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1. 내경(經)의 정의(義)
옹저편(<癰疽篇>)에서 황제(黃帝)가 이르기를 "혈기(血氣)가 이미 조(調)하면 형기(形氣)가 이로 유지(:持)된다. 나는 이미 혈기(血氣)의 평(平)과 불평(不平)은 알겠는데, 옹저(癰疽)가 생(生)하는 바는 알지 못하겠다. 성패(成敗)의 시(時)와 사생(死生)의 기(期)에 원근(遠近)이 있다 하니, 이를 어떻게 헤아리는지(:度) 알 수 있겠는가?" 하였다.
기백(岐伯)이 이르기를 "경맥(經脈)은 유행(流行)하고 부지(不止)하니, 천(天)과 같이 도(度)하고 지(地)와 합(合)하여 기(紀)한다. 따라서 천(天)의 숙(宿)이 그 도(度)를 실(失)하면 일월(一月)이 박식(薄蝕)하고, 지(地)의 경(經)이 그 기(紀)를 실(失)하면 수도(水道)가 유일(流溢)하여 초의(草萓)가 불성(不成)하고 오곡(五穀)이 불식(不殖)하며, 경로(徑路)가 불통(不通)하여 민(民)이 왕래(往來)하지 못하고 항(巷)에 모이고 읍(邑)에 거주하니, 다른 곳과 별리(別離)된다.
혈기(血氣)도 또한 그러하니, 청(請)하건대 그 연고(故)를 말하겠다.
혈맥(血脈)의 영위(營衛)가 주류(周流)하여 불휴(不休)하는 것은 상(上)으로는 성숙(星宿)에 응(應)하고 하(下)로는 경수(經數)에 응(應)한다.
한사(寒邪)가 경락(經絡) 중에 객(客)하면 혈(血)이 삽(泣)하고 혈(血)이 삽(泣)하면 불통(不通)하며, 불통(不通)하면 위기(衛氣)가 귀(歸)하여 다시 반(反)하지 못하므로 옹종(壅腫)이 된다.
한기(寒氣)가 화(化)하면 열(熱)이 되고, 열(熱)이 승(勝)하면 육(肉)이 부(腐)하며, 육(肉)이 부(腐)하면 농(膿)이 되고, 농(膿)이 사(瀉)하지 못하면 근(筋)이 난(爛)하며, 근(筋)이 난(爛)하면 골(骨)이 상(傷)하고, 골(骨)이 상(傷)하면 수(髓)가 소(消)한다. 이에 골(骨)의 공(空)을 당(當)하지 못하고 설사(泄瀉)하지 못하므로 혈(血)이 고(枯)한다. 이에 공(空)이 허(虛)하면 근골(筋骨) 기육(肌肉)을 영(榮)하지 못하니, 경맥(經脈)이 패루(敗漏)하고 오장(五臟)을 훈(熏)하여 장(臟)이 상(傷)하므로, 사(死)한다." 하였다.
황제(黃帝)가 이르기를 "원(願)하건대 옹저(癰疽)의 형(形)과 기일(忌日)과 그 명(名)을 모두 듣고 싶다." 하였다.
기백(岐伯)이 이르기를 "옹(癰)이 익(嗌: 목구멍) 중에서 발(發)하면 명(名)하여 맹저(猛疽)라 한다. 맹저(猛疽)를 불치(不治)하면 화(化)하여 농(膿)이 되고, 농(膿)을 사(寫)하지 않으면 인(咽)을 색(塞)하므로 반일(半日)에 사(死)한다. 화(化)하여 농(膿)이 된 것을 사(寫)하려면 시고(豕膏)를 합(合)하여 하니, 냉식(冷食)을 3일이면 죽는다(:已).
경(頸: 목 앞)에 발(發)하면 명(名)하여 요저(夭疽)라 한다. 이 옹(癰)은 대(大)하면서 적흑(赤黑)하니, 급치(急治) 하지 않으면 열기(熱氣)가 하(下)의 연액(淵腋)에 들어가 앞으로는 임맥(任脈)을 상(傷)하고 안으로는 간폐(肝肺)를 훈(熏)하니, 간폐(肝肺)를 훈(熏)하기를 10여 일하면 사(死)한다.
양기(陽氣)가 대발(大發)하여 뇌(腦)를 소(消)하고 항(項: 목 뒤)에 유(留)하면 명(名)하여 뇌삭(腦爍)이라 한다. 그 색(色)이 좋지(:樂) 않고 항(項)이 통(痛)하니, 침(針)으로 자(刺)하는 것 같다. 번심(煩心)하면 사(死)하니, 치(治)할 수 없다.
견(肩: 어깨) 및 노(臑: 상박)에 발(發)하면 명(名)하여 자옹(疵癰)이라 한다. 그 상(狀)이 적흑(赤黑)하면 급히 치(治)하여야 한다. 이는 한(汗)이 족(足)에까지 출(出)하게 하나, 오장(五臟)을 해(害)하지는 않는다. 옹(癰)이 발(發)하고 4~5일안에 빨리 뜸(:焫 불사르다)을 떠야 한다.
액하(腋下: 겨드랑이 아래)에 발(發)하고 적(赤)하면서 견(堅)하면 명(名)하여 미저(米疽)라 한다. 그 치(治)는 폄석(砭石: 돌침)으로 하니, 세(細)하고 장(長)한 것으로 하고, 소(疏)하게 폄(砭: 침(針))하며, 시고(豕膏)로 도(塗)하면 6일에 나으니(:已), 과(窠)하지는 말라. 옹(癰)이 견(堅)하여 궤(潰)하지 않으면 마도(馬刀) 협영(挾纓)이 되므로, 급히 치(治)하여야 한다.
흉(胸)에 발(發)하면 명(名)하여 정저(井疽)라 명(名)한다. 그 상(狀)은 대두(大豆)와 같고 3~4일에 기(起)한다. 조치(早治)하지 않아 복(腹)으로 하입(下入)하면 불치(不治)하니, 7일에 사(死)한다.
응(膺: 앞가슴)에 발(發)하면 명(名)하여 감저(甘疽)라 한다. 그 색(色)은 청(靑)하고 그 상(狀)은 마치 곡실(穀實)이나 과루(瓜蔞)와 같고 항상 한열(寒熱)로 고(苦)한다. 이를 급히 치(治)하여 한열(寒熱)을 거(去)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10년(:歲)에 사(死)하고, 사(死)한 후에 농(膿)이 출(出)한다.
협(脇)에 발(發)하면 명(名)하여 패자(敗疵)라 하니, 패자(敗疵)는 여자(女子)의 병(病)이다. 이를 구(灸)하면 그 병(病)이 대(大)하게 옹(癰)이 농(膿)하고 그 중(中)에 육(肉)이 생(生)하니, 대(大)하기가 적소두(赤小豆)만 하다.
그 치(治)는 능(䔖: 마름)과 교초근(翹草根) 각 1승(升)을 썰고 물 1두(斗) 6승(升)으로 달이고 졸여서(:竭) 3승(升)이 되게 하고, 이를 억지로 음(飮)하면서 후의(厚衣)를 입고 솥 위(:釜上)에 앉으니, 한(汗)이 족(足)에까지 출(出)하면 낫는다.
고(股: 넓적다리)와 경(脛: 정강이)에 발(發)하면 명(名)하여 고경저(股脛疽)라 한다. 그 상(狀)은 심(甚)하게 변(變)하지는 않고 옹(癰)의 농(膿)이 골(骨)에 박(搏)한다. 급히 치(治)하지 않으면 30일에 사(死)한다.
고(尻: 천골과 미골)에 발(發)하면 명(名)하여 예저(銳疽)라 한다. 그 상(狀)은 적(赤) 견(堅) 대(大)하다. 급히 치(治)하여야 하니, 치(治)하지 않으면 30일에 사(死)한다.
고음(股陰: 넓적다리 안쪽)에 발(發)하면 명(名)하여 적시(赤施)라 한다. 급히 치(治)하지 않으면 60일에 사(死)한다. 양고(兩股)의 내(內)에 있으면 불치(不治)하니, 10일에 사(死)한다.
슬(膝)에 발(發)하면 명(名)하여 자옹(疵癰)이라 한다. 그 상(狀)은 대(大)하게 옹(癰)하고 색(色)이 불변(不變)하며 한열(寒熱)한다.
견(堅)한 석(石)과 같으면 석(石)으로 하지 말지니, 석(石)으로 하면 사(死)한다. 반드시 유(柔)하기를 기다렸다가 석(石)으로 하면 생(生)한다.
모든 옹저(癰疽)가 절(節)에 발(發)하여 상응(相應)하면 치(治)할 수가 없다. 양(陽)에 발(發)하면 100일에 사(死)하고 음(陰)에 발(發)하면 30일에 사(死)한다.
경(脛: 정강이)에 발(發)하면 명(名)하여 토설(兎齧)이라 한다. 그 상(狀)은 적(赤)하고 골(骨)에 이르니, 급히 치(治)하여야 한다. 치(治)하지 않으면 사람을 해(害)한다.
내과(內踝: 안쪽 복사뼈)에 발(發)하면 명(名)하여 주완(走緩)이라 한다. 그 상(狀)은 옹(癰)의 색(色)이 불변(不變)한다. 자주 그 수(輸)에 석(石)으로 하여 한열(寒熱)을 지(止)하게 하면, 사(死)하지 않는다.
족(足)의 상하(上下)에 발(發)하면 명(名)하여 사음(四淫)이라 한다. 그 상(狀)은 대(大)하게 옹(癰)한다. 급히 치(治)하여야 하니, 100일에 사(死)한다.
족(足)의 방(傍)에 발(發)하면 명(名)하여 여옹(厲癰)이라 한다. 그 상(狀)은 대(大)하지 않으니, 초(初)에는 소지(小指)만 하게 발(發)한다. 급히 치(治)하여 흑(黑)한 것을 거(去)하여야 한다. 소(消)하지 않으면 갑자기 더하게 되어 불치(不治)하니, 100일에 사(死)한다.
족지(足指)에 발(發)하면 명(名)하여 탈옹(脫癰)이라 한다. 그 상(狀)이 적흑(赤黑)하면 사(死)하여 불치(不治)하고, 적흑(赤黑)하지 않으면 사(死)하지는 않는다. 쇠(衰)하지 않으면 급히 참(斬)하여야 하니, 그렇지 않으면 사(死)한다." 하였다.
황제(黃帝)가 이르기를 "그대가 옹(癰)과 저(疽)를 말하는데, 어떻게 구별(:別)하는가?" 하였다.
기백(岐伯)이 이르기를 "영위(榮衛)가 경맥(經脈)의 중(中)에 계류(稽留)하면 혈(血)이 삽(泣)하여 불행(不行)하고 불행(不行)하면 위기(衛氣)가 이를 따라 불통(不通)하고 옹알(壅遏)하여 불행(不行)하므로 열(熱)하게 된다. 대열(大熱)이 부지(不止)하여 열(熱)이 승(勝)하면 육(肉)이 부(腐)하고, 부(腐)하면 농(膿)이 된다. 그런데 함(陷)하지 않으면 골수(骨髓)는 초고(焦枯)하지 않고 오장(五臟)은 상(傷)하지 않으니 따라서 이를 옹(癰)이라 한다." 하였다.
황제(黃帝)가 이르기를 "그렇다면 무엇을 저(疽)라고 하는가?" 하였다.
岐伯이 이르기를 "열기(熱氣)가 순성(淳盛: 매우 성하다)하여 하(下)로 기부(肌膚)에 함(陷)하면 근수(筋髓)가 고(枯)하고 내(內)로 오장(五臟)에 연(連)하므로 혈기(血氣)가 갈(竭)하니, 그 옹(癰)의 하(下)에 해당(:當)하는 근골(筋骨) 양육(良肉)이 모두 남는 것이 없으므로(:無餘) 이를 명(命)하여 저(疽)라 한다.
저(疽)는 그 상(上)의 피(皮)가 요(夭)하고 견(堅)하며 그 상(上)이 우령(:牛領 소의 목줄기)의 피(皮)와 같다.
옹(癰)은 그 피(皮)의 상(上)이 박(薄)하고 윤택(:澤)하다.
이것이 그 후(候)이다." 하였다.
옥판편(<玉版篇>)에서 황제(黃帝)가 이르기를 "병(病)이 생(生)할 때 희노(喜怒: 감정)가 불측(不測)하고 음식(飮食)이 부절(不節)하므로 인하여 음기(陰氣)가 부족(不足)하고 양기(陽氣)가 유여(有餘)하므로 영기(營氣)가 불행(不行)하면 옹저(癰疽)가 발(發)한다. 음양(陰陽)이 불통(不通)하고 양열(兩熱)이 상박(相搏)하면 화(化)하여 농(膿)이 된다. 이를 소침(小針)으로 취(取)할 수 있는가?" 하였다.
기백(岐伯)이 이르기를 "소(小)로 소(小)를 치(治)하면 그 공(功)은 소(小)하다. 대(大)로 대(大)를 치(治)하면 그 해(害)가 많다. 따라서 이미 농혈(膿血)이 된 것은 오직 폄석(砭石) 피침(:鈹) 봉침(:鋒)으로 취(取)하여야 한다." 하였다.
황제(黃帝)가 이르기를 "해(害)가 많다는 것은 온전(:全)하게 할 수 없다는 것인가?" 하였다.
기백(岐伯)이 이르기를 "그 역순(逆順)에 달렸다. 상(傷)한 자의 백안(白眼)이 청흑(靑黑)하고 안(眼)이 소(小)하면 일역(一逆)이다. 내약(內藥)하여도 구(嘔)하면 이역(二逆)이다. 복통(腹痛) 갈심(渴甚)하면 삼역(三逆)이다. 견항(肩項) 중이 불편(不便)하면 사역(四逆)이다. 음시(音嘶) 색탈(色脫)하면 오역(五逆)이다. 이 다섯 가지를 제외(:除)하면 순(順)이다." 하였다.
한열병편(<寒熱病篇>)에 이르기를 "오장(五臟)의 신(身)에는 오부(五部)가 있다.
복토(伏兎)가 첫째이다. 비(腓: 장단지)가 둘째이니, 비(腓)는 곧 천(腨)이다. 배(背)가 셋째이다. 오장(五臟)의 수(輸)가 넷째이다. 항(項)이 다섯째이다. 이 오부(五部)에 옹저(癰疽)가 있으면 사(死)한다.
자(刺)하여 해(害)할 경우, 중(中)하여도 불거(不去)하면 정(精)이 설(泄)하고, 중(中)하지 않은데도 거(去)하면 기(氣)가 치(致)한 것이다. 정(精)이 설(泄)하면 병(病)이 심(甚)하여지고 두려워하여야(:恇) 하고, 기(氣)가 치(致)하면 옹저(癰疽)로 생(生)한다." 하였다.
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에 이르기를 "고량(高粱)이 변(變)하여 족(足)에 대정(大丁)이 생(生)하니, 그 수(受)함이 마치 허(虛)를 쥐는 듯(:持)하니 (쉽게) 된다.
한(汗)이 출(出)하는데 습(濕)을 보면 곧 좌비(痤疿)가 생(生)한다.
노(勞)하여 한(汗)하는데 풍(風)을 맞으면 한(寒)이 박(薄)하여 사(皶)가 되고, 울(鬱)하면 좌(痤)가 된다.
영기(營氣)가 따르지(:從) 못하여 육리(肉理)에 역(逆)하면 곧 옹종(壅腫)이 생(生)한다.
맥(脈)에 함(陷)하면 누(瘻)가 되니, 육주(肉腠)로 유연(留連)하게 된다.
포식(飽食)으로 인하면 근맥(筋脈)이 횡해(橫解: 이완하고 불수하다)하여 장벽(腸澼)하므로 치(痔)가 된다." 하였다.
음양별론(<陰陽別論>)에 이르기를 "삼양(三陽)이 병(病)하면 한열(寒熱)을 발(發)하고, 하(下)하면 옹종(癰腫)이 된다." 하였다.
맥도편(<脈度篇>)에 이르기를 "육부(六府)가 불화(不和)하면 유결(留結)하여 옹(癰)이 된다." 하였다.
이법방의론(<異法方宜論>)에 이르기를 "동방(東方)의 지역(:域)은 그 백성들이 생선(:魚)을 먹고 소금(:鹽)을 좋아하는데, 그 병(病)은 모두 옹양(癰瘍)이 된다. 그 치(治)는 마땅히 폄석(砭石)으로 하니, 폄석(砭石)은 또한 동방(東方)에서 온 것이다." 하였다.
기혈론(<氣穴論>)에 이르기를 "육(肉)이 대회(大會)하는 곳은 곡(谷)이고 육(肉)이 소회(小會)하는 곳은 계(谿)이다. 육분(肉分)의 사이는 계(谿)와 곡(谷)이 회(會)하는 곳이고, 영위(榮衛)가 행(行)하고 대기(大氣)가 회(會)하는 곳이다. 사기(邪)가 일(溢)하면 기(氣)가 옹(壅)하니 맥(脈)이 열(熱)하고 육(肉)이 패(敗)하여지며, 영위(榮衛)가 불행(不行)하므로 반드시 농(膿)이 된다. 내(內)로는 골수(骨髓)를 소(消)하고, 외(外)로는 대괵(大膕: 기육이 크게 뭉친 곳)을 파(破)하며, 절(節) 주(湊)에 유(留)하면 반드시 패(敗)하게 된다. 적한(積寒)이 유사(留舍)하면 영위(榮衛)가 거(居)하지 못하니, 근육(筋肉)이 권축(卷縮)하고 근부(肋胕: 힘줄과 살가죽)가 신(伸)하지 못하므로, 내(內)로는 골비(骨痺)가 되고 외(外)로는 불인(不仁)이 된다. 이를 명(命)하여 부족(不足)이라 하니, 대한(大寒)이 계곡(溪谷)에 류(留)하기 때문이다." 하였다.
자절진사론(<刺節眞邪論>)에 이르기를 "허사(虛邪)가 사람을 중(中)하면 쇄석(洒淅)하여 형(形)을 동(動)하게 하고 호모(毫毛)를 기(起)하며 주리(腠理)를 발(發)한다. 심(深)으로 들어가 내(內)의 골(骨)에 박(搏)하면 골비(骨痺)가 되고, 근(筋)에 박(搏)하면 근련(筋攣)이 되며, 맥(脈) 중에 박(搏)하면 혈폐(血閉)가 되고, 불통(不通)하면 옹(壅)이 된다.
허사(虛邪)가 몸에 깊이 들어가 한열(寒熱)이 상박(相搏)하고, 오래 머물러(:久留) 내착(內著)하니 한(寒)이 그 열(熱)을 승(勝)하면 골동(骨疼) 육고(肉枯)가 되고, 열(熱)이 그 한(寒)을 승(勝)하면 난육(爛肉) 부기(腐肌)하여 농(膿)이 된다. 내(內)로는 골(骨)을 상(傷)하니, 내(內)의 골(骨)을 상(傷)하면 골식(骨蝕)이 된다. 앞의 근(筋)에 질병(疾)이 있으면 근(筋)이 굴(屈)하면서 신(伸)하지는 못하니, 사기(邪氣)가 그 사이에 거(居)하여 반(反)하지 못하므로 발(發)하여 근류(筋溜->筋瘤)가 된다.
결(結)한 곳이 있으면 기(氣)가 귀(歸)하니, 위기(衛氣)가 유(留)하여 반(反)하지 못하고 진액(津液)이 구류(久留)하면 합(合)하여 장류(腸溜->腸瘤)가 된다. 오래되면 몇 년에 걸쳐 성(成)하고 손으로 만지면 유(柔)하다. 이미 결(結)한 바가 있어 기(氣)가 귀(歸)하고 진액(津液)이 유(留)하며 사기(邪氣)가 중(中)하면 응결(凝結)하여 날로 심(甚)하게 되고 연(連)하여 취거(聚居)하면 석류(昔瘤)가 된다. 손으로 만지면 견(堅)하고 결(結)한 바가 있으면 심(深)하게 골(骨)에 중(中)한 것이니, 기(氣)가 골(骨)로 인하,고 골(骨)과 기(氣)가 병(並)하여 날로 익대(益大)하니 골저(骨疽)가 된다. 결(結)한 바가 있어 육(肉)에 중(中)하면 종기(宗氣)가 귀(歸)하니, 사기(邪)가 유(留)하여 불거(不去)하면 열(熱)이 있으면 농(膿)으로 화(化)하고 열(熱)이 없으면 육저(肉疽)가 된다.
이러한 여러 기(氣)는 그 발(發)에 정해진 곳(:常處)은 없지만, 정해진 이름(:常名)은 있다." 하였다.
병능론(<病能論>)에서 황제(黃帝)가 묻기를 "위완옹(胃脘癰)을 병(病)할 때 진단(診)은 어떻게 하는가?" 하였다.
기백(岐伯)이 대답하며 이르기를 "이를 진(診)하려면 마땅히 위맥(胃脈)을 후(候)하여야 하니, 그 맥(脈)은 마땅히 침세(沈細)하다. 침세(沈細)는 기(氣)가 역(逆)한 것이니, 역(逆)한 것은 곧 인영(人迎)이 심(甚)히 성(盛)한 것이고, 심(甚)히 성(盛)한 것은 곧 열(熱)한 것이다. 인영(人迎)은 위맥(胃脈)이니 역(逆)하여 성(盛)하면 열(熱)이 위구(胃口)에 취(聚)하여 불행(不行)하므로 위완옹(胃脘癰)이 된다." 하였다.
황제(黃帝)가 이르기를 "경옹(頸癰)의 병(病)은 석(石)으로 치(治)하거나 침구(針灸)로 치(治)하여도 모두 낫는다고 하는데, 그 진실(:眞)은 어디에 있는가?" 하였다.
기백(岐伯)이 이르기를 "이는 (경옹으로) 동명(同名)이지만 같지 않은(:異等) 경우이다.
옹(癰)에서 기(氣)가 식(息)하면 마땅히 침(針)으로 개(開)하여 제거(除去)하여야 한다.
기(氣)가 성(盛)하고 혈(血)이 취(聚)하면 마땅히 석(石)으로 사(瀉)하여야 한다.
이는 소위 '동병(同病) 이치(異治)'하는 경우이다." 하였다.
맥요정미론(<脈要精微論>)에서 황제(黃帝)가 이르기를 "모든 옹종(癰腫) 근련(筋攣) 골통(骨痛)의 병(病)은 어떻게 생(生)하는가?" 하였다.
기백(岐伯)이 이르기를 "이는 한기(寒氣)는 종(腫)하게 하니, 이는 팔풍(八風)의 변(變)이다." 하였다.
황제(黃帝)가 이르기를 "치(治)는 어떻게 하는가?" 하였다.
기백(岐伯)이 이르기를 "이는 사시(四時)의 병(病)이니, 승(勝)하는 것으로 치(治)하면 낫는다." 하였다.
궐론(<厥論>)에 이르기를 "소양(少陽)이 궐역(厥逆)하면 기관(機關)이 불리(不利)하니, 기관(機關)이 불리(不利)하면 요(腰)가 불행(不行)하고, 항(項)이 불고(不顧)하므로 장옹(腸癰)을 발(發)한다. 치(治)가 불가(不可)하고 경(驚)하면 사(死)한다." 하였다.
한열편(<寒熱篇>)에서 황제(黃帝)가 이르기를 "한열(寒熱) 나력(瘰癧)이 경(頸)과 액(腋)에 있을 때, 무슨 기(氣)가 그렇게 하는가?" 하였다.
기백(岐伯)이 이르기를 "이는 모두 서루(鼠瘻)이니, 한열(寒熱)의 독기(毒氣)가 맥(脈)에 유(留)하여 불거(不去)하는 것이다. 서루(鼠瘻)의 본(本)은 모두 장(臟)에 있고 그 말(末)은 상(上)으로 경(頸) 액(腋)의 사이로 출(出)한다. 맥(脈) 중에 부(浮)하여 내(內)로 기육(肌肉)에 착(著)하지 않고 외(外)로 농혈(膿血)이 된다면 쉽게 거(去)할 수 있다." 하였다.
황제(黃帝)가 이르기를 "거(去)는 어떻게 하는가?" 하였다.
기백(岐伯)이 이르기를 "본(本)에서 말(末)로 인(引)하면 쇠거(衰去)하면 그 한열(寒熱)을 절(絶)할 수 있다. 그 도(道)를 살펴서 안(按)하니, 서(徐)하게 왕(往)하고 서(徐)하게 래(來)하면서 거(去)한다. 소(小)하여 맥(麥)과 같으면 한 번 자(刺)하면 알게 되고, 세 번 자(刺)하면 낫게 된다." 하였다.
황제(黃帝)가 이르기를 "그 사생(死生)을 결(決)하는 것은 어떠한가?" 하였다.
기백(岐伯)이 이르기를 "목(目)을 뒤집어 보니, 그 중(中)에 적맥(赤脈)이 상하(上下)로 동자(瞳子)를 관(貫)할 때 일맥(一脈)이 보이면 1세(歲)에 사(死)하고, 일맥(一脈) 반(半)이 보이면 1세(歲) 반(半)에 사(死)하며, 이맥(二脈)이 보이면 2세(歲)에 사(死)하고, 이맥(二脈) 반(半)이 보이면 2세(歲) 반(半)에 사(死)하며, 삼맥(三脈)이 보이면 3세(歲)에 사(死)한다.
적맥(赤脈)이 보이더라도 동자(瞳子)를 하관(下貫)하지 않으면 치(治)할 수 있다. 한다.
통평허실론(<通評虛實論>)에 이르기를 "침석(針石)을 적게 하여야 한다는 것은 옹저(癰疽)를 말한 것이 아니다. 옹저(癰疽)에는 잠시(:傾時)라도 몸을 회(回: 곧 쉬다)하지 못한다." 하였다.
기교변대론(<氣交變大論>)에 이르기를 "세화(歲火)가 태과(太過)하면 민병(民病)으로 신열(身熱) 골통(骨痛)하면서 침음(浸淫)이 된다. 세금(歲金)이 태과(太過)하면 민병(民病)으로 량(兩) 협하(脇下)와 소복(少腹)이 통(痛)하고 목(目)이 적통(赤痛)하며 자양(眦瘍)하고 귀로 듣지 못한다.
세목(歲木)이 불급(不及)하여 복(復)하면 염서(炎暑)가 화(火)로 유(流)하고 습성(濕性)이 조(燥)하게 되어 한열(寒熱) 창양(瘡瘍) 비진(疿疹) 옹좌(癰痤)를 병(病)한다. 세금(歲金)이 불급(不及)하여 복(復)하면 한우(寒雨)가 폭지(暴至)하여 민병(民病)으로 구창(口瘡)한다. 세수(歲水)가 불급(不及)하면 민병(民病)으로 한양(寒瘍) 유수(流水)한다." 하였다.
오상정대론(<五常政大論>)에 이르기를 "위화(委和)의 기(紀)에는 그 병(病)이 지폐(支廢) 옹종(癰腫) 창양(瘡瘍)한다. 비감(卑監)의 기(紀)에는 그 동(動)이 양(瘍) 용(涌) 분궤(分潰) 옹종(癰腫)한다. 혁희(赫曦)의 기(紀)에는 그 병(病)이 소(笑) 학(瘧) 창양(瘡瘍)한다. 견성(堅成)의 기(紀)에는 그 동(動)이 폭절(暴折) 양주(瘍疰)한다.
소양(少陽)이 사천(司天)하면 화기(火氣)가 하림(下臨)하여 비질(鼻窒) 창양(瘡瘍)한다. 태양(太陽)이 사천(司天)하면 한기(寒氣)가 하림(下臨)하고 심(甚)하면 부종(胕腫)하고 신(身)에 후옹(後癰)한다. 소음(少陰)이 사천(司天)하면 열기(熱氣)가 하림(下臨)하니 심(甚)하면 창양(瘡瘍)한다.
지(地)에는 고하(高下)가 있고 기(氣)에는 온량(溫涼)이 있다. 고(高)하면 기(氣)가 한(寒)하고 하(下)하면 기(氣)가 열(熱)하다. 따라서 마침(:適) 한량(寒凉)하면 창(脹)하게 되고 온열(溫熱)하면 창(瘡)하게 된다. 하(下)하면 창(脹)이 낫고 한(汗)하면 창(瘡)이 낫는다."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