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폴리머 재료, 제품을 둘러싼 사업 환경의 동향
2.1 자동차 관련 제품 분야의 동향
자동차 업계에서는 종래부터 CASE라고 불리는 자동차의 기술 변혁 전략(도4)를 진행해 왔는데, 그 중에서도 전동화(EV화)로의 대응이 급 피치로 진보하고 있다. 또한, 환경 대응, 자원 절약을 위한 부재 설계 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이것을 받아, 자동차용의 고문자 재료에도 연료 이송부품 → 전자 신호 통신부품으로의 이동이나, 적재 전지 중량 증가에 대응할 수 있는 타이어나 내외 부품의 재설계에 적합할 수 있는 물성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자동차의 미래는 크게 변한다 ~ 자동차 신 시대의 도래 ① ● 연결, 자동화, 이활용(利活用), 전동화(이른바 CASE) ● 일본이 계속 이끄는 세계의 invention을 리드 가능하도록, 다가오는 구조 변화를 먼저 취하는 전력을 관민에 공유하고 경쟁력을 높여갈 필요가 있다.
|
도4 자동차 시장에 있어서 개발 방향의 변화
* 이활용(利活用): 어떤 자원이나 사물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 자원이나 사물의 가능성을 찾아 그것을 유효하게 사용하는 행위. 이는 경제적, 사회적 관점에서 봐도 유익한 행위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기업에서는 인재의 스킬이나 경험을 최대한으로 활용함으로써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 또, 개인의 생활에서도, 자신이 가지는 능력이나 지식을 이용, 활용함으로써, 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2.2 전자부품, 가전기기 부품 분야의 동량
정보, 통신 량의 증대에 수반하여 5G 통신시대(도5)로의 대응으로, 고속, 대용량의 정보의 전송과 수신이 요구되고, 기지국이나 각종 단말에 있어서 반도체 특성의 향상, 전기 특성이 좋은 고주파 대응의 프린트 배선판 개발, 기판재료의 낮은 전송 손실화를 목표로, 수지 재료 제조사 등의 간에, 수지 종을 넘는 개발 경장이 전개되고 있다.
또한, 가전제품의 리사이클법규의 시행 이래, 가전 재생품화 비율의 향상(표7)과 함께, 가전 제조사가 재료 리사이클 기술 발전에 주력하고 있고, 수지 제조사 측의 관련 기술의 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표7 가전 리사이클법에 기초한 가전기기의 재상품화 비율
| 2020년 | 2021년 | 2022년 |
에어컨 | 92% | 92% | 93% |
브라운관식 TV | 72% | 72% | 72% |
액정, plasma식 TV | 85% | 85% | 86% |
냉장고, 냉동고 | 81% | 80% | 80% |
세탁기, 의류 건조기 | 92% | 92% | 92% |
2.3 광학제품 분야의 동향
스마트폰, 터치 패널 등의 광학 표시 기구의 보급에 수반하여, 광학 필름이나 렌즈 등의 초자 재료부터 플라스틱 재료로 치환이 전개되어 왔는데, 투명성, 광학적 등방성(等方性, 물질의 성질에 방향성이 없을 것. 물질의 성질을 정의하는 좌표계의 회전 변환이나 거울상 변환에 대해서 물질의 성질이 변화하지 않는 것에 대응한다.) 등의 광학성만에 그치지 않고, 내구성, 내열성 등 일반 소비자의 사용에 견딜 수 있는 재료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2.4 건강, 의료 제품 분야의 동향
2019~2021년에 있었던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방지 관련한 신제품 개발이 종식하였고, 생활의 쾌적성이나 의료의 IT화에 대응하는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