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Mapper로 수치지형도를 사용한 고 해상도 dem을 만들어 OruxMaps에 사용하기
여기에 게시하면 됩니까?
등고선 간격을 살펴보면 1:1,000이 1m, 1:2,500이 2.5m, 1:5,000이 5m, 1:25,000이 10m 입니다
1:5,000 수치지형도를 이용하면 5m dem을 만들 수 있고, 1:25,000 수치지형도를 이용하면 10m dem을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수치지형도에 수치지형도와 같은 좌표계의 prj를 만들어 같은 폴더에 넣습니다. (좌표계.prj 파일을 수치지형도 파일명과 같은 이름으로 복사하면 됩니다.-저는 ren.bat라는 배치파일을 만들어서 사용했습니다.)
동부, 중부, 서부의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좌표계 모음.zip
참고) 도엽 번호에 따른 원점 구분 방법
? 서부 원점: 도엽 번호의 3번째 숫자가 5일 경우
? 중부 원점: 도엽 번호의 3번째 숫자가 6 또는 7일 경우
? 동부 원점: 도엽 번호의 3번째 숫자가 8 또는 9일 경우
? 동해 원점: 도엽 번호의 3번째 숫자가 0 또는 1일 경우(울릉과 독도만 동해 원점이네요 ^^*)
이 좌표를 이용하여 dem 파일명을 명명할 때 사용합니다.
Ex)
N34E125.dem
N34E126.dem
N34E127.dem
N34E128.dem …..
원점 개념도

ren.bat 파일을 만드는 방법
우선 수치지형도 파일을 다음과 같이 분류합니다.

그 다음 명령 프롬프트를 이용하여 .prj 파일을 생성하고자 하는 폴더로 이동합니다.
그 다음 dir/w > ren.bat로 파일을 만들고 수정합니다.

이때 3번째 자리수가 6이므로 중부 원점 입니다. 따라서 같은 폴더에 중부.prj라는 파일을 복사해 둡니다.


이렇게 수정하고 저장한 다음에 ren.bat를 실행하면 dxf와 같은 이름의 prj 파일이 생성 됩니다.

이렇게 되면 Global Mapper에서 바로 읽으면 수치 지도를 에러없이 읽을 수 있습니다.
10m(5m) dem 만들기
01. Global Mapper를 실행 합니다.
02. 수치지형도를 읽어 옵니다.
03. Overlay Control Center창을 엽니다.
04. 수치지형도 레이어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릅니다.

05. Layer > SPLIT - Split Into Separate Layers on Attribute...을 선택합니다.{레이어 분리}

06. <Feature Description> 을 선택하고 [OK]버튼을 누릅니다.

이렇게 하면 레이어가 분리됩니다.
07. Control Center의 Current Workspace를 모두 체크 해제합니다.
08. 수치지형도 파일명.dxf - Fxxxxxxx[XX Feature] 에서 다음 4개 사항을 다시 체크 합니다.
※ 이유: 5[2011-320]수치치도_지형지물코드_유재준.HWP의 18쪽 참조
5[2011-320]수치치도_지형지물코드_유재준.zip
F0017111 (볼록지)주곡선,
F0017114 (볼록지)계곡선,
F0017121 (오목지)주곡선,
F0017124 (오목지)계곡선,
http://cafe.daum.net/gpsnmap/j13h/1
『국토정보지리원 수치지도 지형, 지물 코드분류표』 카페의 일반 자료실에서 다운이 가능하다고 합니다만, 저는 아직 자격이 ㅎㅎ 그러나 내용은 비슷하다고 생각 합니다.
09. Configure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10. Analysis > Create Elevation Grid from Vector/Lidar Data... 를 실행합니다.


11. Grid Options의 Description에 적절한 dem 파일명을 넣어준 다음 옵션 항목을 체크 한 다음 [OK]버튼을 눌러주면 dem이 생성됩니다.

여기에서 Manually Specify…… 를 설정하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30m dem 0.0002778 arc degrees(=1/3600) 기준
10m dem 0.0000926 arc degrees(=0.0002778/3)
5m dem 0.0000463 arc degrees(=0.0000926/2) 으로 설정합니다.
12. dem이 생성되면 수치지형도 레이어를 제거합니다.

13. File > Export로 내보내고자 하는 형식을 Float/Grid File로 dem을 저장합니다.



이렇게 저장하면 다음과 같이 3가지 파일이 생성됩니다.

여기에서 N37E130.flt를 새로운 Global Mapper에서 읽어 들입니다.


http://cafe.daum.net/gpsnmap/dk4P/3 참조
위의 내용을 참조하여 N37E130.hdr의 헤드 파일을 만듭니다.

새로 만든 헤드 파일은 『OruxMaps용 hdr』 폴더에 따로 저장합니다.
hdr 과 prj 파일은 Global Mapper에서 읽을 때 필요하므로 『Global Mapper용 hdr』 폴더에 따로 저장해 둡니다.
OruxMaps용 dem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확장자 .flt를 확장자 .dem으로 변경하여 위에서 만든 『OruxMaps용 hdr』폴더로 이동하여, OruxMaps\dem\ 폴더에 복사하여 사용 합니다
Global Mapper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확장자 .dem 파일을 확장자 .flt로 변경하고 .flt 파일을 『OruxMaps용 hdr』로 이동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여기까지가 저가 알고 있는 dem 만들기의 전부 입니다. 혹시 잘못된 사항이나, 더 간단히 5m dem이나 10m dem을 만드는 방법이 있으면, 고수 여러분의 가르침을 부탁 드립니다.
ㅎㅎ 5m dem을 만들려면 상당한 시간과 노력(약 15,000~16,000파일)이 필요 할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 년말까지 가능 할지~~~ 우선 10m dem을 먼저 만든 다음 5m dem에 도전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첫댓글 등고선만으로 하시기 보단 전국 표고점(액 430만개)과 전국기준점(약 3만개)의 표고자료도 포함시키시는 게 정도면에서 훨씬 낫습니다. 해당 자료는 오픈마켓에 연속수치지형도에 무료로 shp 형식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물론 오타가 있으니 수정하셔서 사용하셔야 합니다.
오픈마켓???
국토지리정보원을 말하는것인가요?
@싼초
@산타바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