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찬송가571장 역사 속에 보냄 받아
백석신학 3학년 B반 주간
이 찬송은 1979년 작사자:이용원, 1959년에 출생하여 1979에 이한웅 작곡자가 법과대학 1학년 수료과정에 작곡 하였다 찬송가 1절 가사 : 역사속에 보냄받아 이나라에 태어났다 많은 사람가운데서 우리들을 부르시어 주의 복음 전하도록 귀한 사명 주셨으니 몸과 마음 바쳐서 복된 나라 이룩하자. 역사의 주인되시는 하나님께서 먼저 택하시고 부르시고 기름부어 주셔서 사명 주셨사오니 감사 또 감사합니다.2000년 전에 이땅에 오신 예수님께서 십자가의 사건과 부활 사건을 통하여 승천하시기전 제자들을모으시고 마지막 유언의 말슴을 하셨습니다.
( 마28:18~20 ) :18절-예수께서 나아와 일러 가라사대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내게 주셨으니
19절-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20절-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것을 가르쳐 지키게하라. 볼찌어다 내가 세상 끝날까지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 하시니라.
은혜받은 사도 바울은 딤후4:7~8 : 내가 선한 싸움을 싸우고 나의 달려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켰으니 이제 후로는 나를
위하여 의의 면류관이 예비 되었으므로 주 곧 의로우신 재판장이 그날에 내게 주실 것이니 내게만 아니라 주의 나타나심을
사모하는 모든 자에게니라.
우리의 힘과능력으로 전도하며 선교할수가 없습니다. 오직 하나님의 능력의 손에 사로 잡혀 찬송과 기도로 선한 싸움에 승리하는 것입니다. 1절 - 사명자는 나라와 민족을 위해 전도하는 생활을 해야 합니다.
시편 105편 1절 “여호와께 감사하며 그 이름을 불러 아뢰며 그 행사를 만민중에 알려야 합니다” 하나님의 종은 언제나 하나님 앞에 감사하는 생활을 하여야 합닌다. 택함을 받은 은혜를 감사하고 키워주신 은혜를 감사하고 사명을 주신 것을 감사하고, 세상 끝날까지 성령님이 함께 해주실 것을 감사하고 감옥에 가서 매를 맞아도 감사하고, 굶주린 배를 움켜쥐고 어린것과 함께 눈물을 흘리면서 감사해야 합니다.대한민국을 주신 것 하나님께 너무 감사합니다. 경기가 좋치 않는 것도 감사하면 하나님이 기뻐하십니다.고난가운데 하나님을 더 가까이 할수있기에 위기를 기회로 삼고 오직 말씀으로 ~~~ 기도로~~ 무장할수 있기 때문 입니다.~~~ 할렐루야!!! 하나님의 종의 마음에 원망이 생기거나 그 입에서 불평이 나오면 영적 시체입니다.
시편 23:1 여호와는 나의목자이시니 내가 부족함이 없으리로다.
찬송가2절 : 우리조국 금수강산 할일 많은 이 땅위에 주의 뜻을 이루도록 보내심을 받은 우리 갈길 잃고 방황하는 우리민족 우리겨레 주의 길로 인도하여 민족 구원하자.
2절-하나님의 종은 언제든지 기도하며 절제하는 생활을 해야 합니다 기쁠때나 슬플때나 예수님의 십자가 보혈로 대속해 주신 은혜와 하나님 아버지의 사랑에 늘 감사와 영광
을 돌리고 어려울 때에 사람과 의논하지 않고 먼저 하나님께 사정을 아뢰고 의논할 수 있는 하나님의 종
이 되기를 원합니다.바울사도는 경기장에서 달음질하는 자가 모두 달릴지라도 오직 상을 얻는 자는 한 사
람이므로 이기기를 다투는 자마다 모든일에 절제한다고 했습니다. 바울 사도는 그의 전도 생활에서 절제
의 생활을 했습니다.우리도 승리하려면 모든일에 절제하는 생활이 있어야 합니다.
달려갈 길을 다 가기 위해서는 "나를 사랑하사 자기몸을 버리신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 안에서 사는
것이라" 고백한 사도의 생활 자세를 가져야합니다.뿐만 아니라 골1:24절의 말씀 처럼 그리스도의 남은 고
난을 내 육체에 채우는 심정으로 달려가야 합니다.
시편 92:4 여호와여 주의 행사로 나를 기쁘게 하셨으니 주의 손의 행사로 인하여 내가 높이부르리이다.
찬송가3절 : 같은 믿음 같은 사명 주께받은 젊은이여 사랑으로 하나되고 말씀으로 무장하자 우리모두 힘을 합쳐서 용감하게 전진
하고 이 땅위에 주의 나라 생명 바쳐 이룩하자. 3절 - 믿음을 지키는 본분을 다해야 합니다. 사순절을 생각하며 고난주일과 부활주일을 하나님의 은혜가운데 예배하며 찬양할 수 있게 하심을 감사합
니다.어려운 세계경기와 국내 경기침체에도 믿음지키는 복을 주시니 감사 또 감사합니다.
이제 선한 싸움을 싸우고 달려갈 길 을 마치고 믿음을 지키는 우리모두가 되어지도록 성령님께 의지합시
다. 이나라 민족의 복음화를 위해 선한 싸움을 싸우고, 달려갈 길을 잘 달려가고 믿음을 잘 지키는 자들이
되어 하나님의 영광이 드러나며 저희 이름이 하나님의 거룩하신 생명책에 기록되며 의의 면류관을 받아
쓰도록 믿음의 본분을 다하는 우리 모두가 다 되십시다. ~~~ 할렐루야!!!
기 도
하나님은 서두름 없이 만물 안에서, 만물을 통해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계획을 이루어 나가고 계심을 감사합니다. 그러므로 다윗이 "내 시대가 주의 손에 있사오니" (시31:15)라고 고백했듯 우리 시간은 주님의 것입니다. 오늘 하루의 일과를 통해 주님의 은혜속에서 성령충만케 하시옵소서 성령으로 기름부어 주십시오 기도의 영을 부어주십시요 하나님 사랑 안에서 사랑을 나누는자 되게 하십시오. 이웃과 공동체를 사랑하게 하시고 찬양의 은혜가 넘치는 감격을 허락하여 주십시오. 축복의 통로가 되게 하시옵소서. 찬양의 통로가 되게 하십시오 하나님 아버지 감사합니다. 늘 감사생활 할수있게 하옵시고 하나님께 쉬지말고 기도 생활 할수 있도록 기름부어 주십시요.또한 때를 얻든지 못 얻든지 만민에게 전도하는 생활 하는 주의 종이 되게 하십시요.내가 세상 끝날까지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 하신 주님의 말씀을 의지합니다. 내 의의 하나님이여 내가 부를 때에 응답하소서 곤란중에 나를 너그럽게 하셨사오니 나를 긍휼히 여기사 나의 기도를 들으소서 (시4:1) 거룩하시고 존귀하신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Amen !!
|
]
570장 주는 나를 기르시는 목자 (while the lordis my shepherd)
백석신학 3학년 B반 주간 2007111116 곽 덕 보
1.찬송가 제목:주는 나를 기르시는 목자
2.Tune Name :Pastor Shepherd
3.작사 및 원전
작사자 (1956년):최봉준, 작곡자 나운용
작곡가 나운용(羅運榮 1922. 3. 1. 서울 1993. 10. 21. 서울) 나운영은 당시의 한국적 환경에서는 이른 나이에 음악과 접한다, 그는 5세 때에(1927) 부친에게 양금 교습을 받았다. 그러니까 시작은 국악이었다. 하지만 그는 어릴 때부터 곧 양악에 심취한다. 그는 베토벤 음악 등 많은 서양음악을 들으면서 예비 음악가가 되어갔다. 그는 17세의 어린 나이로 1939년 동아일보 주최 신춘 현상에서 가곡 『가려나』(김안서 작시)로 작곡 부분에 당선되었다. 이 때 심사를 맡은 사람이 홍난파였다. 1940년에 일본 동경제국 고등음악학교 본과에 입학하여 작곡을 공부했다. 1942년에 본과를 졸업한 후, 연이어 같은 학교의 연구과에 입학하였다. 그의 스승은 모로이 자부로(諸井三郞)였다. 그의 스승은 무조건 서양음악을 추종할 것이 아니라, 자국의 음악을 중심으로 하는 민족적 음악을 세울 것을 강조하였다. 나운영의 민족적 음악론은 그의 스승으로부터 영향을 받은바 크다.
그의 음악에는 20세기 서양음악의 흔적이 많이 보인다. 복조성(예: Violin concerto Nr.1. 1965), 드뷔시적인 4도와 5도 병행 그리고 온음음계 사용(예: 2번 심포니), 12음기법(예: 피아노 트리오 1955) 스크리야빈 식의 음악과 색깔의 결합(예: 7번 심포니), 우연음악(예: 7번 심포니), 클러스터(예: 10번 심포니)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법들은 그의 음악에서 중심적 무게를 지녔다고 말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이런 기법들은 그에게서 음악작품 한 곡의 전체를 관통하는 일은 드물고, 부분적인 현상으로 남기 때문이다. 부분적인 현상이란 여러 악장 중 한 악장 정도를 그렇게 작곡한다든지, 아니면 한 악장 중에서도 어느 부분만 그렇게 작곡한다는 것이다. 물론 여기에 예외는 있다. 즉 {피아노 트리오}(1955)는 전 악장이 12음기법으로 착상되었다. 그런데 이 곡은 원래 서양에서 착상된 방식의 12음기법의 지향점과는 내용적으로 차이가 난다. 전곡을 관통하는 옥타브 중복,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4도병행 선율, 곡의 마지막 부분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 강조되는 조성적 부분(솔라도미) 등이 그러한 요소들이다. 이렇게 오음음계의 일부 음들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것은 현대적 서양 기법 가운데에서도 "한국적인 것"을 포기하지 않으려는 그의 생각을 보여준다. 이 "한국적인 것"은 "현대적인 것"과 상호 충돌관계에 있는데도 이를 모두 수용하고 있다. 그러니까 나운영은 서양의 새로운 기법을 자신의 입장에서 자신의 방식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변형적 수용은 다른 모든 기법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니까 나운영에게서 이런 당대의 서양음악적 기법들은 원래의 모습 그대로 수용되고 체화(體化)된 것과는 거리가 있다.
1.나운영 성가곡집(운경음악출판사 1996) 2.나운영 칸타타집(운경음악출판사 1998) 3.골고다의 언덕길(악원사 1969) 4.한국 성가곡집(악원사 1971) 5.성가합창곡집 제1집(교회음악사 1976) 6.나운영 데스칸트 100곡집(에덴문화사 1976) 7.칸타타<나의 주 나의 하나님>(한국 기독교교육연구원, 1980) 8.한국찬송가 100곡선 제1집(기독교음악사 1984) 9.한국찬송가 100곡선 제2집(교회음악사 1986) 10.크리스마스 칸타타(기독교음악사 1989) 11.부활절 칸타타(교회음악사 1991) 12.한국찬송가 100곡선 제3집(호산나음악사 1991) 13.가곡 및 기타 등
5.:차례: 어린이
1. 문화적표현
1. Meter11.10.11.10.(Refrain) 2.Pattern Accent 3.詩의 Pattern 4.Phyme 5.시적인 표현 : The Lord is My good shep-herd (Refrain) 3절 : I rest in the safe-ty of that arm.
II 사상적 내용
1.성경적 배경: Pastor Shepherd 2.주된 방향 : I am in his care,Like a lamb, dear and Pre-cious in His sight 3. 기본구조 : 행복한 동행
III. 음악적 특징들
1.음악의 구조 2.음악의 형식 : 어린이 주일 3. 선율의 움직임 : 4분의4박자 조금빠르게 반주도 나름의 밝은 선율을 갖기도하며 간혹 강하게 조금 빠르게 첨가적 음절로 꾸며져간다. 4.음역 5.주요음역 6.박자:4분의4박자 7.리듬의 성격 : 약간 빠르고 밝게 8.주된화음 9.선율에대한 가사의 적합성
IV. 찬송가의 사용
1.적절한 사용 시기: 어린이 및 주님의 도우심을 필요한 말씀 선포時 2.예배순서에서 적절한 위치: 예배식순 중간쯤 .설교시찬양 3. 사용하기적절한나이: 어린이.젊은이.성도 4.실제적절한 방법과 의미있는 사용을위한제안 a.주님에대한 감사의 표현으로 organ registration 을 밝게 할수있다 b.4 성부합창으로 giving thanks에 촛점을맞춘다 c.어린이 주일 예배시는 율동과 함께 할수있다
| |
호수 |
|
|
|
|
첫댓글 예배
예배는 밥이다.
거를 수 없다.
예배는 탯줄이다.
생명의 통로이다.
기도와 말씀과 찬송이 있는 예배는
성도의 생명을 유지하는
영적인 종합 비타민이다!
예배에 목숨 걸어야 인생이 바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