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바위가 달린다. 말바위를 지난다.
▲권균묘: 1998년 2월 이천시 향토유적 제16호로 지정되었다. 산내리 마국산(馬國山, 마옥산) 동쪽 기슭에 위치한 안동 권씨 합동묘역 하단에 2명의 부인 정경부인 안씨(安氏), 김씨(金氏)의 묘와 함께 3기의 봉분이 나란히 자리 잡고 있는데 가운데가 권균(1464~1526)의 묘이다. 봉분은 모두 원형이며 묘역에 상석, 향로석, 혼유석, 망두석 2기, 문인석2기, 장명등, 묘표 2기 등 여러 석물이 배치되어 있다. 묘표는 하나의 화강암으로 제작하였으며 높이는 150cm 정도이다. 상부에 둥근 모양의 이수(螭首)를, 전면 중앙에는 만월을, 뒷면 중앙에는 초승달을 조각하였다. 묘역 입구의 신도비는 1529년(중종 23)에 건립한 것으로 귀부와 이수가 섬세하게 조각된 훌륭한 작품이다. 이곳의 석물은 모두 조선시대 전기의 석물 양식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권균(權鈞), 1464~1526)은 동부승지, 도승지 겸 응방제조, 공조판서, 형조판서, 좌찬성, 판의금부사 등을 거쳐 우의정에 올랐으며 영창부원군에 봉해졌다.[네이버백과]
▲259.5m봉(산내봉) 우측으로 돌아 내려간다.
▲우측으로 벌목지와 이천시 모가면 두미리 방향: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두미리는 평야지대에 자리하고 있다. 자연마을로는 시밋골, 건너말, 미륵댕이 등이 있다. 시밋골은 시무골, 시미동이라고도 하며 에전에 효자가 시묘살이를 했다하여 생긴 지명이다. 건너말은 시밋골 건너편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생긴 지명이며, 미륵댕이는 마을에 미륵당이 있다하여 생긴 지명이다.
▲모가면의 마스코트 ; 모가면의 마스코트 모모는 불러(募) 모아서(募) 행복한 마을를 이룬다는 의미이다. 머리는 모가면의 전체지형 얼굴은 지역의 대표적인 생산품인 모가쌀, 가슴에 그려진 한바탕 M은 모가면의 진산인 마국산을 의미하기도 하고 모가(MOGA)의 첫 글자를 의미한다. 또한 머리와 몸의 황토색은 질 좋은 모가면 토질을 의미하며, 어깨에 걸치고 있는 것은 모가면의 명품 농산물 벼를 의미한다.
▲모가면: 경기도 이천시 중서부에 위치하고 있는 면, 면의 중앙과 서부에는 300m내외의 산들이 솟아 있으며, 이들 산지 사이에 평야가 분포한다. 주곡작물 외에 시설채소 재배가 활발하고, 닭⦁돼지⦁한우의 사육두수가 많다. 면의 서부에는 중부고속도로, 동부에는 지방도가 지난다. 지역 문화재로는 소고리마애여래좌상(이천시 향토유적 제8호), 권균묘역(이천시 향토유적 제16호) 등이 있으며 어농3리에는 가톨릭 선교사 주문모와 윤우일의 순교지인 어농성지가 있다. 행정구역은 진가리⦁서경리⦁산내리⦁송곡리⦁양평리⦁소사리⦁원두리⦁소고리⦁신갈리⦁어농리⦁두미리 등 11개 리가 있다. (법정리 기준, 행정리 기준 21개리). 면소재지는 이천시 모가면 진상미로이다. 면적41.74km², 인구4,525(2019)
▲산안고개; 산내리 큰골(웃말)로 연결되는 고개로 산안은 산내라고도 하며 마옥산 안쪽에 있다는 데서 우래한 지명이다, 오룩스 맵에는 사난고개로 되어 있는데 산안을 발음대로 잘못 적어 놓았다. 웃말은 권균(충성공)의 묘가 있다.
▲마오산 다가서기 전의 봉 안부
▲마오산(摩五山,275.0m) 쉼터 긴의자2개, 우측으로 내려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