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제일 먼저 소멸된다는 미국의 분석이 점점 틀렸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그 경고를 크게 받고 과감하게 이 문제를 대처해야 한다.
어쨌든 한국은 지금 고도의 기술과 열심으로 해외 여러 나라에 가서 몇 조 원씩 벌어 온다. 즉 무기 판매나 각종 전자 제품 수출 등 나라가 부강에 지는 감사한 일이다. 그런데 누구나 알 듯이 아기를 낳지 않으려하고, 결혼을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경향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이대로라면 장래 30년 뒤에 2050년에는 한국인구가 65세 이상 60%다. 15세 이하는 10% 밖에 안 된다. 장래인구특별추계(통계청)에서 ; https://blog.naver.com/kangdream2018/222623164166 대한민국 연령 계층별 인구 구성비 ; 밤색은 1~14세 어린이이고, 황색은 15~64세, 초록색은 65세 이상 현실이다. 즉 인구가 없어질 추세를 전문적으로 분석했다.
그래서 국가는 많은 대책으로 권고를 하지만 거대한 사람들의 경향에는 명약이 되지 못하고 빈축만 사는 경우도 있다.
본론
저는 2000년대에 서울에서 외국인 목회를 20년간 하고 해외 선교사로 20년간 근무한 윤석용입니다. 그러면서 외국인 이주민주부들이 한국에 남자들과 결혼을 갈수록 많이 해서 인구의 10% 정도 결혼했다고 봅니다. 그래서 결혼 못 하신 남성들이 결혼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서 행복을 찾고 사랑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뒤에 저도 이주민 목회를 하는 교회들에 가서 교육도 인도하고 40여 년간 이에 대한 관심을 갖고 살아 오고 있습니다.
이것은 더 전문적인 연구를 하셔서 진행해야 될 일이다.
아마 전문위원을 구성해서 집약적 연구를 하고 실천을 통해서 인구 안정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은 결혼도 거부하고 아이도 태나지 않는 나라다. https://brunch.co.kr/@jeremysongkr/96
“후진국 역사상 이런 일은 처음!” 방글라데시가 한국에 다리 맡기고 1개월 지나자 외신 난리난 이유 https://youtu.be/_JuVOavDgM0
자원 불모지인 대한민국은 어떻게 산유국이 되었을까?│국내 최초! 경제성 있는 천연 가스를 발견한 최초의 석유 시추선, 두성호https://youtu.be/YmxfQWv5b8U
[홍사훈의 경제쇼] 박정호ㅡ인구증가를 위한 도발적 제안 " 북한과 이스라엘의 출산장려정책에서 힌트를!!" | KBS 210311 방송
https://youtu.be/Br9TJ6QDC8Y 프랑스 인구증가는 이슬람 족의 유입하여 인구가 많아졌다. 이제 원주민 없어져가는 프랑스는 지금 위기에 놓여 있다.
이스라엘은 여성이 아기를 낳으면 군대를 면제 준다는 것 때문에 인구가 약간 증가하였다. 돈으로 저출산을 해결 하지 못한다.
‘코로나 베이비, 출산감소 대안은 없나?’토론문 - 장영진 서기관 (보건복지부 인구정책총괄과) 토론4 (2021.8.24)
https://www.youtube.com/watch?v=ynrs8w2wLeg
[명견만리full] - 인구쇼크, 청년이 사라진다 (2) 투자의 법칙 https://youtu.be/ffTPkUgofx0 한국에는 앞서 망한 ‘일본이라는 교과서가 있다’
[샤로잡다] 국민연금 20XX년에 고갈된다? 인구절벽이 그리는 암울한 미래: 한국은 이미 멸종의 길에 들어섰나 | 조영태 교수 https://youtu.be/t6wRxOufGhs
인구절벽' 다가오는 2030년, 인구학자 조영태가 말하는 미래 공존의 방법은? 취업 전망부터 중장년층 노후 대책까지 https://youtu.be/blDpddDeZb4
부산의 3개 지역 '인구 감소 지역'으로 지정.. 일자리 감소, 치솟는 집값, 부산 인구 유출 가속화 / 부산MBC 생방송 부라보 220404 방송 https://youtu.be/uEJIJyecv2o
홀로 사는 세상, 내 노후는 내가 책임진다 l KBS 명견만리 https://youtu.be/p_fLlTp9jg4
각자도생의 시대, ‘인구’를 알아야 내일이 있다 ㅣ 전영수 ‘대한민국 인구트렌드 2022-2025’ 저자, 한양대 국제학대학원 교수 | 인구절벽 | 세바시 1486회 https://youtu.be/oWL3kOxpXcw
2방법 ; 5~7 자녀를 낳은 현모양처에게 재정을 더 직접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