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세찬(羅世纘) 연보
나세찬(羅世纘, 1498년 연산군 4년 생~1551년 명종 6년 몰; 향년 54세)
호남의 대표적인 사림파 유학자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부(賦) 문학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유묵 서예가
송재학(松齋學)의 시조
조선 시대 중기 문신
호남 사림 제일의 문인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자의 1인
초시 장원급제•성균관유생•진사시 장원급제•나주교수•종사랑•승사랑•통사랑•황주훈도(교수)•계공랑•무공랑•성균관학유•선무랑•예문관검열 겸 춘추관기사관•예문관봉교 겸 춘추관기사관•예조좌랑•봉직랑•홍문관부수찬•지제교 겸 경연검토관 춘추관기사관•홍문관수찬•병조좌랑•통선랑•사헌부지평•병조정랑•예조정랑•병조정랑 겸 춘추관기사관•조산대부•사간원헌납•홍문관교리 겸 경연시독관 춘추관기사관•홍문관부응교•선공감청정•의정부검상•세자시강원필선•시강원문학•시강원보덕•전설사수•홍문관교리•의정부검상•사인 겸 춘추관편수관•사간원헌납•사헌부장령•홍문관교리•재상어사•선위사•봉정대부•사옹원정•사복시정•시강관•홍문관전한 겸 예문관응교•중훈대부•사간원사간•사헌부집의•성균관사예•상의원정•통훈대부•통정대부•이조참의•승정원동부승지 겸 경연참찬관•춘추관수찬관•승지•좌부승지•절충장군충무위상호군•용양위부호군•성균관대사성•춘추관동지사•호분위대호군•장예원판결사•사간원대사간•가선대부•황해도순무사•동지중추부사•특진관•사헌부대사헌 겸 예문관제학•한성부우윤·성절사•한성부좌윤•오위도총부부총관•한성부좌윤 겸 동지춘추관사•충청도관찰사 겸 병마수군절도사•충청감사•전주부윤•증 이조판서 역임
—1546년 5월경 북경 사신 파견 당시 송재의 직위는 육부의 참판이었다는 기록이 있다(『기묘록보유』(己卯錄補遺 卷上) 「윤구전」(尹衢傳); “後羅參判世纘朝京師”; 1546년 5월경 추정)
초시 장원급제•성균관유생•진사시 장원급제•나주교수•황주교수•승지•성균관대사성•사간원대사간•사헌부대사헌•육부 참판•증 이조판서 역임
본관 금성(錦城) 금성(錦城) 나(羅) 씨
자 비승(丕承)
휘 세찬(世纘)
호 송재(松齋)
시호 희민(僖敏)
증조부 증 사복시정 나계(羅繼)
조부 장성현감•증 승정원 좌승지 나은제(羅殷制)
부 성균관생원•증 가선대부 이조참판 동지의금부사 참판공 나빈(羅彬, 출생 연도 미상~1519년 중종 14년 기묘년 12월 2일)
모 해평 윤 씨 찰방 윤노겸의 여식
형 사헌부감찰 나세집(羅世緝)
처 담양(潭陽) 전(田) 씨 원종공신 전세균(田世均)의 여식
3남 5녀
1남 현감 나척(羅惕)
2남 증 이조참의 나협(羅恊)
3남 참봉 나열(羅悅)
1녀 사인 김경덕(金景德)의 처
2녀 김천추(金千秋)의 처
3녀 부사 유몽정(柳夢井)의 처
4녀 찰방 이황종(李黃鍾)의 처
5녀 증 참의•지사 유렴(柳濂)의 처
손자 손녀
1남 현감 나척(羅惕) 소생
나덕윤(羅德允, 1548년~1611년 10월 7일)
나덕민(羅德憫)
사인 노상문(魯尙文)의 처
찰방 이홍종(李弘鐘)의 처
2남 증 이조참의 나협(羅恊) 소생
증 공조참판 나덕전(羅徳全)
나덕령(羅德令)
나덕함(羅德含)
3남 참봉 나열(羅悅) 소생
현감 사담(沙潭) 나덕원(羅德元)
나덕기(羅德基, 양자(養子))
진사 나덕립(羅德立)
나덕종(羅德種)
나덕부(羅德符)
나덕심(羅德深)
군수 김충수(金忠秀)의 처
사인 유수경(柳守敬)의 처
증손자
나유서
―나척의 후손
―나유서 연화제 제실과 나유서세천비 건립
―소재지. 전북 고창군 해리면 완촌리 1-5
6대손
나중강(羅重綱)
―나협의 후손
14대손
충의공 운석 나상호(1887년 생~사망 연도 미상)
나세찬의 1자 나척의 후손 나승록
나세찬의 2자 나협(羅協)의 후손 나남열
나세찬의 3자 나열(羅悅)의 후손 나병준
그 외 다수의 후손들
1498년 1세 연산군 4년 무오(戊午)년 5월 21일 미시(未時, 오후 1~3시) 전남 나주 거평면(居平面) 남산촌(南山村)에서 판서공 나세찬 출생. 옛 지명은 금성(錦城)이며, 나주 서쪽 30리 소재
1499년 2세 기미(己未)년 12년 연산 5년 2세
1500년 3세 경신(庚申) 13년 연산 6년 3세
1501년 4세 신유(辛酉)년 14년 연산 7년 4세
1502년 5세 임술(壬戌)년 15년 연산 8년 5세
1503년 6세 계해(癸亥)년 16년 연산 9년 6세
1504년 7세 갑자(甲子)년 17년 연산 10년 7세 저술(著述) 시작, 성명 자울(藉蔚; 중간본 연보 기록)
1505년 8세 을축(乙丑)년 18년 연산군 11년 8세 『소학』(小學) 학습, 8세작 한시 「착신말」(着新襪) 작시
1506년 9세 중종 1년 9세 9세작 한시 「영사후」(詠射帿) 작시
1507년 10세 정묘(丁卯)년 중종 2년 10세
1508년 11세 무진(戊辰)년 중종 3년 11세 부친 참판공 나빈(羅彬)이 아들 나세찬에게 훈시(訓詩) 「수참판공훈」(受參判公訓) 하사
1509년 12세 기사(己巳)년 중종 4년 12세 극진한 효성으로 물고기와 들짐승을 잡아 부모 공양(부친 참판공 나빈이 관직에 있었으며, 나세찬이 학문에 몰두했으므로 그럴 리가 없다는 이설도 있다.)
1510년 13세 경오(庚午)년 중종 5년 13세
1511년 14세 신미(辛未)년 중종 6년 14세
1512년 15세 임신(壬申)년 중종 7년 15세
1513년 16세 계유(癸酉)년 중종 8년 16세
1514년 17세 갑술(甲戌)년 중종 9년 17세 모친 윤(尹) 씨 상
1515년 18세 을해(乙亥)년 중종 10년 18세
1516년 19세 병자(丙子)년 중종 11년 19세
1517년 20세 정축(丁丑)년 중종 12년 20세 담양 전(田) 씨 원종공신 전세균(田世均)의 여식과 혼인
1518년 21세 무인(戊寅)년 중종 13년 21세
1519년 22세 을묘(乙卯)년 중종 14년 22세 12월 2일 아버지 참판공 나빈 상. 후에 나빈 가선대부 이조참판 동지의금부사 증직
1520년 23세 경진(庚辰)년 중종 15년 23세
1521년 24세 신사(辛巳)년 중종 16년 24세
1522년 25세 임오(壬午)년 중종 17년 25세 「애병백부」(哀病栢賦) 작
1523년 26세 계미(癸未)년 2년 중종 18년 26세 동계(洞契) 향약(鄕約) 조직
1524년 27세 갑신(甲申)년 3년 중종 19년 27세 칠정사(七情寺)에서 독서, 가을 향시 생원 초시 합격, 11월 유묵(遺墨) 작성
1525년 28세 을유(乙酉)년 4년 중종 20년 28세 봄 중시 회시(會試) 생원 합격, 정시(廷試) 초시에서 「숭절의론」(崇節義論)으로 장원 급제
1526년 29세 병술(丙戌)년 5년 중종 21년 29세 성균관 수학. 삭제(朔製)에서 「속상책」(俗尙策)으로 장원 급제
1527년 30세 정해(丁亥)년 6년 중종 22년 30세 정시 초시에서 「희우부」(喜雨賦)로 장원
1528년 31세 무자(戊子)년 7년 중종 23년 31세 가을 별시 문과 별시 병과 급제, 전시(殿試)에서 「제로소상책」(齊魯所尙策)으로 합격
1529년 32세 기축(己丑)년 8년 중종 24년 32세 나주(羅州)훈도(나주교수), 종사랑
1530년 33세 경인(庚寅)년 9년 중종 25년 33세 나주훈도(나주교수), 승사랑
1531년 34세 신묘(辛卯)년 10년 중종 26년 34세 나주훈도(나주교수), 통사랑
1532년 35세 임진(壬辰)년 11년 중종 27년 35세 10월 20일 황주(黃州)훈도, 계공랑
1533년 36세 계사(癸巳)년 12년 중종 28년 36세 2월 18일 무공랑
1534년 37세 갑오(甲午)년 13년 중종 29년 갑오년 37세 4월 성균관학유 선무랑, 8월 사관, 예문관검열 겸 춘추관기사관, 10월 23일 인정전(仁政殿) 정시(庭試)에서 예양(禮讓)에 대한 책문에 대해 시관 김안로(金安老)가 지적했고, 12월 7일 김안로 일파의 탄핵을 받고 옥에 갇혀 옥중 혈소로 죽음을 면하고 파직 후, 고성 유배
1537년 40세 정유(丁酉)년 16년 중종 32년 40세 10월 27일 사간 양연(梁淵)의 변론으로 김안로 탄핵•사사 후, 유배에서 석방, 11월 12일 예문관봉교 겸 춘추관기사관 복직
1538년 41세 무술(戊戌)년 17년 중종 33년 41세 4월 22일 정시 합격으로 중종이 반숙마(半熟馬) 1필 하사, 9월 22일 가을 탁영시 문과 중시에서 「위무공억계론」(衛武公抑戒論)으로 장원 급제, 9월 14일 예조좌랑, 봉직랑, 9월 29일 홍문관부수찬, 지제교 겸 경연검토관 춘추관기사관, 지제교 역임. 두 차례 장원 급제를 받은 조선의 수재 문인
1539년 42세 기해(己亥)년 18년 중종 34년 42세 2월 15일 홍문관수찬, 3월 21일 병조좌랑, 4월 20일 병조좌랑 통선랑, 7월 25일 홍문관부수찬, 8월 2일 홍문관수찬, 8월 10일 사헌부지평, 병조정랑, 9월 19일 예조정랑, 10월 28일 병조정랑 겸 춘추관기사관, 통선랑, 조산대부 역임.
1540년 43세 경자(庚子)년 19년 중종 35년 43세 2월 병조정랑, 3월 27일 사간원헌납, 5월 21일 홍문관교리 겸 경연시독관 춘추관기사관, 6월 25일 홍문관부응교 겸 경연시독관, 춘추관편수관, 홍문관응교, 선공감청정, 의정부검상, 7월 20일 세자시강원필선, 시강원문학, 시강원보덕 역임. 상소 「홍문관소」(弘文館疏). 9월 9일 전설사수, 9월 24일 홍문관교리, 10월 8일 홍문관부응교, 11월 10일 선공감첨정, 11월 30일 의정부검상, 사인 겸 춘추관편수관. 4월 사간원헌납 재직 중 사간원 관리 친목 모임에 참석해 이황(李滉), 유인숙(柳仁淑), 홍춘경(洪春卿), 이명규(李名珪), 김○(金○), 이영현(李英賢) 등과 7인이 참석하고, 계회 장면은 「미원계회도」(薇垣契會圖, 보물 868호) 그림으로 기록
1541년 44세 신축(辛丑)년 20년 중종 36년 44세 3월 21일 사헌부장령, 4월 25일 홍문관교리, 9월 15일 의정부사인 겸 춘추관편수관 시강원문학, 9월 16일 재상어사, 11월 26일 시강원보덕 역임. 이황(李滉)•김인후(金麟厚) 등과 사가독서로 성리학을 논하고 시를 수창
1542년 45세 임인(壬寅)년 21년 중종 37년 45세 선위사, 3월 27일 시강원보덕, 봉정대부, 5월 18일 사옹원정, 5월 22일 선위사, 12월 21일 사복시정 역임. 묘표 「교수김수남묘표」(敎授金粹南墓表) 씀.
1543년 46세 계묘(癸卯)년 22년 중종 38년 46세 2월 8일 홍문관부응교 제수, 2월 25일 시강관, 2월 28일 홍문관전한, 3월 28일 홍문관전한 겸 예문관응교, 중훈대부, 8월 11일 사간원사간, 8월 12일 사헌부집의, 중직대부, 8월 14일 종부사정, 8월 25일 사헌부집의, 11월 11일 성균관사예, 11월 29일 상의원정, 12월 6일 상의원정, 통훈대부 역임. 상소 「간원칠조소」(諫院七條疏)
1544년 47세 갑진(甲辰) 23년 중종 39년 47세 1월 3일 통정대부 이조참의, 2월 14일 승정원동부승지 겸 경연삼찬관 춘추관수찬관, 6월 24일 승지, 6월 28일 좌부승지, 8월 7일 절충장군충무위상호군, 10월 10일 용양위부호군, 춘추관수찬관, 12월 20일 성균관대사성 역임. 춘추관동지사로 『중종실록』 편찬
1545년 48세 을사(乙巳)년 24년 인종 1년 48세 3월 27일 호분위대호군, 8월 16일 장례원판결사, 8월 24일 사간원대사간, 9월 16일 가선대부, 사간원대사간 겸 동지춘추관사 역임. 백인걸(白仁傑)•유희춘(柳希春)•정황(丁熿) 등의 구제 상소로 직위 체직, 황해도순무사 역임
1546년 49세 병오(丙午)년 25년 명종 1년 육부 참판. 5월 동지중추부사, 8월 장예원판결사, 8월 24일 사간원대사간, 10월 24일 특진관, 11월 20일 사헌부대사헌 겸 예문관제학, 12월 30일 한성부우윤 역임. 묘표 「돈호박린묘표」(豚湖朴嶙墓表) 씀. 5월 초 동지중추부사 재직 중 성절사로 연경에 가는 길에 중국행 역원 홍제원 다리에서 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과 대제학 신광한(申光漢)이 송별시를 짓고 나세찬을 송별(주세붕 송별시 칠언 율시 「홍제원봉송나동지비승상공이사은사여경」(弘濟院奉送羅同知丕承相公以謝恩使如京), 신광한 송별시 칠언 율시 「송나동지세찬부연경」(送羅同知世纘赴燕京))
—『기묘록보유』(己卯錄補遺 卷上) 「윤구전」(尹衢傳)에 참판 나세찬이 조선 조정의 사신으로 북경에 가서 예조좌랑 윤구(尹衢)가 쓴 논문이 『향시록』(鄕試錄)에 수록되었음을 확인했다고 한다(“後羅參判世纘朝京師,” 1546년 5월경으로 추정).
1547년 50세 정미(丁未)년 26년 명종 2년 50세 1월 16일 한성부좌윤 제수, 2월 8일 오위도총부부총관, 2월 26일 한성부좌윤 겸 동지춘추관사, 9월 16일 충청도관찰사(충청감사) 겸 병마수군절도사
1548년 51세 무신(戊申)년 27년 명종 3년 51세 충청도관찰사(충청감사), 10월 14일 한성부우윤, 문소전(文昭殿)에 인조를 배향해야 한다는 상소를 씀.
1549년 52세 기유(己酉)년 28년 명종 4년 52세 2월 4일 한성부우윤 겸 동지춘추관사, 4월 29일 전주부윤 제수
1550년 53세 경술(庚戌)년 29년 명종 5년 53세 유생 교육
1551년 54세 신해(辛亥)년 30년 명종 6년 54세 6월 14일 전주부윤 재직 중 부아(府衙)에서 서거. 향년 54세
묘역
전남 나주 거평동 송림산(松林山) 부친 참판공 나빈 묘역 아래 안장
구 묘비
“대사헌나공위세찬지묘”(大司憲羅公諱世纘之墓, 송시열 서, 1702년; 이인좌의 난 당시 묘비가 두 동강이 남)
신 묘비
“증 자헌대부 이조판서 시 희민 송재 나 선생지묘”(최익현 서, 1860년 정경 이후)
배향
전남 나주 사당 송재사(松齋祠; 소재지. 전남 나주시 문평면 동원리 서원마을)
1702년 숙종 28년 호남 유림 최신(崔信) 등의 건의로 송재 나세찬을 모시는 사당 송재사(松齋舍)를 송림산 서쪽에 건립하고 임형수(林亨秀) 추배
1703년 숙종 29년 1월 권상하(權尙夏) 「행장」(『한수재집』(寒水齋集))
1728년경 영조 4년 3월 이인좌의 난(무신란) 후, 나주 지역에 무고가 있어 송재 나세찬의 묘비가 두 동강 났다고 한다.
1745년 을축년 선생의 유고(遺稿) 판본 완성. 목판 활자본 송림원 수장
1756년 영조 32년 8월 「묘표음기」(墓表陰記) 완성
1777년 정조 1년 후손 나성오(羅星五) 문집 간행
1830년 순조 30년 후손 나석오(羅錫五) 문집 중간
1859년 사당 송재사에 나대용(羅大用) 장군 추배
1860년 경신(庚申)년 철종 11년 송재 나세찬 특별 증직 정2품 승직으로 이조판서(증 자헌대부 이조판서 지경연의금부사 홍문관대제학 지춘추관 성균관사오위도총부 부총관), 묘비명 “자헌대부 증 이조판서 시 희민 송재 나 선생지묘”(최익현 서)
1861년 신유(辛酉)년 철종 12년 「시장」(諡狀)(좌의정 조두순(趙斗淳) 찬)
1863년 계해(癸亥)년 철종 14년 시호 희민(僖敏)(“小心恭愼曰僖 應事有功曰敏”)
1864년 고종 1년 문집 추각 인쇄
1868년 고종 5년 송재사 훼철
1900년 광무 4년 나도순(羅度淳) 중간본 목활자본 7권 3책 간행
1901년 광무 5년 후손 나윤후(羅允煦) 등이 설단향사(設壇享祠)
1912년 후손 나태한(羅泰漢) 문집 중간
1924년 사당 송재사 재건
1925년 손자 현감 나덕윤(羅徳允), 후손 병조정랑 나무송(羅茂松), 후손 성균관학유 나무춘(羅茂春) 3인 추배. 총 6인 위패
1933년 사당 송재사 강당 강수재(講修齋) 중건
1935년 경성에서 나동순(羅東淳) 석판본 7권 3책 간행. 서병직(徐丙稷) 문집 간행
1972년 사당 송재사 중수
1980년 송재사 강당과 외삼문 중수
1985년 나갑주•김영재 공역 『국역 송재유고집』(송재사(松齋祠)•광주 호남문화사 간)
1990년 민족문화추진회 간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28집에 『송재유고』 영인본 수록
1996년 김신중 저 「송재시 거평동팔경의 팔경시적 성격」, 『한국언어문학』, 제37집, 한국언어문학회, 287~304 발표. 정병헌 저 「나세찬의 책문과 논술의 전통」, 『어문논집』 6, 숙대국문과 간행
1997년 『한국역대문집총서』 57 영인판(한충 편, 606쪽) 경인문화사 간. 10월 1일 김학성 저 「나세찬의 시: 도의 드러남의 미학」, 『한국 고시가의 거시적 탐구』, 집문당 간
1998년 송재사 사당과 내삼문 중건. 논문 「송재 나세찬의 삶과 문학」(김진영 저, 『인문학연구』 2권, pp. 1~17, 경희대인문학연구원) 발표
1999년 최한선, 「송재 나세찬의 부문학 세계」, 『우리말 글』 제18권, 우리말글학회, 1999년. 143~182. (논문)
2000년 태학사 간 박준규 외 공저 『송재 나세찬』(호남한시미학 2) 간행(박준규 저 「송재 나세찬의 교유 인물과 교유시」, 김진영 저 「송재 나세찬의 삶과 문학」, 손오규 저 「송재의 생애와 시문학」, 정병헌 저 「나세찬의 삶과 글짓기의 방식」, 이종찬 저 「송백같이 강의했던 송재의 문학」, 김성기 저 「송재 나세찬의 「애병백부」 연구」, 김신중 저 「나세찬 시문학 연구의 의미 부여」, 김주한 저 「송재 나세찬의 문학세계」, 김학성 저 「나세찬의 시: 도의 드러남의 미학」, 이병기 저 「송재 나세찬의 근체시에 대하여」, 조규익 저 「송재 나세찬의 시문학 연구」, 최한선 저 「송재 나세찬의 부문학 세계」 등의 논문 수록)
2010년 온새미로 간 김세곤 저 『호남정신의 뿌리를 찾아서−의의 길을 가다』에서 「송재 나세찬, 잣나무의 병들음을 슬퍼하다−나주 송재사」 수록, 7월 29일 동양문헌학회 개최 학술발표회 “호남선현의 학문과 사상: 송재 나세찬 편”에서 김장수가 「송재 나세찬 선생의 학문과 사상」 발표
2012년 7월 21일 송재 나세찬의 큰아들 흥덕현감 나척(羅惕)을 기념하기 위한 금성 나 씨 송재공파 흥덕공화수회가 창립되었고, 나세찬의 1자 나척의 후손 나승록, 2자 나협(羅協)의 후손 나남열, 3자 나열(羅悅)의 후손 나병준 등이 참석했다.
2013년 11월 11일 사당 송재사가 나주향토문화유산 제30호로 지정(전남 나주시 문평면 문평로 103-11 소재)
2015년 나종혁(羅鍾赫; 나주 나 씨 부사공파 26세손) 편 『송재 나세찬 선생 유묵집(천연색본)』, 『송재 나세찬 선생 유묵집(흑백본)』 전자책 발행
2016년 나종혁 편 『송재선생문집 상(천연색 원문) (권1~2)』 전자책 발행
2017년 나종혁 편 『송재선생문집 중(천연색 원문) (권3~4)』, 『송재선생문집(천연색 원문) 하(권5~6)』 전자책 발행
2020년 6월 18일 “나주 송재사 나세찬 유묵 목판” 24매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92호 지정(전남 나주 소재), 12월 10일 나종혁 편찬 『나세찬 유묵집(흑백)』 전자책 발행
2021년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간 『한국고대사 자료집−고조선•부여 편 IV−문집(하)』에 『송재유고』 역주본 수록
2022년 9월 30일 박철상 저 「‘나주 송재사 나세찬 유묵 목판’의 정체」(『문헌과해석』 통권 90호, 문헌과해석사) 발표(논문)
2023년 4월 7일 나종혁 편역 『나세찬 시문집』 전자책 간. 12월 최한선 저 『호남 서술시의 사적 전개와 미학』, 보고사 간(제5장에서 나세찬의 부(賦)에 대한 글 수록)
저서
시문집 『송재유고』(松齋遺稿) 2책 7권
유묵집 『송재나선생유묵』(松齋羅先生遺墨)
그 외 『애병백부』(病床賦) 등 부 25편
기타 유묵, 한시
대표 한시(漢詩)
「증안정자」(贈安正字)
대표 부(賦)
「애병백부」
* 판서공 송재 나세찬 선생의 어린 시절: 어려서부터 신동으로 유명해서 8세와 9세 때 한시를 지었으며, 또한 어린 시절에 가난해서 집안에 등잔불이 없어서 모닥불을 지피고 그 옆에서 책을 읽었다고 한다. 부친 나빈(羅彬)은 성균관 생원이었고, 증직 이조참판에 이르러 참판공이라고 불렸다. 아들 판서공 나세찬은 평소 성격이 온후하고 인자했으며, 인간관계가 넓었다고 한다. 나세찬의 안색을 두고 평소에 얼굴에 화기가 넘쳐 술에 취한 사람 같았다고 한다. 또한 나세찬은 효성이 지극해 부모상에 3년 시묘살이를 했으며, 12세의 어린 나이에도 물고기와 들짐승을 잡아 부모를 정성껏 공양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부친 나빈이 관직에 있었고, 나세찬이 학업에 정진할 나이에 낚시와 사냥으로 부모를 공양했다는 주장은 그럴 리가 없다는 이론(異論)도 있다.
* 사림파 유학자: 호남 사림 계열 가운데 후대에 호남 사림 1대 문인으로 평가되며, 고려 후기 유학자 송은(松隱) 나계종(羅繼從)을 잇는 조선 중기 금성 나 씨의 대표적인 유학자
* 호남의 대표적인 관료: 나세찬은 이황(李滉)과 비교되는 조선의 대표적인 유학자인 동시에 허엽(許曄)과 비교되는 조선의 대표적인 관료이자 또한 호남의 대표적인 관료이기도 했다. 나세찬은 어려서부터 명석함이 알려져 8세작과 9세작 한시가 남아 있으며, 인구에 회자되는 유명세로 그가 쓴 「애병백부」(哀病栢賦)는 조선의 백성들 가운데 모르는 사람들이 없을 정도로 암기되고 낭송되었다고 한다. 황해도 황주(黃州)훈도(황주교수) 당시에는 그의 제자들이 그가 떠난 이후로 나세찬의 초상화를 그려 제사를 지냈다는 일화가 남아 있다. 전주부윤 재직 중 서거했을 때는 전주 백성들 전체가 눈물로써 슬퍼하고 애도했다고 한다.
1544년 중종 39년 이조참의, 승정원동부승지에 올라 소윤(少尹) 윤원형(尹元衡)과 대윤(大尹) 윤임(尹任) 사이의 권력 갈등에서 중종과 세자를 도왔고, 그 공훈으로 성균관대사성에 임명되었다. 1545년 인종 1년 사간원대사간에 임명되어 사림파 백인걸(白仁傑)과 유희춘(柳希春)의 유배 해제와 복권을 제기하다가 체직되었다. 1545년 명종 1년 인종이 서거하고 소윤 윤원형 일파가 정권을 잡으면서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났다. 이 당시 사림파가 대윤 일파와 함께 숙청되었으며, 나세찬 역시 사헌부대사헌에 임명되었다가 한성부우윤으로 좌천되었다. 어려서부터 뛰어난 인물로 세상에 알려졌고, 과거에 두 번이나 장원급제한 수재였으며, 백성들의 명망이 높았던 것에 비해서 1545년 을사사화로 인한 사림파 숙청과 1547년 명종 2년 명나라 성절사 파견 이후 외직으로 물러난 것은 역사의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 교유 인물: 이황(李滉), 김인후(金麟厚), 임억령(林億齡) 등과 교유하면서 사가독서에서 시를 앞장서 수창했다. 또한 주세붕(周世鵬), 신광한(申光漢) 등의 관료들과 폭넓은 교유 관계를 유지했다. 조선 시대 전기 같은 세대의 문신으로서 이황이 퇴계학의 거두가 된 대표적인 영남의 유학자였다면, 나세찬은 조선의 대표적인 호남의 1세대 유학자였으며, 김인후는 그의 후배로서 호남 출신의 2세대 유학자에 해당한다.
* 중종(中宗)의 인물 평가: 중종(中宗)이 문정왕후(文定王后)에게 나세찬은 나라의 큰일을 맡을 만한 인물이라고 평가했다고 한다. 선왕(先王) 중종의 높은 평가에 따라 문정왕후의 도움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에도 불구하고 송재 나세찬은 화를 피할 수 있었다.
* 주세붕(周世鵬)•신광한(申光漢) 송별시: 1546년 5월 초 동지중추부사 시절 중국에 가는 길에 홍제원 다리에서 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과 대제학 신광한(申光漢)이 송별시를 짓고 나세찬과 송별했다(주세붕 송별시 칠언 율시 「홍제원봉송나동지비승상공이사은사여경」(弘濟院奉送羅同知丕承相公以謝恩使如京), 신광한 송별시 칠언 율시 「송나동지세찬부연경」(送羅同知世纘赴燕京)).
* 『송재 나세찬』: 2000년 태학사 간 박준규 외 공저 『송재 나세찬』(호남한시미학 2)이 간행되었고, 박준규 저 「송재 나세찬의 교유 인물과 교유시」, 김진영 저 「송재 나세찬의 삶과 문학」, 손오규 저 「송재의 생애와 시문학」, 정병헌 저 「나세찬의 삶과 글짓기의 방식」, 이종찬 저 「송백같이 강의했던 송재의 문학」, 김성기 저 「송재 나세찬의 「애병백부」 연구」, 김신중 저 「나세찬 시문학 연구의 의미 부여」, 김주한 저 「송재 나세찬의 문학세계」, 김학성 저 「나세찬의 시: 도의 드러남의 미학」, 이병기 저 「송재 나세찬의 근체시에 대하여」, 조규익 저 「송재 나세찬의 시문학 연구」, 최한선 저 「송재 나세찬의 부문학 세계」 등의 논문들이 수록되었다.
* 『송재나선생유묵』(松齋羅先生遺墨): 『송재나선생유묵』(松齋羅先生遺墨)에 유묵이 전래되고 있으며 뛰어난 필체로 유명하다. 본 유묵집은 나세찬의 후손들이 나세찬의 글씨를 모아 간행한 영인본 1권 1책으로, 대자 16장, 중자 17장, 초서 12장이 수록되었고, 홍순형의 서문, 이강과 나도순, 나기풍, 나인묵 등의 발문이 첨부되었다. 또한 국립중앙박물관에는 『송재유묵』 유묵 8장이 수록된 『나세찬 필 송재유묵 탑본첩』이 소장되어 있고, 2020년 6월 18일 “나주 송재사 나세찬 유묵 목판” 24매가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92호로 지정되었다(전남 나주 소재).
* 나세찬 시문학(詩文學): 송재 나세찬의 한시는 현재까지 총 33수가 전해지고 있다. 또한 다른 시인들에 의해서 나세찬을 주제로 다룬 교유시는 총 29수가 전래되고 있다. 1505년 을축(乙丑)년 18년 연산군 11년 나세찬의 나이 8세 때 8세작 한시 「착신말」(着新襪)을 썼으며, 1506년 중종 1년 나이 9세 때 9세작 한시 「영사후」(詠射帿)를 썼다. 나세찬의 8세작과 9세작 한시는 나세찬을 나주 태생의 신동으로 전국에 알려지고 주목받는 계기가 되었다. 1508년 무진(戊辰)년 중종 3년 나이 11세 때 부친 참판공 나빈(羅彬)이 아들 나세찬에게 훈시(訓詩) 「수참판공훈」(受參判公訓)을 하사했다. 1541년 신축(辛丑)년 20년 중종 36년 나이 44세 때 이황(李滉)•김인후(金麟厚) 등과 사가독서로 성리학을 논하고 시를 같이 수창했다.
다음 작품들은 창작 연도에 이의가 있다. 1535년 을미(乙未)년 14년 중종 30년 나이 38세 때 고성 유배 중에 시 「거평동팔경」(居平洞八景)을 썼고, 역시 1536년 병신(丙申)년 15년 중종 31년 나이 39세 때 봄 고성 유배 중 시 「기유자항률」(寄猶子恒慄)을 썼다는 중간본 연보의 주장이 있고, 그런 사실이 없다는 주장도 있다. 칠언 율시 송별시 「영천영공연시」(榮川令公年侍)는 조선 시대 문신 김연(金緣)의 저서 『운암일고』(雲巖逸稿) 권2 「별장」에 수록되었으며, 송재 나세찬이 직접 써준 유묵은 당시 관료들이 쓴 여러 편의 전별시를 엮은 김연의 『별시첩』(別詩帖)에 수록되어 「광산 김 씨 예안파 종가 전적 보물 1019호」로 지정되었고, 경북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 385번지 안동 고택에 소장되어 있다. 「영천영공연시」(榮川令公年侍)가 1524년 창작되었다는 설과 1537년 고성 유배 후에 창작되었다는 설이 있다.
1546년 5월 초 동지중추부사로 재직 중 성절사로 연경에 가는 길에 중국행 역원 홍제원 다리에서 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과 대제학 신광한(申光漢)이 송별시를 짓고 나세찬을 송별했다. 이때 주세붕 송별시 칠언 율시 「홍제원봉송나동지비승상공이사은사여경」(弘濟院奉送羅同知丕承相公以謝恩使如京)과 신광한 송별시 칠언 율시 「송나동지세찬부연경」(送羅同知世纘赴燕京)이 헌사되었다.
* 「영천영공연시」(榮川令公年侍): 나세찬의 유묵시 「영천영공연시」는 조선 시대 문신 김연(金緣)이 노모 공양을 위해 중앙 관직을 포기하고 영천군수로 부임할 때 동료 관료들이 전별시로 쓴 시들을 모은 「봉별시첩」(奉別詩帖)에 수록되어 있다. 이 시첩에 시를 남긴 이들은 나세찬 외에 조광조, 성세창, 이자(李耔), 심봉원, 성수종, 이장곤, 송린수, 엄흔, 정응두, 김종윤 등이 있다. 김연의 「별시첩」을 포함한 자료는 「광산 김 씨 예안파 종가 전적 보물 1019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북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 385번지에 소재한다.
* 「애병백부」(哀病柏賦)와 나세찬 부문학(賦文學): 조선 시대 당대에는 나세찬의 부(賦) 「애병백부」(哀病柏賦)가 전국적으로 회자될 정도로 유명했다고 한다. 나세찬 부문학(賦文學)은 총 25편이 전해지고 있으며, 대표작 「애병백부」 외에, 「나부」(懶賦), 「권부」(權賦), 「노장부」(老將賦), 「차장평자귀전부」(次張平子歸田賦), 「차별지송권공 응달응창 지령남부」(次別知送權公 應達應昌 之嶺南賦), 「희우부 정해정시초시괴」(喜雨賦 丁亥庭試初試魁), 「동정부」(洞庭賦), 「망부석부」(望夫石賦), 「궁부실의부」(窮不失義賦), 「대성무작부」(大聖無作賦), 「화우부」(化雨賦), 「사자인지도부」(射者仁之道賦), 「군유주부」(君猶舟賦), 「천감여부」(天鑑余賦), 「복당부」(福堂賦), 「가색유보부」(稼穡惟寶賦), 「장강천참부」(長江天塹賦), 「임우사현좌부」(霖雨思賢佐賦), 「부득어군칙열중부」(不得於君則熱中賦), 「호소삼군부」(縞素三軍賦), 「운벽부」(運甓賦), 「절현부」(絶絃賦), 「어풍부」(御風賦), 「철봉부」(掇蜂賦)가 있다.
* 금성(錦城) 나(羅) 씨: 금성(錦城) 나(羅) 씨는 본관이 금성(옛 백제 시대 발라현(發羅縣), 신라 시대 금성읍, 고려 시대 나주목, 조선 시대 나주읍, 대한민국 시대 금성시 이후 현 나주시)이며, 역사는 통일 신라 시대부터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 그리고 대한민국 시대까지 천년여에 이른다. 시조의 유래는 가락국 왕조 구언왕(仇彦王) 일파가 통일 신라로 흡수되면서 통일 신라의 왕이 신라의 국명에서 라(羅) 성을 하사했다고 알려져 있고, 시조는 이름을 총례(聰禮)라고 명명해서 나총례(羅聰禮)가 되었다는 시조설이 있다. 현재 금성 나 씨 시조설은 시조 나총례가 고려 시대 전기 태조 때 삼한벽상일등공신 금성부원군을 역임했다고 한다. 본관이 금성읍으로 정해진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금성 나 씨의 선조 당 상서좌복야 신라 좌승상 나지강(羅至强) 장군이 중국 당나라 태종 때 당의 고구려 원정을 반대하고 망명해서 신라 효공왕 때 후손 나경(羅璥)이 나주사찬에 책봉되면서 금성읍(백제 발라현)에 정착했다는 설도 있다. 고려 시대 태조 왕건이 금성 지역을 정벌하면서 금성 지역 호족 종례(宗禮)에게 금성 나 씨를 하사했다는 설도 있다. 시조 나총례 시묘가 전남 진도군 군내면 세등리 뒷산에 있었다는 설이 있어 종중이 방문해 답사했으나 확인되지 않았고 실전 묘역으로 보류되었다.
금성은 백제 시대 발라군이었고, 757년 신라 시대 경덕왕 16년 이후 금성군(錦城郡)이었으며, 940년 고려 태조 23년 나주가 지명이 변경되어 983년 고려 시대 성종 2년 나주목이 되어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전남 지역 행정의 중심지를 이루었다. 1895년 조선 시대 고종 32년 나주부가 되었고, 1981년 나주읍과 영산포읍이 통합되어 금성시가 되었으며, 1985년 나주시로 개칭되었고, 1995년 나주시와 나주군이 나주시로 통합되었다.
금성 나 씨의 시조는 나총례이며, 나지강은 선조의 한 사람에 해당한다. 조선 시대 정랑 나무송(羅茂松)의 후손 나경언(羅景彦)은 부산 동래부로 입향한 부산의 입향조이다. 주요 인물은 고려 시대 제주부사•형부상서 나득황, 예문관제학•전리판서 나계종, 조선 시대 성균관대사성•대사헌•증 이조판서 나세찬, 장군 나대용 등이 있다. 그 외에도 많은 현대의 인물들이 있다. 금성 나 씨 사당 봉강사(鳳岡祠)는 전남 문화재자료 제94호로 지정되어 있다.
* 증직: 증직은 정경(正卿) 정2품 또는 정2품의 상위 증직이라고 『송재유고』 중간본 연보에 기록되어 있으며, 묘비명은 대사헌지묘에서 이인좌의 난 이후에 묘비가 두 동강이 난 후로는 이조판서지묘로 바뀌었다. 1860년 경신(庚申)년 철종 11년 송재 나세찬 특별 증직 정2품 이조판서(증 자헌대부 이조판서 지경연의금부사 홍문관대제학 지춘추관 성균관사오위도총부 부총관)로 승직되었고, 묘비명은 “증 자헌대부 이조판서 시 희민 송재 나 선생지묘”(최익현 서)이다.
* 송재학(松齋學): 송재 나세찬 연구는 과거에는 호남의 주요 인물로서 호남학의 일부로 연구되어 왔으며, 현재는 나세찬 연구의 확대에 따라 송재학(松齋學)으로 연구 영역이 넓혀지고 있다.
* 송재 나세찬 유묵: 송재(松齋) 나세찬(羅世纘) 선생은 조선 시대 중종조 성균관대사성, 사간원대사간, 사헌부대사헌, 자헌대부 증 이조판서를 역임한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유학자이자 관료이다. 판서공 자헌대부 증 이조판서 송재 나세찬 선생은 30여 편의 한시(漢詩), 25편의 부(賦)와 함께 100여 편의 유묵(遺墨)을 남겼다.
송재 선생의 유묵집은 1935년 나세찬 선생의 후손 나기풍(羅基豊) 등이 발행한 나세찬 서(書) 『송재나선생유묵』(松齋羅先生遺墨)이 대표적이다. 천연색판 1책이며, 가로 24cm, 세로 36cm이다. 나세찬 선생의 유묵 총 93편이 수록되어 있다. 나세찬 선생의 후손들이 1권 1책 영인본으로 간행한 원본은 대자 16장, 중자 17장, 초서 12장과 홍순형(洪淳馨)의 「서문」, 이강과 중국인 양초선의 제자(題字), 후손 나도순(羅度淳)•나기풍(羅基豊)•나인묵(羅仁默)의 「발문」(跋文)으로 구성되어 있다. 93편의 유묵과 발문으로 구성된 천연색본이다.
금성 나 씨 판서공 나세찬 선생의 유묵집은 근래에 몇 차례에 걸쳐서 전자책으로 발행되었다. 2015년 『송재 나세찬 선생 유묵집(흑백본)』(나세찬 저)과 『송재 나세찬 선생 유묵집(천연색본)』(나세찬 저), 그리고 2020년 『나세찬 유묵집(흑백)』(나세찬 저)이 발행되었다. 이들은 1935년 나기풍 편 『송재나선생유묵』(송재나선생유묵중간소 간)의 흑백 또는 천연색 영인본이다. 2020년 유묵집은 2015년 『송재 나세찬 선생 유묵집(흑백본)』(나세찬 저)의 증보판 형식으로 기 발행 유묵 91편에 고서에서 발굴된 12편의 유묵을 새로 추가했다. 추가 유묵은 1810년 간 『송재선생유묵』에 수록된 작품들이다. 『송재선생유고』는 건과 곤 전 2권으로 발행되었으며, 유묵은 제2권 곤에 수록된 작품들이다. 따라서 기 발행 유묵 91편과 추가된 유묵 12편을 합해서 총 103편의 유묵을 모아 2020년 『나세찬 유묵집(흑백)』이 신규로 발행되었다. 2024년에도 1935년 나기풍 편 『송재나선생유묵』의 천연색 영인본 『송재 유묵』이 간행될 예정이며, 이 전자책에는 유묵 작품 93편이 수록될 예정이다.
* 호남의 대표적인 유학자 판서공 나세찬: 조선 시대 중기 호남 사림을 대표하는 문인 판서공 증 자헌대부 이조판서 송재 나세찬 선생은 전남 나주 출생으로, 본관이 금성 나 씨이며, 조부는 현감 나은제, 부는 참판공 나빈이다. 퇴계 이황, 임형수 등과 교유했고, 당대에 보기 드물게 장원 급제를 두 번한 수재였다. 그는 이조참의, 동부승지, 대사성, 대사헌, 대사간, 충청도관찰사, 한성우윤, 전주부윤 등 여러 관직을 역임했고, 가자로 자헌대부를 받았으며, 이조판서를 증직했다. 나세찬 선생은 문장가로도 유명해서 1522년 부친상을 마치고 25세에 병든 잣나무를 슬퍼하는 76구의 부(賦) 「애병백부」(哀病柏賦)를 지었으며, 『송재유고』에 30여 편의 한시를 남겼다. 그의 뛰어난 지력은 어려서 『소학』을 읽고, 8세에 한시 「착신말」(着新襪)을 쓰고, 9세에 한시 「영사후」(詠射帿)를 쓴 것으로 유명하다. 28세에 사마시, 31세에 별시 문과에 장원급제했고, 1538년 탁영시에서 다시 한 번 장원급제했으며, 이황, 김인후 등과 사가독서를 하면서 앞장 서서 시를 크게 노래로 읊었다고 한다.
특히, 판서공 송재 선생은 명필로 유명해서 유묵을 남겼고, 그의 유묵판 24매가 문화재로 지정되어 현재 백호문학기념관에 소장 중이다. 송재사 앞에는 1702년 서원 건립 당시 식수한 배롱나무가 있으며, 우리나라 배롱나무 중 가장 굵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세찬의 묘비에는 “증자헌대부이조판서대제학행대사헌송재나선생세찬지묘”라고 새겨져 있다. 그와 생전에 교유했던 김인후는 만시에서 그가 “훌륭한 유풍”을 남겼다고 눈물을 적시며 슬퍼했으며, 임희춘은 만시에서 그의 “소나무 같은 원대한 뜻”에 대해 슬퍼했다.
판서공 송재 나세찬 선생은 호남 사림의 주요 인물로서 송흠에서 비롯하여 나세찬과 송순으로 이어지는 호남 사림 2기를 대표하며, 그 후에는 김인후로 호남 사림의 맥이 이어졌다. 나세찬을 기념하여 1702년 숙종 28년 사림이 나주 송림산에 사당을 건립했고, 1863년 철종 14년에 시호 희민(僖敏)이 하사되었다. 사당 송재서원은 전남 나주시 문평면 동원리에 위치하며, 후에 임형수, 나대용, 나덕원, 나무송, 나무춘 등 6인이 함께 배향되었다. 나세찬은 후세에 대대로 송흠, 송순, 임형수, 김인후 등과 함께 호남 유학의 주요 인물로 일컬어진다. 그 외에도, 여러 시대에 걸쳐서 배출된 호남의 주요 인물들로는 기대승, 기정진, 기우만, 나철, 신경준, 유형원, 윤선도, 정약용, 정철, 정극인, 지눌 등이 있다.
1958년 금성 나 씨 문중에서 나주시 문평면 삼호리 남산마을에 정자 사벽정(四碧亭)을 건립했다. 나세찬은 38세 당시에 나주 거평마을에 은거해서 거평동 팔경을 시로 지었다고 한다. 나세찬이 호남 사림을 잇던 시절은 조선 건국 이후 남도의 신진 사림이 대거 과거에 합격하고 중앙에 진출하던 때였으며, 1513년 사마시에는 생원 합격자 100명 가운데 전남 출신이 23명이었고, 진사 합격자는 100명 중 전남 출신이 24명으로 타 지역과 거의 대등한 세력을 유지하던 시대였다.
판서공 송재 나세찬 선생의 고서로 현재 각 기관에 소장된 도서들은 다음과 같다.
나세찬 저, 『송재선생유고』, 발행자 미상, 1777년 (서문). (목활자본, 성균관대 존경각 소장, 계명대동산도서관 소장)
―목판본, 1책
나세찬 저, 『송재선생유고』, 발행지•발행자 미상, 1801년. (경북대중앙도서관 소장)
―목판본, 2책, 표제. 송재유고, 송환기 서
나세찬 저, 『송재선생유고』, 건 곤 권1~2, 발행자 미상, 1810년.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나세찬 저, 『송재선생유고』, 권1~4, 발행자 미상, 1810년. (목판본, 전남대도서관 소장)
나세찬 저, 『송재선생유고』, 권1~4, 발행자 미상, 1811년. (목판본, 한국학연구원 소장)
나세찬 저, 『송재선생유고』, 발행자 미상, 1829년. (목판본, 서울대 규장각 소장, 성균관대 존경각 소장)
나세찬 저, 『송재선생유고』, 무안: 송림서원, 1830년.
―목판본, 3권, 부록 1권, 유묵 6판, 총 4권 2책, 표제. 송재집, 1801년 송환기 서, 1829년 연보, 1776년 목판 임원우 식, 1776년 유최기 발, 1776년 홍석주 발, 1830년 나석오 발, 1777년 이기경 발, 1810년 송치규 발, 1811년 홍석주 서(書)
나세찬 저, 『송재선생유고』, 발행자 미상, 1864년경(서). (목판본, 영남대도서관 소장)
나세찬 저, 나학필 편, 『송재선생유고: 병부록•유묵』, 발행자 미상, 1864년.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목판본, 4권 2책, 유묵, 서명. 송재집(松齋集), 1801년 송환기 서, 1777년 이기경 발, 1810년 송치규 발, 1811년 홍석주 발, 1864년 기정진 발 수록; 권1 시, 부, 사, 권2 논, 책, 권3 소, 서, 잠, 송, 여문, 문, 묘표, 권4 연보, 제문, 행장, 묘표, 유묵 등
나세찬 저, 『송재선생문집』, 권1~7, 발행자 미상, 1900년. 중간본. (목판본, 이대도서관 소장)
나세찬 저, 『송재선생문집』, 나도순 간, 1900년.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나세찬 저, 『송재선생문집』, 발행자 미상, 1900년. (목활자본, 모덕사 소장)
나세찬 저, 『송재선생문집—천 지 인』, 발행지•발행자 미상, 1900년. (목활자본, 충남대도서관 소장)
―7권 3책, 표제. 송재집, 송환기•최익현•송병순 서와 발
나세찬 저, 『송재선생문집』, 발행자 미상, 1912년. (목활자본, 전주대중앙도서관 소장, 성균관대 존경각 소장)
나세찬 저, 『송재선생문집』, 발행지•발행자 미상, 1912년. (이화여대도서관 소장)
―목판본, 7권 3책, 1801년 송환기 서, 최익현 발, 1837년 이기경 발
나세찬 저, 『송재선생문집』, 권1~2. 발행자 미상, 1912년. (목활자본, 춘호재 소장)
나세찬 저, 『송재선생문집』, 권1~7. 발행자 미상, 1912년. (목활자본, 충남대도서관 소장, 미 UC버클리대도서관 소장)
―7권 3책, 송환기최익현송병순 서와 발, 1912년 나종운 발
나세찬 저, 『송재선생문집』, 발행지•발행자 미상, 1912년. (고려대도서관 소장)
―목활자본, 7권 3책, 1912년 중간본 연보
나세찬 저, 『송재나선생유묵』, 송재서원, 1927년. (목판본, 고대도서관 소장)
나세찬 저, 『송재선생유묵』, 나민완 간, 1927년.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나세찬 저, 『송재유묵』, 송재서원, 1927년. (목판본, 고대도서관 소장)
나송재 저, 나민현 편, 『송재선생유묵』, 나주: 발행자 미상, 1929년.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나세찬 저, 나기풍 편, 『송재나선생유묵』, 송재나선생유묵중간소, 1935년.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동판본
나세찬 저, 『송재나선생유묵』, 발행자 미상, 1935년. (국회도서관 소장)
나세찬 저, 『송재선생문집』, 서병직 편, 나동순 간, 1935년.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석인본, 7권 3책
나세찬 저, 『송재선생문집: (병)부록』, 나동순 간, 1935년. (석판본,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나세찬 저, 『송재선생문집』, 서병직 간, 1935년. (석판본, 전남대도서관 소장)
―석판본, 6권 3책 권1~6, 1874년 윤영구 중간서, 1899년 최익현 발, 1935년 나기풍 발
나세찬 저, 『송재나선생유묵』, 나기풍 간, 1935년. (고려대도서관 소장)
―석인본, 1책, 1933년 홍순형 서, 1935년 나도순 발, 1935년 나인묵 발, 1935년 나기풍 후기
나세찬 저, 『송재선생문집』, 발행자•발행 연도 미상. (목판본, 국회도서관 소장)
나세찬 저, 『송재선생유고』, 발행지•발행자•발행년 미상. (목판본, 서강대도서관, 연세대도서관, 전남대중앙도서관 소장)
―2권 1책(전 4권 2책), 표제. 송재유고, 1777년 이기경 발, 1810년 송치규 발, 1811년 홍석주 발, 권3 소, 서, 잠, 송, 여문, 문, 묘표, 권4 부록
나세찬 저, 『송재선생문집』, 권3~4. 발행자 미상, 연도 미상. (석판본, 계명대동산도서관 소장)
나세찬 저, 『송재선생유고』, 1~2(권 1~4), 발행자•발행 연도 미상. (목판본, 부산대도서관 소장)
나세찬 저, 『송재선생유고』, 권1~4. 발행자 미상, 연도 미상. (목판본, 전북대도서관 소장)
나세찬 저, 『송재선생문집』, 발행지•발행자•발행 연도 미상. (목활자본 중간본, 연세대도서관 소장)
―7권 3책, 1801년 송환기 서, 1899년 최익현 중간서, 1900년 송병순 중간발, 권1 시, 부, 사, 권2 논, 권3 책, 권4 소, 서, 잠, 송, 여문, 문, 묘표, 권5~6 부록, 권7 추록
나세찬 저, 『송재집』, 발행지•발행자•발행년 미상. (호남대도서관 소장)
―목판본, 1책
송재 나세찬 선생에 대한 최근 간행 도서들은 다음과 같다.
나세찬 저, 『송재유고집 (국역)』, 나갑주/김영재 공역, 송재사, 1984년.
나세찬 저, 『(국역) 송재유고집』, 나갑주/김영재 공역, 송재사, 1985년.
나세찬 저, 『(국역) 송재유고』, 나갑주/김영재 공역, 호남문화사, 1985년.
민족문화추진회 편,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28』,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89년.
성운•나세찬•나식 공저, 『대곡집•송재유고•장음정유고』,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28,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90년. (울산대도서관, 충남대도서관 소장)
―영인판
나세찬 저, 『송재선생문집 1』, 서울: 경인문화사, 1993년. (영인본, 경상대도서관 소장)
나세찬 저, 『송재당문집』, 한국역대문집총서 57, 서울: 경인문화사, 1993년.
나세찬•한충 공저, 『송재선생문집』, 한국역대문집총서 57, 서울: 경인문화사, 1997년.
박준규, 최한선 공저, 『송재 나세찬』, 호남한시미학 2, 태학사, 2000년.
―수록 논문: 박준규, 「송재 나세찬의 교유 인물과 교유시」; 김진영, 「송재 나세찬의 삶과 문학」; 손오규, 「송재의 생애와 시문학」; 정병헌, 「나세찬의 삶과 글짓기의 방식」; 이종찬, 「송백같이 강의했던 송재의 문학」; 김성기, 「송재 나세찬의 애병백부 연구」; 김신중, 「팔경시와 송재의 「거평동팔경」」; 김주한, 「송재 나세찬의 문학세계」; 김학성, 「나세찬의 시: 도의 드러남의 미학」; 이병기, 「송재 나세찬의 근체시에 대하여」; 조규익, 「송재 나세찬의 시문학 연구」; 최한선, 「송재 나세찬의 부문학 세계」
두흉강•추루이중•한덩융•류링•옌충둥 공편, 『한국문집중적명대사료 1~13』, 계림: 광서사범대출판사, 2006년. (영인판 13책)
나세찬 저, 『송재 나세찬 선생 유묵집(흑백본)』, 인천: 도서출판 DRM연구원, 2015년.
나세찬, 『송재 나세찬 선생 유묵집(천연색본)』, 인천: 도서출판 DRM연구원, 2015년.
나세찬 저, 『송재선생문집(천연색 원문) 상(권1~2)』, 인천: 도서출판 DRM연구원, 2016년.
나세찬 저, 『송재선생문집(천연색 원문) 중(권3~4)』, 인천: 도서출판 DRM연구원, 2017년.
나세찬 저, 『송재선생문집(천연색 원문) 하(권5~6)』, 인천: 도서출판 DRM연구원, 2017년.
김정수, 『전라도 사람들 7: 임형수•나세찬•유희춘•정황』, 하서출판사, 2019년.
판서공 송재 나세찬 선생에 대한 논문들은 다음과 같다.
김양수, 「충청 감사 나세찬이 올린 충청도 내의 여역과 기민의 상황을 적은 서장」, 실록청, 1548년. (한국연구재단(NRF) 연구보고서)
김진영, 「송재 나세찬의 삶과 문학」, 『인문학 연구—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호, 경희대 인문과학연구소, 1996년. 1~17.
정병헌, 「나세찬의 책문과 논술의 전통」, 『어문논집』 제6권, 숙명여대 어문학연구소, 1996년. 117~154.
김성기, 「송재 나세찬의 애병백부 연구」, 『인문과학연구—조선대학교』 제20집, 조선대 인문과학연구소, 1998년. 1~24.
박준규, 「송재 나세찬의 교유인물과 교유시」, 『고시가연구』 제5집, 한국고시가문학회, 1998년. 253~290.
손오규, 「송재 나세찬의 학문과 시문학」, 『어문교육논집—부산대학교』 제16집, 부산대 국어교육과, 1998년. 71~93.
최한선, 「송재 나세찬의 부문학 세계」, 『우리말 글』 제18집, 우리말글학회, 1999년. 143~182.
윤평현, 「[이미지] 송재사」, 전남대, 2003년. (한국연구재단(NRF) 연구보고서)
임종욱, 「한국문집 소재 ‘부’ 수집, 역주 및 해제 연구 결과보고서」, 2009년. (한국연구재단(NRF) 연구보고서)
박재경, 「책문으로 본 조선시대 과거사의 이면」, 『대동한문학』 38권, 대동한문학회, 2013년. 137~165.
김남이, 「16세기 중반, 조선 중앙 지성계의 동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중종 36년(1541) 호당수계의 ‘젊은’ 13인을 중심으로」, 2017년. (한국연구재단(NRF) 연구보고서)
김태완, 「풍조를 검소한 풍조로 바구려면: 나세찬」, 『책문, 조선의 인문 토론』, 현자의마을, 2017년.
* 송재 나세찬 선생에 대한 한국의 연구 성과: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검색되는 송재 나세찬 선생에 대한 한국의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정병헌, 「나세찬의 책문과 논술의 전통」, 『어문논집』 제6권, 숙명여자대학교 어문학연구소, 1996년. 117~154 등 국내 학술 논문 7편; 박준규•최한선 공저 『송재 나세찬』, 태학사, 2000년 등 단행본 60여 권; 김양수, 「충청 감사 나세찬이 올린 충청도 내의 여역과 기민의 상황을 적은 서장」, 실록청, 1548년, 한국연구재단(NRF) 등 연구 보고서 11편 등 있다. <끝> <1차 2023년 4월 15일, 수정 2024년 4월 7일, 나종혁 글>
* 참고 자료: 『송재선생유고』(중간본) 권지4 「부록 상」 「연보」; 한수재 권상하 대사헌 송재 나세찬 「행장」; 국사편찬위, 『조선왕조실록』, <www.sillok.history.go.kr); 나종혁, 「서문」, 『송재 유묵』, 2024년(출판 예정); 기타 참조
* 나종혁 출판예술문화 후원금을 모금합니다. 출판예술인 나종혁의 후원금은 금액에 관계없이 후원이 가능합니다. 후원금 계좌 국민은행 012-21-0653-488 (예금주 나종혁), 우체국 100073-02-217008 (예금주 나종혁). 많은 후원 바랍니다.
* 진로정책상담연구소. 소장 겸 연구 교수 나종혁. 사업자등록번호 726-06-01267. 홈페이지: http://cafe.daum.net/jinjeongyeon. 이메일 peaceenglish@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