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비오는 도로를 운행 할때 도로차선 이 사라져 운전하기가 매우 어렵고 사고위험이 가장 많은 환경 이 되고 있습니다
이에 도로차선 시인성 개선 에 대한 여러가지 방안중 가장 성능이 확실하고 차선시인성 이 오랜기간동안 유지할수 있는 도로표지병 에 관한 정보를 알리려고 합니다
도로표지병은 영어로 Roadstud , 또는 Cat'seye (고양이눈) 이라고 불립니다
어두움속에서 발광되는 고양이눈 을 많이 보셨을겁니다 그원리를 적용한게 도로표지병 입니다 자동차전조등 의 불빛이 도로차선에 설치된 도로표지병을 비추게 되면 그빛이 반사되어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오게 됩니다 이과정을 재귀반사형이라 합니다
도로표지병의 최대 단점은 겨울철 제설작업 또는 염화칼슘 살포로 인한 부식으로 내구성이 약화되어 쉽게 파손이 되고 파손된채 도로에 방치되어 주행중인 자동차 타이어에 박히거나 튕겨져서 자동차 파손 으로 인한 부상, 사고가 빈번하여 한동안 주무부처에서 설치금지령 까지 내몰려 천대꾸러기 신세로 전락한 사례도 있습니다
악천후시 활주로 같은 차선으로 운전하기 쉽고 안전한 가장 좋은 시설물이 사장 될 위기에 획기적으로 개선된 시공방법과 제품이 개발되어 2-3년간의 현장설치로 인한 결과로 성능과 내구성이 입증된 제품과 설치공법을 소개 합니다
금년 봄에 국토교통부 의 시선유도시설 설치 매뉴얼 에도 매립식 표지병 설치공법 이 등록 되어 문호가 개방이 되고 경찰청 매뉴얼 에도 사용 등록 되었습니다
제품도 제설작업과 염화칼슘 살포에도 부식발생 없는 네구성이 강한 소재로 개발된 스텐레스스틸 제설형 표지병들이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홍보 하고져 합니다
스텐레스 스틸 제설형 도로표지병 (BSSR-150Y)황색 / 도로중앙선. 안전지대 . 설치용
설치공법 (매립식)
또한 몸체는 설치 위치에 견고하게 부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몸체 밑 부분에 앵커를 부착하기도 한다.
표지병의 형상은 다양하게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기본적인 형상으로 사다리꼴, 사각형, 마름모꼴, 원형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도로 여건에 따라 시설물의 기능을 검토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비록 그 형상이 상이하다 해도 본 지침에서 제시하는 성능기준을 만족한다면 도로표지병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
표지병 몸체의 밑면 규격은 사각형의 경우 가로 100~150mm, 세로 100~150mm로, 원형인 경우 직경 100~150mm로 한다.
그러나 표지병의 형상 및 규격에 있어서는 다양한 제품이 생산되고 설치되고 있으므로, 표지병의 형식 선정과 설치시에는 도로의 설계에 있어서 적용하는 설계구간 개념을 적용하여 노선의 기하구조와 함께 표지병의 형이 연속성 있도록 한다. 설계구간의 설정에 관해서는 「도로의 구조 ‧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및 지침」을 참고한다.
표지병의 높이, 즉 표지병 몸체의 밑면(하단 지면)부터 윗면까지의 높이는 최대 30mm 이하로 하고, 현장 여건에 적합한 높이로 한다. 차로 경계선과 같이 자동차의 통행을 허용하여 표지병과 타이어의 마찰이 빈번한 곳에서는 높이가 20m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중앙선이나 안전지대 등 자동차의 출입을 금지하는 곳에서 자동차의 진입시 운전자에게 경고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표지병의 높이를 높이는 경우에도 최대 30mm로 한다.
표지병의 저면에 빈 공간이 많을 경우 장기간 차량통과에 노출되면서 노면으로 침하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저판의 모양은 평면을 유지하는 형상으로 하며, 표지병 제작공정상 부득이하게 저판에 빈 공간이 있을 경우에는 설치전 에폭시 등으로 공간을 충진하여 이로 인한 침하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표지병 저면의 요철부 두께는 2mm 이하여야 하며 설치시 부착재료가 빈틈없이 충진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표지병은 앵커와 접착제를 이용하여 표지병을 고정하는 앵커형 표지병, 코어드릴 등으로 포장면을 천공한 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매립하는 매립형 표지병, 연삭기 등으로 포장면 연삭한 후 접착제를 사용하여 노면에 부착하는 부착형 표지병이 대표적인 형식이다.
Introducing the newly developed Roadstud installation method and product in Korea - You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