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론 학습을 시작하며
노동전선 실천 세미나
2024년 7월 김태균 팀장
마르크스·엥겔스와《자본론》
마르크스는 마르크스주의를 엥겔스(1820.11.28.~1895.08.15.)와 함께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인물임. 마르크스는 엥겔스와 함께 자연과 사회에 대한 철학 이론(변증법적 유물론, 사적 유물론)을 체계화함과 동시에 자본주의 운동 방식과 문제점을 규명하는 정치경제학 이론 그리고 사회주의 사회의 건설 방법 등 과학적 사회주의 이론을 체계화하였고, 이를 구체화하는 실천적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한 활동가이자 혁명가임.
노동자 계급의 천재적인 과학자이자 혁명가이며 과학적 사회주의의 창시자. 엥겔스와 함께 그는 그의 이름을 딴 마르크스주의 철학, 즉 변증법적 유물론과 역사적 유물론을 창조했으며, 노동자 계급의 정치경제학과 과학적 공산주의를 확립했다. 그의 철학은 인류의 철학 사상과 사회 이론적 사상에서 하나의 혁명을 이룩했다. 마르크스는 독일 노동 운동과 국제 노동 운동의 교사이자 지도자가 되었으며, 한 세대 전체에 걸쳐서 프롤레타리아 혁명가들을 교육했다.
마르크스는 1818년 5월 5일 독일의 트리에서 태어남. 원래 유대교 집안이었는데 유대교 탄압을 피하고자 하인리히 마르크스(부)가 개신교로 개종함. 하인리히 마르크스는 변호사였고 계몽주의자이며 자유주의자였음. 마르크스는 트리에의 김나지움에서 고전 문학 및 계몽주의를 공부했으며 1835년 본 대학(법학)에 입학함. 1836년 마르크스는 본 대학에서 베를린 대학(법학부)으로 옮기면서 헤겔학파 중심의 철학에 관심을 가짐. 1841년 예나 대학 철학부에서《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의 자연 철학의 차이》로 박사 학위를 받음.
1841년 트리에로 돌아온 마르크스는 정치신문인「라인 신문」에 몰두하였고 1842년에 편집장이 됨. 이후『라인 신문』은 1843년 프로이센 정부에 의해 폐간됨. 1844년 루게와 함께 발행한 『독불연보』에《유대인 문제에 대하여》,《헤겔 법철학 비판 서설》 기고. 1844년 애덤 스미스와 리카르도를 비판하는《경제학 철학 수고》를 집필하고 1932년에 출판. 《경제학 철학 수고》는 비록 헤겔 철학의 영향이 남아 있지만, 마르크스주의의 인간론과 소외론과 관련한 중요한 내용과 유적 존재로서의 인간론이 담겨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