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사
전북 군산시 동국사길 월명산
대한불교조계종 제 24교구 선운사 말사
국내 유일의 일본식 사찰로 보전되어, 뼈아픈 치욕의 역사를 다시 한번 되새기며 좋은 교훈으로 삼을 만한 절집이다.
"금강선사" 동국사의 본래 이름이다.
1909년 일본인 승려 내전불관이 군산에 포교소를 개설하면서 창건한 조동종(曹洞宗) 사찰이다.
일본불교는 1877년 부산의 개항과 함께 일본정부의 요청에 의해 들어오기 시작하였다. 가장 먼저 "정토진종 대곡파"가 포교를 개시하였고 1904년 군산에도 포교소를 개설하였고 일연종(一蓮宗)이 뒤를 이었다.
결국 일본불교의 한국진출은 순수한 불교포교가 목적이 아니라 한국을 일본에 동화시키려는 일본정부의 의지를
그대로 반영하였다고 본다. 이후 조선총독부는 일본불교를 포교하고자 1911년 6월 3일자로 사찰령을 발령한다.
이를 계기로 일본불교는 전국에 별원, 출장소, 포교소 등을 건립한다.

가는 도중 들른 진안마이산 휴게소에서 뵈는 마이산의 암,수마이봉. 여기서는 고속도로를 한시간 가량을 달리면 군산이다.


불기 2560년 정토사 일요108순례, 첫 순례지는 불교의 불모지인 이곳, 전북 군산 동국사에서 시작한다.


경내에 들어서면 입구 대문기둥 양쪽에 음각으로 써 놓은 글씨가 있다.
왼쪽 기둥에는 일본천왕 연호인 "昭和"를 지운 흔적과, 오른쪽 기둥에는 "錦江寺"라 새겨져 있다.


금강사가 창건되기 전 군산에는 본원사, 군산사, 안국사가 자리하고 있었다.
금강사를 창건한 내전불관"은 1909년 당시 77세의 고령으로 군산지역을 순석하다가 군산 일조통에 있던 집을 빌려 포교소를 개설하였다. 1913년 7월에는 현재의 자리로 옮겨 본당과 고리를 신축하기에 이르렀다.

시내 도심지에 자리하는 사찰의 풍경은 아기자기한 모습이나, 근대문화유산" 이라는 명명아래 자리하고 있는 사찰의 내음은 왠지 단촐하고 씁씁한 마음마저 든다.
일제강점기의 참울한 우리의 역사와 불교역사가 먼저 생각에 와닿아서 그럴까!



대웅전
정면 5칸, 측면 5칸의 정방형 단층 팔작지붕으로 지붕 물매는 75도의 급경사를 이루고, 건물 외벽에 창문이 많으며, 용마루는 일직선으로 한옥과 대조를 이루는 일본 에도시대 건축양식이다.
흑백의 조화로 왜놈 장수의 집을 보는 듯 으스한 느낌마져도 든다.



법당으로 들어서는 입구

대웅전을 들어서는 복도는 요사채와 함께 연결하며, 복도에는 옛 일본사찰의 행사사진들이 몇점 전시되어 있다.


소조석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
보물 제1718호로 지정되었다. 조성시기는 1650년이며, 조성주체와 소요물목등이 발원문에 기록되어 있으며 조선
후기 불상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건축과 법당 공간은 초창기 일본 양식 그대로이나, 불상이며 탱화 등은 모두 해방 후 봉안된 것이다.


종걸 큰스님의 법문을 청하며...
편한 마음으로 쉽고, 간결하게 인자하신 모습으로 동국사의 역사와 일제 강점기시대의 스님들과 생활에
대해서 알기쉬운 설명으로...

종걸 스님은 고향인 경남 함양에서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하는 거창고등학교와 전북대학교, 원광대 대학원을 거쳐 중앙승가대학교를 졸업하셨다. 학창시절에는 교회를 자주다녔고 성가대 활동도 활발히 하셨다고 한다.

유물전시는 법당내부에 들어서면 좌측과 정면에 길게 전시되어 있다.

이러한 역사를 보면 피가 거꾸러 치쏟는 듯 한 마음마저 든다.




전시되어 있는 각종 사찰 용품들 및 전시품들



동국사는 일본이 한국을 식민지로 만들기 위해 합방에 앞서 그들의 국교이다시피 숭상되고 있는 불교를 한국에 가지고 들어와 왜색불교를 전파 시킨 것이라 볼 수 있다.
한국에서 건너간 불교가 식민통치 수단으로 역수입 된 것이므로 종교도 국력 앞에서는 무기력 할 수밖에 없다는 좋은 교훈을 배울 수 있다.

108배를 올리는 법우님들





범종에도 1909년에 "선응불관 화상"이 금강선사를 창건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범종각 주위의 작은 석불상들은 일본불교, 밀교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일제 강점기 동안 국내의 일본사찰은 약1,260여 곳에 달하였다고 한다.
현재 남아있는 그당시의 건축물은 경주에 있는 가정집 한곳이 일본식 사찰이었고, 목포 선결교회가 1907년에 지어져 근대문화역사관으로, 대구에 절형태의 조그만한 건축물 등 3곳만이 남아 있으며, 사찰의 보존이 일본식 그대로 유지된 곳은 이 곳 동국사가 유일하다고 한다. (동국사 주지 종걸스님의 설명)

동국사는 일제 강점기 동안 일본인 승려들에 의해 운영되어오다가 해방을 맞아 우리나라로 돌아왔다.
그후 조계사 주지 및 초대 선운사 주지 등을 역임하셨던 남곡 스님이 1970년에 정부로 부터 인수하여 선운사에 증여
하여 동국사로 개명하였다,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 선운사로 편입되어 있다.



울산에서 아침일찍 서둘러 출발한 일행들은 맛나는 공양으로 점심을 함께합니다^^

점심공양 후 사찰입구에서 부터 군산 일본식 가옥을 거쳐 군산 근대역사박물관으로 이동 합니다.^^
나무석가모니불
나무석가모니불
나무시아본사석가모니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