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사회복지현장에서 만난 사람들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우리들의 이야기 악의 평범성.한나 아렌트
이재영 추천 0 조회 46 22.10.01 20:54 댓글 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22.10.01 21:06

    첫댓글 제목 아렌트와 차한잔
    [Web발신]
    전문지식과 경험이 가장 많을 수는 있지만 인간의 다양성과 현실의 복잡성을 고려한다면 조직원 전체의 지혜를 능가하는 지혜를 갖추기는 불가능하다. 독선에 빠진 리더는 대화를 무용하게 여기지만,현명한 리더는 대화로 길을 만들어 간다. 공공성을 찾아 그것을 구현하려는 조직문화는 대화 없이는 형성 될 수 없다.
    관점과 가치관이 차이 나면 문제를 해결할 접점을 찾기 어렵다. 그래서 다양성과 차이가 경합하는 공적 영역은 진리가 작동하는 공간이 아니라 개인의 다양한 의견이 경합하는 공간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진리는 대화를 종료시키고 협의를무의미하게 만들지만,의견은 대화와 타협으로 길을 찾게 한다. 모두에게 공통된 사실을 중심으로 다양한 관점이 반영된 의견을 매개로 삼아 대화해서 좋은 의견을 발견하는 것이 정치의 예술이다.

    요즘 독단적 리더와 일을 하게되었다. 내 생애 처음이라는 것이 감사할 뿐이다.
    일방적 지시일뿐이며 그 지시가 본인의 대단한 업적임을 설득하기 위해 그 생각을 하게 된 동기와 해야만 하는 필요성을 계속 해서 세뇌 시킨다.듣던 중에 혹시나 궁금증이 생기거나 새로운 의견을 말하려고 하면 윽박을 지르거나 무안을 줘서 입을

  • 작성자 22.10.01 21:07

    입을 다물게 한다. 심지어 " 입을 다물라"는 말도 들었다.
    이분을 업무적으로 만나지 않을 수가 없는 상황이기에 침묵을 주로 하게 되고 행여나 "나도 이런 독단에 빠진것은 아닌지?" 돌아보게 되는 것이 요즘이라 자존감도 내려간 것 같다.
    검증방법 1)상대가 내 말을 이해하지 못할때
    나는 같은 표현을 반복하지 않고 다르게 설명하는가?
    2)내가 질문을 받았을때
    질문내용에 들어 있는 단어와 표현을 사용해서 내 생각을 다시 표현할수 있는가?
    3)내가 같은 말을 반복만 한다면
    내 생각은 경직되어 있고 독단에 빠졌을 가능성이 높다.(말이 경직되면 현실을 정확히 인지하기도 어렵게 된다)
    우리가 현실을 새롭게 인식하면 우리 언어도 변한다. 우리 생각에 변화가 생기면 우리 언어도 변한다. 조직이 독단에 빠지면 관료주의가 나타난다. 거기에는 책임을 지는 자가 아무도 없기 때문.(자기가 하는 일이 옳은지 판단하지 않고 일하는 문화) 나도 성실한 악행자가 될 수 있음을 자각하는 중이다.악의 평범성을 떠올리면서 . . .자꾸 현실에 익숙해지고 망각해가는 지천명의 나를 보면서.. .
    그래서 아렌트를 선택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