisch. ex KerGawl. 분류 : Campanulaceae(초롱꽃과)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제주도와 남해안을 제외한 전국에 거의 분포하나 주로 중북부 지방의 표고 500m 이상되는 지역 크기 : 높이가 40-100cm 정도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자주색으로서 원줄기 끝에 10개 정도가 두상으로 모여 위를 향해 달리지만 윗부분의 엽액에도 달리며 소화경이 없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삼각상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톱니가 있고 화관은 길이 2-3cm로서 5개로 깊게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3실이며 종자는 작고 많으며 9-10월에 성숙한다. 용도 : 꽃은 관상용으로 쓰고 잎은 나물로 먹으며 뿌리는 약용한다.
# 너도제비란 이명 : 이삭난초, 향이삭난초, 호접란 학명 : Orchis jooiokiana Makino 분류 : Orchidaceae(난초과)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북부 고산지대에서 자란다.있다. 평안북도(낭림산)·함경북도(장백산)에 분포한다. 크기 : 높이 12-30㎝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홍자색이고 3-8개가 한쪽으로 달리며 포는 길이 1-2㎝로서 피침형이다. 꽃받침잎은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8-10mm로서 3맥이 있으며 꽃잎은 꽃받침잎보다 짧고 난형이며 끝이 둔하다. 순판은 길이와 나비가 각 12-15mm로서 3개로 갈라지고 퍼지며 중앙열편은 끝이 파지고 측열판은 둥글며 톱니가 약간 있다. 거(距)는 길이 15-18mm이고 곧으며 선형이다 뿌리: 구근은 도란형이며 밑부분에 3개의 초상엽이 있고 그 위에 1-3개의 잎이 달린다. 용도 :
# 꽃쥐손이 이명 : 털쥐손이, 흰털쥐손이, 낭림쥐소니, 털손잎풀 학명 : Geranium eriostemon Fisher ex DC. 분류 : Geraniaceae(쥐손이풀과)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쥐손이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고산지역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 30-50㎝정도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3.5-4cm로서 원줄기 끝에 10송이씩 산형화서로 달리고 소화경은 곧으며 퍼진 선모가 있다. 꽃받침잎은 긴 타원형이고 퍼진 털이 있으며 꽃잎은 홍자색이고 넓은 타원형으로서 맥 위에 선모 또는 복모가 있으며 수술대 밑부분에 긴 털이 있고 암술머리는 3-4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털이 밀색하며 5갈래로 갈라진다. 용도 : 관사요 , 설사를 멈추는 효능이 있어 지사제(止瀉劑)로 쓰인다.
# 개황기 이명 : 애기황기, 좀황기 학명 : Astragalus uliginosus L 분류 : Leguminosae(콩과)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함경도 고산과 고원에 난다.함경남도(부전고원·혜산진·풍산), 함경북도(백두산·관모봉) 등지에 분포한다. 크기 : 높이 1m 꽃 : 꽃은 6-8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긴 화경 그ㅌ에 총상으로 달리고 소화경은 꽃받침보다 짧으며 꽃받침과 더불어 갈색 털이 밀생한다. 소포는 막질이고 난형이며 길이 2mm로서 끝이 뾰족하고 꽃받침은 길이 4mm로서 털이 있고 흑색으로 익으며 2실로 된다. 열매 : 열매는 협과, 길이는 17mm, 난상 타원형, 검은색으로 익는다. 용도 : 황기는 약초로서 재배하며 한방에서는 가을에 채취하여 노두(蘆頭)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것을 한약재의 황기라 하며, 강장·지한(止汗)· 이뇨(利尿)·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피로권태·기혈허탈(氣血虛脫)·탈항(脫肛)·자궁탈·내장하수·식은땀·말초신경 등에 처방한다.
# 큰오이풀 이명 : 백두오이풀, 구름오이풀, 큰산오이풀, 큰흰지우초 학명 : Sanguisorba stipulata Raf. 분류 : Rosaceae(장미과)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 : 일본, 사할린, 북미서부에 분포한다. 함북 백두산 고원에 난다. 크기 : 높이가 30-80cm 정도로 자란다. 꽃 : 꽃은 9월에 밑에서부터 피고 백색이며 화수(花穗)는 길이 3-8cm, 폭 7-10mm(수술제외)로서 곧추선다. 꽃받침잎은 4개이고 꽃잎이 없으며 수술은 4개이고 길이 7-8mm로서 윗부분이 다소 넓으며 꽃밥은 연한 황갈색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사각형이다. 용도 :
# 하산하여 주차장에서 바라본 장백폭포...
# 시장에서본 여름 채소..과일들..
# 도깨비 방망이 같은 녀석 ,,냄새가 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