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 분 |
스피루리나 |
클 로 렐 라 |
대 두 (콩) |
단 백 질 |
69.5~71% |
40~56% |
39% |
당질(탄수화물) |
12.5% |
10~25% |
36% |
지 방 |
8% |
10~30% |
19% |
비 타 민 |
프로비타민 A, B1, B2, B6, B12, E, 판토텐산(비타민B복합체) |
프로비타민 A, B1, B2, B6, 니코틴산 |
B1, B2, B6 |
엽 록 소 |
엽록소, 카로티노이드 |
카로티노이드 |
|
4. 연구사례
사례1 : 일본 카가와 영양대학 카오하 토시미쓰와 하야시 오사무 교수는 식용 스피루리나가 인간과 동물의 면역기능에 있어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킨다고 주장했다. 쥐의 무게대비 10~20% 스피루리나가 포함된 사료를 7주간 먹였을 경우 적혈구에 대한 일차 면역 반응에서 지라에서 항체를 생성하는 세포의 수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또 상업용 스피루리나를 건강식품 타블렛으로 복용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스피루리나가 침속의 면역글로부린 A항체수준을 증가시켜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사례2 : 원광대학교 한약학과 김형민 교수는 스피루리나가 비만세포로 인해 유발되는 알러지 반응 억제 효과가 뛰어나다고 발표했다. 김교수는 국소성 즉각형 알러지 반응을 유도한 생쥐의 생존률 실험에서 생리식염수나 스피루리나만(1000mg/kg)을 투여한 군에서는 생존률이 100%였으나 스피루리나의 용량 감소율에서 치사율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김교수는 이 실험결과가 스피루리나의 투여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즉각형 알레르기 반응이 조절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스피루리나가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이 방출되는 것을 억제해 알러지 유발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사례3 : 고려대학교 생명공학원 박영인 교수는 스피루리나로부터 항알러지 물질을 분리 정제해 인간과 매우 유사한 표피를 가진 해명 동물에 대한 실험결과 알러지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확인됐으며 이 물질은 4℃ 정도에서 상당히 안정한 상태를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사례4 : 일본 도야마 의약대학 사이키 이쿠오 교수는 녹조류에서 추출된 새로운 황산염 다당분자인 칼슘 Ca-SP (Calcium spirulan)가 암전이 활성을 억제한다고 밝혔다. 사이키 이쿠오 교수는 황산화염 다당 분자인 Ca -SP는 흑색종 세포의 폐전이를 완화하는데 이는 Ca -SP가 암세포의 라미닌 기질 흡착 혹은 이동을 막고 heparanase(항응혈 촉진효소)의 활성을 억제해 암세포가 기저막 침투를 방지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사이키 이쿠오 교수는 heparanase의 활성을 강력하게 저해하는 Ca -SP는 암세포 침투와 전이를 억제하는 개선된 치료법을 제공하는 또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사례5 : 지구스피루리나사의 암하 베레이씨는 질병의 예방과 증상완화를 위한 영양공급원 및 치료제로 스피루리나와 그 추출물의 효과는 잠재적인 가치가 많다고 설명했다. 암하 베레이씨는 스피루리나의 추출물에 대한 여러 연구논문에서 스피루리나를 항산화제로 이용할 경우 추출물인 피코시아닌(정제되지 않은 15% 정도의 농도)은 상당량의 카로티노이드 혼합물 보다 비교적 높은 SOD를 포함한다는 사실에 주목할만하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