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반(小盤
친정어머니 유품을 정리하러 형제들이 모였다. 가리비처럼 꽉 다문 친정집 현관문을 여니 부유물처럼 흩어졌던 먼지들이 일제히 고개를 든다. 무릎을 가지런히 접어 양반다리를 하고 있던 소반도 번쩍 귀를 세운다. 그도 그럴 것이, 태어나면서부터 사람 손에서 놀던 소반이라 사람의 인기척을 가장 먼저 알아챘으리라.
어머니는 다시 돌아오실 거라고 믿으셨던 걸까. 급하게 병원으로 떠나던 날 흔적이 거실에 그대로 남아있다. 모든 것이 예전 그대로인데 안주인만 없다. 형제들과 분담해 부엌살림을 정리하는데 아까부터 눈에서 떨어지지 않는 것이 있다. 들어오면서부터 눈에 걸렸던 두리반이다.
명절 때 친정에 오면 큰 교자상 두 개를 펴도 자리가 부족해 아이들 밥은 두리반과 소반에 따로 차려야 했다. 아직도 몇 년은 거뜬히 쓸 수 있을 것 같은 두리반은 학창 시절에 책상으로 쓰던 상(床)이다. 공부를 하다 밥때가 되면 밥상으로 변신하고 교회에서 목사님이 신방을 오시면 성경책을 올려놓고 예배를 보기도 했다.
자식들 밥 먹이는 것을 최고의 즐거움으로 여기던 친정어머니는 유독 밥상에 애착했다. 철들 무렵 귀에 딱지가 앉을 만큼 많이 들은 말도 상(床) 없이 바닥에서 밥 먹지 말라는 거였다. 어머니는 밥상 없이 살면 평생 궁색스러움에서 벗어나지 못한다고 하셨다.
어머니가 잔소리처럼 매번 밥상을 입에 올리는 데는 다 이유가 있었다. 어머니한테 자매처럼 가깝게 지내는 육촌 동서가 있었다. 어릴 때 아주머니라고 불렀는데 단칸방인 그녀의 집에 가면 아랫목에 널브러진 이불밖에 보이지 않았다. 장롱 하나 없는 방구석은 비키니 옷장이 독차지하고 부엌에는 밥상으로 쓸만한 개다리소반 한 개가 없었다. 누른 국수를 잘 만드는 아주머니가 국수를 삶는 날이면 우리 식구도 같이 먹었는데 그때마다 방바닥에 솥단지를 올려놓고 먹었던 것 같다. 보다 못한 친정어머니가 육각 소반을 마련해주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매한가지로 방바닥에 구부리고 앉아 밥을 먹었다.
변변한 직장 없이 날품 팔아서 먹고사는 삼촌 탓도 있었겠지만, 어머니는 여자가 게으르고 생활력이 없어 그렇게 사는 것이라며. 상다리를 꺾어 앉힌듯한 바닥에 밥그릇을 놓으면 자식들 무릎이 접혀 앞날이 펴지지 않는다고 하셨다. 그래서일까. 삼촌네는 초라한 세간붙이만 남겨 둔 채 야반에 마을을 뜨고 말았다.
가끔 고택을 여행하다 소반을 보면 자연스럽게 친정어머니의 얼굴이 떠올랐다. 중년의 여인상을 의미하는 소반과 어머니의 인생이 겹쳐졌기 때문이리라. 여인의 뒤태를 연상하게 하는 둥근 소반은 삼시 세끼 더운밥을 차려내야만 하는 어머니의 고된 운명마저도 꼭 닮았다.
소반은 어느 집에서나 볼 수 있는 흔한 물건이지만, 어머니의 마음처럼 어느 것 하나 건성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없다. 여인들의 신체구조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소반은 들어 옮기기 편하게 사람의 어깨너비에 맞춘다. 소반 다리에 구멍을 내 멋진 운각을 새기는 것도 상의 힘을 분산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아마도 부엌과 안방이 떨어져 있는 옛날 한옥 구조도 소반 제작에 한 몫하지 않았을까 싶다.
소반은 음식을 놓는 물건이라 음식물이 묻어도 좀이 쓸지 않도록 옻칠을 한다. 친정아버지도 두리반 테두리가 낡고 색이 벗겨지면 수시로 옻칠을 했었다. 식구들의 건강을 염려하는 어머니의 마음을 담아 옻칠을 하고. 상의 무게를 줄여 어머니들의 고단함을 줄여주려고 가벼운 은행나무를 선택한 것만 봐도 우리 조상들이 얼마나 지혜로운가.
결혼할 때 어머니가 마련해주신 교자상 말고도 육각 소반과 살짝 휜 상다리가 마치 개의 뒷다리처럼 앙증맞은 개다리소반 한 개를 더 준비했다. 차남이지만 장남 역할을 해야만 하는 남편의 무게감 때문이었다.
철철이 시댁의 경사를 챙겨야 하는 우리 집은 신혼 때부터 손님이 많았다. 수시로 모여 복닥거리는 시댁 식구들 때문에 세 개나 되는 상(床)에 물 마를 날이 없었다. 덕분에 나는 시부모님으로부터 세상에서 가장 부지런하고 장한 며느리라는 별명을 얻었다. 하나, 내 자존감을 높여주며 집안을 화기애애하게 만들던 상(床)이 언젠가부터 자취를 감추었다.
양가 부모님이 돌아가시면서 두리반까지 다 내다 버렸기 때문이다. 가족을 이어주던 매개체가 없으니 더는 그 큰 상에 둘러앉을 일이 없을 것 같아서였는데 요즘은 식탁이 비좁아 더러 후회하는 날도 있다.
어머니는 매일 차리는 밥상이 싫증 나지는 않으셨을까. 대충 정리한 그릇들을 매동그리다가 어머니의 숨결이 느껴지는 두리반을 만져본다. 어머니 옆에서 숱한 날들을 보내며 만들어진 손 무늬와 나이테가 잘려 생긴 목리(木理)까지. 세월이 매만지며 늙어가는 것들은 수더분하다. 두리반에서 멸치 넣은 된장찌개가 먹기 싫다고 성내던 남동생의 밥투정과 한 숟가락이라도 더 먹이려는 어머니의 지청구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돌이켜보니, 어머니의 소반은 가족을 위해 음식을 올리는 어머니의 성소이자 기도처였지 싶다. 어머니가 해준 밥을 먹으면 무탈했던 것처럼 소반에는 둥근 모양만큼 자식들이 모나지 않게 세상길과 잘 어울리며 살라는 어머니의 바람도 깃들어 있었다.
새벽마다 곤히 잠든 부엌의 선잠을 깨우며 두리반 가득 자식들의 음식을 채우던 어머니. 밥은 만든 사람의 마음을 먹는 일이니, 인생의 고비마다 그 밥상이 얼마나 든든하고 힘이 됐던가. 어떤 방식으로든 이별을 향해 달려가는 눈바람 속에서도 어머니의 밥상은 늘 온기가 있었다.
감히 생각해보건대. 30년이 넘는 결혼 생활 동안 나를 위해 격식 있게 차려 본 밥상이 기억에 없다. 혼자 먹는 밥도 꼭 상에 차려서 먹으라고 하시던 어머니의 말씀을 왜 유념하지 않았던지. 잘 차려진 밥상으로 지친 마음을 위로하면 다시 일어날 힘이 생긴다고 하시던 어머니의 목소리가 들리는 듯해 유품 정리를 하면서도 또 목이 멘다.
한동안 손길이 닿지 않았다고 툴툴거리는 소반을 한 번 쓸어내리고 일어서는데 어머니와 늘 함께하던 부엌이 자꾸 말을 걸어온다. 밥상 위 밑반찬처럼 기본으로 깔리는 귀에 익은 소리“푹푹 떠서 든든하게 먹어라”라는 어머니 목소리가 귀울음처럼 나를 울린다.
왜 아니겠는가. 한 여자의 서사가 시작되던 기막힌 자리. 평생 밥상만 차리던 어머니 인생 서사의 가장 큰 줄기를 담당하던 공간이었으니 부엌에 서면 어머니가 더 그립고 소반을 보면 목이 멘다. 평생 자식 입에 밥 들어가는 것을 낙으로 여기신 어머니가 너무 보고 싶다.
수필가 박종희
작가 Profile
2000년 월간문학세계로 등단. 한국산문작가협회 자문위원, 충북작가 사무처장
시흥문학상, 매월당 문학상, 경북문학대전, 김포문학상, 성호문학상 등 다수
2019 아르코문학나눔 우수도서 선정, 2024 아르코문학창작기금 선정
저서: 수필집 『가리개』 『출가』
이메일: essay022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