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만 알면
사주를 배우고 풀 수 있다.”
(한사수)
보운 현명환
010-2384-5889
역학사의 초급단계
1-초능력의 삼대원리 (무극.유극.태극)
1-1, 무극이론이란 무엇인가!
봄에 A라는 잡초가 생겨났다가 가을이 되면 말라서 사라졌다가, 다시 봄이 되면 A라는 잡초가 생겨나고 가을이 되면 사라지고, 하는 일들을 반복하는 것을 가리켜 무극이라 한다.
A라는 잡초가 이러한 일들을 하는 것이 끝이 없기 때문에 무극이라 한다.
무극을 표현한 그림
◯
1-2, 유극이란 무엇인가!
봄에 생겨난 잡초가 가을이 되어 말라 죽어 사라지면, 다시는 봄이 되어도 생겨나는 일이 없다는 이론이다.
다시 말해 A라는 잡초가 봄에 생겨났다가 가을이 되어 말라 죽어 없어질 경우, 다시 봄이 와도 A라는 잡초는 영원히 다시 생겨난 일이 없고, 만약 잡초가 생겨나도 그 잡초는 B라고 하는 이론이 유극이다.
유극을 표현한 그림
●
1-3, 태극이란 무엇인가!
봄에 생겨난 잡초를 A라 가정하고, 이 A잡초가 가을에 말라 죽고 다시 봄이 되어 생겨난 잡초를 B라고 가정할 경우, 이 B잡초는 A가 낳은 것이라는 가설이다.
이렇게 생겨나고 죽고 하는 것이 반복하면서 A잡초는 B잡초를 낳고, B잡초는 C잡초를 낳고, C잡초는 D잡초를 낳고 하는 것이 끝이 없이 이어지는 것을 태극이라 한다.
태극을 표현한 그림
☯
2-세상을 움직이는 비밀 (음양)
2-1, 음양이란! 모든 존재는 상대적인 관계에서 존재한다는 이론이다.
즉 태양과 달이 있고, 남자와 여자가 있고, 낮과 밤이 있고, 어둠과 밝음이 있고, 선과 악이 있고, 태어남과 죽음이 있고, 부자와 가난이 있고, 작은 것과 큰 것이 있고, 짧은 것과 긴 것이 있다. 등의 이론이 음양론이다.
2-2, 이 음양론은 공간과 시간의 테두리 안에서 정해진 것이기 때문에, 만약 공간과 시간으로부터 자유롭다고 가정하면, 음양의 상대적인 이론이 성립이 되지 못한다.
2-3, 현상계는 그 어떤 것이든 음양의 이론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즉 공간과 시간이라는 측면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는 것이다.
만약 공간과 시간이라는 측면에서 벗어나려면 처음부터 태어나거나 생겨나지 않으면 된다.
이 우주는 공간과 시간이라는 이론 안에서 생겨난 것이기 때문에, 그 어떤 것도 공간과 시간이라는 영역 안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즉 생겨난 것은 공간이라는 한계에 부딪치고, 시간이라는 한계에서 부딪치게 마련이다.
음양을 표현한 그림-1
◉
음양을 표현한 그림-2
◈
음양을 표현한 그림-3
◎
음양을 표현한 그림-4
A B
◐ ◑
음양을 표현한 그림-5
A B
◒ ◓
음양을 표현한 그림-6
A B
◔ ◕
음양을 표현한 그림-7
A B
◖ ◗
음양을 표현한 그림-8
◘
음양을 표현한 그림-9
◙
음양을 표현한 그림-10
A B
◚ ◛
음양을 표현한 그림-11
A B
◢ ◣
음양을 표현한 그림-12
A B
◤ ◥
음양을 표현한 그림-13
A B
◧ ◨
음양을 표현한 그림-14
A B
◩ ◪
음양을 표현한 그림-15
◫
음양을 표현한 그림-16
A B
◭ ◮
음양을 표현한 그림-17
▣
음양을 표현한 그림-18
A B C D
◰ ◱ ◲ ◳
음양을 표현한 그림-19
A B C D
◴ ◵ ◶ ◷
음양을 표현한 그림-20
A B
◸ ◹
음양을 표현한 그림-21
A B
◺ ◿
음양을 표현한 그림-22
A B
◼ ◻
음양을 표현한 그림-23
A B
▴ △
음양을 표현한 그림-24
A B
▲ ▽
음양을 표현한 그림-25
A B
▶▸
음양을 표현한 그림-26
A B
▼ ▽
음양을 표현한 문자도표
-양- | -음- |
해 | 달 |
흰색 | 검정색 |
태어남 | 죽음 |
젊음 | 늙음 |
선 | 악 |
길 | 흉 |
길다. | 짧다. |
남자 | 여자 |
강함 | 약함 |
단단함 | 부드러움 |
낮 | 밤 |
오전 | 오후 |
선 | 후 |
앞면 | 뒷면 |
위 | 아래 |
좌 | 우 |
자 | 웅 |
드러냄 | 숨김 |
어머니 | 아들 |
주다 | 받다 |
시끄러움 | 조용함 |
움직임 | 고요함 |
하늘 | 땅 |
홀수 | 짝수 |
동 | 서 |
남 | 북 |
시작 | 끝남 |
나옴 | 들어감 |
안전 | 불안 |
3-우주를 이루는 다섯 가지의 원리 (오행)
3-1,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
지구에 모든 물질과 생명체와 우주를 이루는 모든 물질과 별의 물질 등은 모두 오행의 범위 안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1, 목(木)은 나무의 성질과 기운으로 이루어져있다.
2, 화(火)는 불의 성질과 기운으로 이루어져있다.
3, 토(土)는 흙의 성질과 기운으로 이루어져있다.
4, 금(金)은 금속의 성질과 기운으로 이루어져있다.
5, 수(水)는 물의 성질과 기운으로 이루어져있다.
3-2, 이 오행은 우주만물을 구성하는 근본물질로써, 우주의 만물은 어떤 것은 오행 중에 한 개지만으로 이루진 것이 있으니, 나무와 불과 흙과 금속과 물이고, 오행 중에 여러 개가 합쳐져 이루어진 것이 있으니, 사람이다. 사람의 신경은 목에 속하고, 체온은 화에 속하고, 근육은 토에 속하고, 뼈는 금에 속하고 피는 수에 속한다.
3-3, 오행의 성질과 기운을 나타낸 도표
오행 | 목(木)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성질 기운 | 나무를 가리키며, 불에 타면 재만 남는 성질을 가리킴 | 불을 가리키며, 태우는 성질을 가리킨다. | 흙을 가리키며, 불에 태어도 타지 않고 변형이 되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 금속을 가리키며, 불에 태우면 변형이 된다. | 물을 가리키며, 태우면 사라지는 것을 가리킨다. |
3-4, 오행은 동양문화에서 가장 위대한 발견 중에 하나이다.
그것은 어떤 물질이든 오행으로 분석이 되지 않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한의학과 중의학에서도 오행의 이론을 가지고, 사람의 인체에 접목하여 의학을 발달시켰다.
오행의 발견과 동시에 동양의 문화는 석기시대에서 단박에 청동시대를 거치고 철기시대에 이르게 되었다.
또 농경문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계절의 발견인데, 이 역시 오행의 발견과 동시에 농경문화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따라서 역학을 배운다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 인류사에서 가장 오랜 된 학문을 배운다는 것이다.
오행은 자연에서 발견이 된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 과학의 발달에 따라 더욱 발전이 되는 이론임에 틀림이 없다.
또 자연에서 발견이 된 이론이기 때문에, 어떠한 학문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예술을 하든, 언어를 하든, 건축을 하든, 사상을 배우든 어떠한 학문과 접목이 되기 때문에, 오행을 배운다는 것은 다른 각도에서 자신이 배우고 닦는 학문에 이익을 되리라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