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회의 직분은 하나님께서 교회에 주신 귀한 제도로서 교회를 바르게 세우라고 주신 것이다. 그런데 많은 교회가 직분에 대한 정당한 이해가 부족하여, 직분을 신분의 서열로 생각하는가 하면, 직분을 남발하여 심지어 교인의 절반 이상이 집사인 교회도 있다. 이렇다 보니 직분자들 역시 자신의 직무에 대한 바른 이해가 없어 성경에서 가르치는 직분자의 구실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함이 오늘날 교회의 안타까운 현실이라 하겠다.
그래서 성약출판사에서는 교회 직분의 회복을 통해 단정한 예배가 드려지고, 교회가 진리의 기둥과 터로서 그 사명을 감당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며 『성경에서 가르치는 집사와 장로』를 한국, 캐나다, 호주 세 대륙의 개혁교회 목사들의 글을 묶어 출간하였다.
본서는 구약과 신약에서 가르치는 집사와 장로 직분의 원칙과 그 제도에 대하여 그리고 직분을 감당하는 구체적인 활동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특히, 한국 교회에서는 조금은 생소한 집사와 장로의 심방에 대한 성경적인 자세한 가르침은 직분자가 어떠한 마음으로 그 직분을 감당하여야 하는지를 잘 말해 준다. 또 각장의 말미에는 ‘생각할 문제’가 있어서 교회에서 직분자 및 예비 직분자의 지도서로도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바라기는 본서의 3부에서 말하는 것처럼 주께서 주신 직분을 성실하게 감당하는 자를 통하여 교회에 하나님의 말씀이 풍성하게 전파되어 “크도다, 경건의 비밀이여!”라는 찬송이 교회 안에 풍성하게 되고, 예배가 회복되기를 소망하면서, 주님의 착하고 충성된 종으로서 봉사하기를 원하는 교회의 직분자들에게 본서를 자신 있게 추천한다.
‘교회의 직분’은 ‘교회의 예배’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습니다. 말씀의 직분자인 목사가 없으면 교회의 예배가 성립할 수 없고, 배운 말씀을 마음에 간직하고 그대로 사는지를 감독하는 직분인 장로가 없으면 주님의 양무리가 고요하고 단정하게 살아가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자비의 봉사를 하는 집사의 직분이 없으면, 회중의 삶이 환하고 풍요롭게 피어나기가 어렵습니다.
-서문 중에서
우리에게 하나님 아버지를 나타내신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섬기는 분으로 이 세상에 오셨습니다. 주님께서는 자비하심을 보이셔서 배고픈 사람에게 먹을 것을 주시고 병든 사람을 고치시고 고난을 당하는 사람에게 자비를 베푸셨습니다. 그분의 교회도 그와 같이 행하도록 모범을 보여 주신 것입니다. 따라서 집사들이 감당하여야 할 자비의 사역은 우리 구주의 그러한 사랑에서부터 나와야 합니다. 주님의 모범을 따라서 그리스도의 교회는 처음부터 그들 가운데 어려운 사람이 없도록 주의하였고, 각 사람이 필요를 따라서 받도록 하였습니다.
-본문 중에서
1부 집사의 직분
1. 집사로 섬기는 일의 몇 가지 원칙
2. 구약에서 가르치는 집사의 직분
3. 신약에서 가르치는 집사의 직분
4. 자비의 봉사를 하는 집사
2부 장로의 직분
5. 장로에 대한구약의 교훈
6. 장로에 대한 신약의 교훈
7. 백성의 장로와 하나님의 장로
8. 하나님의 찾아오심과 장로의 심방
9. 장로의 심방에 대한 실제적인 지침들
3부 직분과 예배
10. 경건의 비밀과 믿음의 비밀
11. 신령한 찬송과 교회의 직분들
대학과 대학원에서 신학과 서양사를 공부하고
필라델피아에 있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1995-97, MAR)와
네덜란드 아펠도른 신학대학(Th. M. 현 박사 과정 중)에서 공부하였다.
대전 성은교회(독립개신교회)에서 목회하였고(1997-2010),
2010년 이후 독립개신교회 신학교에서 구약학과 교의학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강해』전 4권 (성약, 2009-10)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역사와 신학』(공저), 성약, 2006.
『오직 믿음으로: 루터의 믿음과 신학』(공저), 성약, 2011.
대학에서 고대 근동학을 전공하고 필라델피아에 있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1968-69)와 하밀톤에 소재한 캐나다 개혁교회 신학교(1969-1971)에서 공부하였고, 네덜란드 캄펀 신학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986).
캐나다 개혁교회에서 목회하였고(1971-81), 캐나다 개혁교회 신학교에서 구약학을 가르쳤다(1981-2011).
저서
The Urim and Thummim; Divorce and Remarriage; Fathers and Mothers at Home and at School; Perspectives on Worship; God and Government; The Elder (『성경에서 가르치는 장로』,성약, 2012)
대학에서 고전어와 고대 역사를 공부하고 필라델피아에 있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1968-69)와 하밀톤에 있는 캐나다 개혁교회 신학교(1969-1971)에서 공부하였고, 네덜란드 캄펀 신학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캐나다 개혁교회(1971-86)와 아마데일 호주 자유 개혁교회(1986-2011)에서 목회하였다,.
저서
The Charismatic Church; The Family in Relationship to School, Church and Society; Deacons Go Visiting; From House to House, The Way
교회의 직분은 하나님께서 교회에 주신 귀한 제도로서 교회를 바르게 세우라고 주신 것이다. 그런데 많은 교회가 직분에 대한 정당한 이해가 부족하여, 직분을 신분의 서열로 생각하는가 하면, 직분을 남발하여 심지어 교인의 절반 이상이 집사인 교회도 있다. 이렇다 보니 직분자들 역시 자신의 직무에 대한 바른 이해가 없어 성경에서 가르치는 직분자의 구실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함이 오늘날 교회의 안타까운 현실이라 하겠다.
그래서 성약출판사에서는 교회 직분의 회복을 통해 단정한 예배가 드려지고, 교회가 진리의 기둥과 터로서 그 사명을 감당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며 『성경에서 가르치는 집사와 장로』를 한국, 캐나다, 호주 세 대륙의 개혁교회 목사들의 글을 묶어 출간하였다.
본서는 구약과 신약에서 가르치는 집사와 장로 직분의 원칙과 그 제도에 대하여 그리고 직분을 감당하는 구체적인 활동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특히, 한국 교회에서는 조금은 생소한 집사와 장로의 심방에 대한 성경적인 자세한 가르침은 직분자가 어떠한 마음으로 그 직분을 감당하여야 하는지를 잘 말해 준다. 또 각장의 말미에는 ‘생각할 문제’가 있어서 교회에서 직분자 및 예비 직분자의 지도서로도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바라기는 본서의 3부에서 말하는 것처럼 주께서 주신 직분을 성실하게 감당하는 자를 통하여 교회에 하나님의 말씀이 풍성하게 전파되어 “크도다, 경건의 비밀이여!”라는 찬송이 교회 안에 풍성하게 되고, 예배가 회복되기를 소망하면서, 주님의 착하고 충성된 종으로서 봉사하기를 원하는 교회의 직분자들에게 본서를 자신 있게 추천한다.
‘교회의 직분’은 ‘교회의 예배’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습니다. 말씀의 직분자인 목사가 없으면 교회의 예배가 성립할 수 없고, 배운 말씀을 마음에 간직하고 그대로 사는지를 감독하는 직분인 장로가 없으면 주님의 양무리가 고요하고 단정하게 살아가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자비의 봉사를 하는 집사의 직분이 없으면, 회중의 삶이 환하고 풍요롭게 피어나기가 어렵습니다.
-서문 중에서
우리에게 하나님 아버지를 나타내신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섬기는 분으로 이 세상에 오셨습니다. 주님께서는 자비하심을 보이셔서 배고픈 사람에게 먹을 것을 주시고 병든 사람을 고치시고 고난을 당하는 사람에게 자비를 베푸셨습니다. 그분의 교회도 그와 같이 행하도록 모범을 보여 주신 것입니다. 따라서 집사들이 감당하여야 할 자비의 사역은 우리 구주의 그러한 사랑에서부터 나와야 합니다. 주님의 모범을 따라서 그리스도의 교회는 처음부터 그들 가운데 어려운 사람이 없도록 주의하였고, 각 사람이 필요를 따라서 받도록 하였습니다.
-본문 중에서
1부 집사의 직분
1. 집사로 섬기는 일의 몇 가지 원칙
2. 구약에서 가르치는 집사의 직분
3. 신약에서 가르치는 집사의 직분
4. 자비의 봉사를 하는 집사
2부 장로의 직분
5. 장로에 대한구약의 교훈
6. 장로에 대한 신약의 교훈
7. 백성의 장로와 하나님의 장로
8. 하나님의 찾아오심과 장로의 심방
9. 장로의 심방에 대한 실제적인 지침들
3부 직분과 예배
10. 경건의 비밀과 믿음의 비밀
11. 신령한 찬송과 교회의 직분들
대학과 대학원에서 신학과 서양사를 공부하고
필라델피아에 있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1995-97, MAR)와
네덜란드 아펠도른 신학대학(Th. M. 현 박사 과정 중)에서 공부하였다.
대전 성은교회(독립개신교회)에서 목회하였고(1997-2010),
2010년 이후 독립개신교회 신학교에서 구약학과 교의학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강해』전 4권 (성약, 2009-10)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역사와 신학』(공저), 성약, 2006.
『오직 믿음으로: 루터의 믿음과 신학』(공저), 성약, 2011.
대학에서 고대 근동학을 전공하고 필라델피아에 있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1968-69)와 하밀톤에 소재한 캐나다 개혁교회 신학교(1969-1971)에서 공부하였고, 네덜란드 캄펀 신학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986).
캐나다 개혁교회에서 목회하였고(1971-81), 캐나다 개혁교회 신학교에서 구약학을 가르쳤다(1981-2011).
저서
The Urim and Thummim; Divorce and Remarriage; Fathers and Mothers at Home and at School; Perspectives on Worship; God and Government; The Elder (『성경에서 가르치는 장로』,성약, 2012)
대학에서 고전어와 고대 역사를 공부하고 필라델피아에 있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1968-69)와 하밀톤에 있는 캐나다 개혁교회 신학교(1969-1971)에서 공부하였고, 네덜란드 캄펀 신학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캐나다 개혁교회(1971-86)와 아마데일 호주 자유 개혁교회(1986-2011)에서 목회하였다,.
저서
The Charismatic Church; The Family in Relationship to School, Church and Society; Deacons Go Visiting; From House to House, The Way
교회의 직분은 하나님께서 교회에 주신 귀한 제도로서 교회를 바르게 세우라고 주신 것이다. 그런데 많은 교회가 직분에 대한 정당한 이해가 부족하여, 직분을 신분의 서열로 생각하는가 하면, 직분을 남발하여 심지어 교인의 절반 이상이 집사인 교회도 있다. 이렇다 보니 직분자들 역시 자신의 직무에 대한 바른 이해가 없어 성경에서 가르치는 직분자의 구실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함이 오늘날 교회의 안타까운 현실이라 하겠다.
그래서 성약출판사에서는 교회 직분의 회복을 통해 단정한 예배가 드려지고, 교회가 진리의 기둥과 터로서 그 사명을 감당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며 『성경에서 가르치는 집사와 장로』를 한국, 캐나다, 호주 세 대륙의 개혁교회 목사들의 글을 묶어 출간하였다.
본서는 구약과 신약에서 가르치는 집사와 장로 직분의 원칙과 그 제도에 대하여 그리고 직분을 감당하는 구체적인 활동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특히, 한국 교회에서는 조금은 생소한 집사와 장로의 심방에 대한 성경적인 자세한 가르침은 직분자가 어떠한 마음으로 그 직분을 감당하여야 하는지를 잘 말해 준다. 또 각장의 말미에는 ‘생각할 문제’가 있어서 교회에서 직분자 및 예비 직분자의 지도서로도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바라기는 본서의 3부에서 말하는 것처럼 주께서 주신 직분을 성실하게 감당하는 자를 통하여 교회에 하나님의 말씀이 풍성하게 전파되어 “크도다, 경건의 비밀이여!”라는 찬송이 교회 안에 풍성하게 되고, 예배가 회복되기를 소망하면서, 주님의 착하고 충성된 종으로서 봉사하기를 원하는 교회의 직분자들에게 본서를 자신 있게 추천한다.
‘교회의 직분’은 ‘교회의 예배’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습니다. 말씀의 직분자인 목사가 없으면 교회의 예배가 성립할 수 없고, 배운 말씀을 마음에 간직하고 그대로 사는지를 감독하는 직분인 장로가 없으면 주님의 양무리가 고요하고 단정하게 살아가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자비의 봉사를 하는 집사의 직분이 없으면, 회중의 삶이 환하고 풍요롭게 피어나기가 어렵습니다.
-서문 중에서
우리에게 하나님 아버지를 나타내신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섬기는 분으로 이 세상에 오셨습니다. 주님께서는 자비하심을 보이셔서 배고픈 사람에게 먹을 것을 주시고 병든 사람을 고치시고 고난을 당하는 사람에게 자비를 베푸셨습니다. 그분의 교회도 그와 같이 행하도록 모범을 보여 주신 것입니다. 따라서 집사들이 감당하여야 할 자비의 사역은 우리 구주의 그러한 사랑에서부터 나와야 합니다. 주님의 모범을 따라서 그리스도의 교회는 처음부터 그들 가운데 어려운 사람이 없도록 주의하였고, 각 사람이 필요를 따라서 받도록 하였습니다.
-본문 중에서
1부 집사의 직분
1. 집사로 섬기는 일의 몇 가지 원칙
2. 구약에서 가르치는 집사의 직분
3. 신약에서 가르치는 집사의 직분
4. 자비의 봉사를 하는 집사
2부 장로의 직분
5. 장로에 대한구약의 교훈
6. 장로에 대한 신약의 교훈
7. 백성의 장로와 하나님의 장로
8. 하나님의 찾아오심과 장로의 심방
9. 장로의 심방에 대한 실제적인 지침들
3부 직분과 예배
10. 경건의 비밀과 믿음의 비밀
11. 신령한 찬송과 교회의 직분들
대학과 대학원에서 신학과 서양사를 공부하고
필라델피아에 있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1995-97, MAR)와
네덜란드 아펠도른 신학대학(Th. M. 현 박사 과정 중)에서 공부하였다.
대전 성은교회(독립개신교회)에서 목회하였고(1997-2010),
2010년 이후 독립개신교회 신학교에서 구약학과 교의학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강해』전 4권 (성약, 2009-10)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역사와 신학』(공저), 성약, 2006.
『오직 믿음으로: 루터의 믿음과 신학』(공저), 성약, 2011.
대학에서 고대 근동학을 전공하고 필라델피아에 있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1968-69)와 하밀톤에 소재한 캐나다 개혁교회 신학교(1969-1971)에서 공부하였고, 네덜란드 캄펀 신학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986).
캐나다 개혁교회에서 목회하였고(1971-81), 캐나다 개혁교회 신학교에서 구약학을 가르쳤다(1981-2011).
저서
The Urim and Thummim; Divorce and Remarriage; Fathers and Mothers at Home and at School; Perspectives on Worship; God and Government; The Elder (『성경에서 가르치는 장로』,성약, 2012)
대학에서 고전어와 고대 역사를 공부하고 필라델피아에 있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1968-69)와 하밀톤에 있는 캐나다 개혁교회 신학교(1969-1971)에서 공부하였고, 네덜란드 캄펀 신학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캐나다 개혁교회(1971-86)와 아마데일 호주 자유 개혁교회(1986-2011)에서 목회하였다,.
저서
The Charismatic Church; The Family in Relationship to School, Church and Society; Deacons Go Visiting; From House to House, The Way
교회의 직분은 하나님께서 교회에 주신 귀한 제도로서 교회를 바르게 세우라고 주신 것이다. 그런데 많은 교회가 직분에 대한 정당한 이해가 부족하여, 직분을 신분의 서열로 생각하는가 하면, 직분을 남발하여 심지어 교인의 절반 이상이 집사인 교회도 있다. 이렇다 보니 직분자들 역시 자신의 직무에 대한 바른 이해가 없어 성경에서 가르치는 직분자의 구실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함이 오늘날 교회의 안타까운 현실이라 하겠다.
그래서 성약출판사에서는 교회 직분의 회복을 통해 단정한 예배가 드려지고, 교회가 진리의 기둥과 터로서 그 사명을 감당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며 『성경에서 가르치는 집사와 장로』를 한국, 캐나다, 호주 세 대륙의 개혁교회 목사들의 글을 묶어 출간하였다.
본서는 구약과 신약에서 가르치는 집사와 장로 직분의 원칙과 그 제도에 대하여 그리고 직분을 감당하는 구체적인 활동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특히, 한국 교회에서는 조금은 생소한 집사와 장로의 심방에 대한 성경적인 자세한 가르침은 직분자가 어떠한 마음으로 그 직분을 감당하여야 하는지를 잘 말해 준다. 또 각장의 말미에는 ‘생각할 문제’가 있어서 교회에서 직분자 및 예비 직분자의 지도서로도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바라기는 본서의 3부에서 말하는 것처럼 주께서 주신 직분을 성실하게 감당하는 자를 통하여 교회에 하나님의 말씀이 풍성하게 전파되어 “크도다, 경건의 비밀이여!”라는 찬송이 교회 안에 풍성하게 되고, 예배가 회복되기를 소망하면서, 주님의 착하고 충성된 종으로서 봉사하기를 원하는 교회의 직분자들에게 본서를 자신 있게 추천한다.
‘교회의 직분’은 ‘교회의 예배’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습니다. 말씀의 직분자인 목사가 없으면 교회의 예배가 성립할 수 없고, 배운 말씀을 마음에 간직하고 그대로 사는지를 감독하는 직분인 장로가 없으면 주님의 양무리가 고요하고 단정하게 살아가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자비의 봉사를 하는 집사의 직분이 없으면, 회중의 삶이 환하고 풍요롭게 피어나기가 어렵습니다.
-서문 중에서
우리에게 하나님 아버지를 나타내신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섬기는 분으로 이 세상에 오셨습니다. 주님께서는 자비하심을 보이셔서 배고픈 사람에게 먹을 것을 주시고 병든 사람을 고치시고 고난을 당하는 사람에게 자비를 베푸셨습니다. 그분의 교회도 그와 같이 행하도록 모범을 보여 주신 것입니다. 따라서 집사들이 감당하여야 할 자비의 사역은 우리 구주의 그러한 사랑에서부터 나와야 합니다. 주님의 모범을 따라서 그리스도의 교회는 처음부터 그들 가운데 어려운 사람이 없도록 주의하였고, 각 사람이 필요를 따라서 받도록 하였습니다.
-본문 중에서
1부 집사의 직분
1. 집사로 섬기는 일의 몇 가지 원칙
2. 구약에서 가르치는 집사의 직분
3. 신약에서 가르치는 집사의 직분
4. 자비의 봉사를 하는 집사
2부 장로의 직분
5. 장로에 대한구약의 교훈
6. 장로에 대한 신약의 교훈
7. 백성의 장로와 하나님의 장로
8. 하나님의 찾아오심과 장로의 심방
9. 장로의 심방에 대한 실제적인 지침들
3부 직분과 예배
10. 경건의 비밀과 믿음의 비밀
11. 신령한 찬송과 교회의 직분들
대학과 대학원에서 신학과 서양사를 공부하고
필라델피아에 있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1995-97, MAR)와
네덜란드 아펠도른 신학대학(Th. M. 현 박사 과정 중)에서 공부하였다.
대전 성은교회(독립개신교회)에서 목회하였고(1997-2010),
2010년 이후 독립개신교회 신학교에서 구약학과 교의학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강해』전 4권 (성약, 2009-10)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역사와 신학』(공저), 성약, 2006.
『오직 믿음으로: 루터의 믿음과 신학』(공저), 성약, 2011.
대학에서 고대 근동학을 전공하고 필라델피아에 있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1968-69)와 하밀톤에 소재한 캐나다 개혁교회 신학교(1969-1971)에서 공부하였고, 네덜란드 캄펀 신학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986).
캐나다 개혁교회에서 목회하였고(1971-81), 캐나다 개혁교회 신학교에서 구약학을 가르쳤다(1981-2011).
저서
The Urim and Thummim; Divorce and Remarriage; Fathers and Mothers at Home and at School; Perspectives on Worship; God and Government; The Elder (『성경에서 가르치는 장로』,성약, 2012)
대학에서 고전어와 고대 역사를 공부하고 필라델피아에 있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1968-69)와 하밀톤에 있는 캐나다 개혁교회 신학교(1969-1971)에서 공부하였고, 네덜란드 캄펀 신학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캐나다 개혁교회(1971-86)와 아마데일 호주 자유 개혁교회(1986-2011)에서 목회하였다,.
저서
The Charismatic Church; The Family in Relationship to School, Church and Society; Deacons Go Visiting; From House to House, The Way
세종지역에서 주일예배를 드릴려면 매주 일요일 오전 11시, 오후 1시 30분에 오시면 됩니다.
좋은교회 홈페이지에 방문하시면 교회소개, 말씀 및 찬양, 다음 세대, 소식을 제공합니다.
좋은교회 주소 : 세종시 금남면 성덕영곡길 65
좋은교회 홈페이지 https://goodchurch.or.kr/
“행복의 시작은 하나님과 만남”입니다.
#좋은교회 #좋은교회세종 #세종에있는좋은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