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간별 경유지]
주천면 – 내송마을(1.1km) – 구룡치(2.5km) – 회덕마을 (2.4km) – 노치마을(1.2km) – 가장마을(2.2km) – 행정마을(2.2km) – 양묘장(1.7km) – 운봉읍(1.4km)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장안리 외평마을과 남원시 운봉읍 서천리를 잇는 14.7km의 지리산둘레길. 본 구간은 지리산 서북 능선을 조망하면서, 해발 500m의 운봉고원의 너른 들과 6개의 마을을 잇는 옛길과 제방길로 구성된다. 이 구간은 옛 운봉현과 남원부를 잇던 옛길이 지금도 잘 남아있는 구간이다. 회덕에서 남원으로 가는 길은 남원장으로, 노치에서 운봉으로 가는 길은 운봉장을 보러 다녔던 길이다. 특히 10km의 옛길 중 구룡치와 솔정지를 잇는 회덕~내송까지의 옛길(6km)은 길 폭도 넉넉하고 노면이 잘 정비되어 있으며 경사도가 완만하여 아이를 동반한 가족들이 솔숲을 즐기기에 더할 나위없이 좋다.
[주요 경유지]
1. 외평마을
약 600여 년 전 10여 호의 마을을 이루었으나 농업용수가 마땅치 않았으나, 용궁마을에 장안저수지를 만들면서 식수 및 농업용수가 해결되어 마을이 번성하 시작하였다. 고려시대부터 숙성치를 넘어 구례군 산동면(당시는 남원부) 원달리로 통하는 길이 있었는데, 응양에서 말을 갈아타고 농협 창고 뒤편에서 쉬어가는 곳이어서 <원터거리>라 하였는데, 경치가 수려하여 감탄을 자아낸 곳이라 전한다.
2. 내송마을(안솔치)
지금으로부터 약 600여 년 전 한양 조(趙)씨들이 자리를 잡기 시작하여 그 후로 경주 김(金)씨, 서산 류(柳)씨 등 여러 성씨들이 차례로 들어와 30여호 마을을 이루면서 주위의 비옥한 농토와 산림을 토대로 부유한 마을로 발전하기에 이르렀다. 임진왜란 때에는 이곳 출신 조경남(趙慶南) 장군이 의병을 일으켜 많은 전공을 세우기도 했다.
3. 개미정지
내송리 서어나무 숲. 정지는 쉼터를 말한다. 시원한 그늘과 의자가 있어 쉬어가거나 도시락을 먹기에 좋다. 옛날 남원장을 보러가던 이들도 무거운 보따리를 풀고, 마을 사람들도 나뭇짐을 잠시 내려놓고 쉬어갔을 것이다.
4. 솔정지
솔정지는 20여년 전만 해도 나무하러 지게를 지고 가다가 고개를 오르기 전에 땀을 식히고 주천 들녘과 멀리 숙성치와 밤재를 바라보던 아름드리 소나무가 있던 곳이다. 전설에 따르면 정유재란 당시 숙성치를 넘어 남원성을 향하는 왜군을 향해 조경남 장군이 활시위를 당겼던 곳이라고도 한다.
5. 구룡치
구룡치는 주천면의 여러 마을과 멀리 달궁마을에서 남원장을 가기 위해 지나야 하는 길목이었다. 달궁마을 주민들은 거리가 멀어 남원 장에 가려면 2박 3일에 걸쳐 다녀와야 했을 정도였다고 한다. 구룡치를 장길로 이용하는 마을 주민들은 해마다 백중 (음력 7월 15일) 이 지나고 마을별로 구간을 나누어서 길을 보수해서 이용해 왔는데 지금도 예전의 보수 흔적을 찾아볼 수가 있다.
6. 사무락다무락
길을 걷다보면 돌들로 답을 쌓아놓은 ‘사무락다무락’을 만난다. 사무락다무락은 사망(事望)다무락(담벼락의 남원말)이 운율에 맞춰 변천된 것으로 보이는데, 길을 지나는 사람들이 무사함을 빌고 액운을 막아 화를 없애고자 지날 때 마다 돌을 쌓아 올렸다고 한다.
7. 회덕마을
임진왜란 때 밀양 박(朴)씨가 피난하여 살게된 것이 마을을 이룬 시초라고 한다. 원래는 마을 이름을 남원장을 보러 운봉에서 오는 길과 달궁쪽에서 오는 길이 모인다고 해서 “모데기”라 불렀다. 그 뜻은 풍수지리설에 의해 덕두산(德頭山), 덕산(德山), 덕음산(德陰山)의 덕을 한 곳에 모아 이 마을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회덕마을은 평야보다 임야가 많기 때문에 짚을 이어 만든 지붕보다 억새를 이용하여 지붕을 만들었으며 현재도 두 가구가 그 형태를 보존하고 있다.
8. 노치마을
조선초에 경주 정(鄭)씨가 머물러 살고 이어 경주 이(李)씨가 들어와 살게 되어 지금의 마을이 형성되었다. 노치마을은 해발 500m의 고랭지로서 서쪽에는 구룡폭포와 구룡치가 있으며 뒤에는 덕음산이 있고 지리산의 관문이라고 말하는 고리봉과 만복대를 바라보고 있으며 구룡치를 끼고 있다. 마을에서는 마을 이름을 “갈재”라고 부르는데 이는 산줄기의 높은 곳이 갈대로 덮인 것에서 유래한 것이다. 현재는 백두대간이 관통하는 마을로 널리 알려져 있다. 노치마을은 고리봉에서 수정봉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 위에 있어, 비가 내려 빗물이 왼쪽으로 흐르면 섬진강이 되고 오른쪽으로 흐르면 낙동강이 되는 마을이다.
9. 덕산저수지
주천면부터 이곳까지는 20년 전까지 운봉, 산내 사람들이 남원장을 보러 다니던 옛길이다. 덕산저수지가 잘 보이는 심수정에서 땀을 식히고 가면 좋다.
10. 가장마을
풍수지리에 의하면 하늘에서 내려온 선녀가 화장을 하고 있는 형국이라 하여 가장리(佳粧里)라 불렀다 한다. 지금은 들녘에 농사짓는 움막터를 뜻하는 농막장(庄) 자를 써 가장리(佳庄里)로 쓰고 있다. 마을 사람들은 옥녀봉 아래에 옥녀가 베를 짜는 옥녀직금의 천하명당이 있다고 믿고 있다. 300여 년 전 이곳에 처음 들어온 사람은 동복 오(吳)씨와 강릉 유(劉)씨라고 하며 그 후 창녕 조씨와 김씨, 박씨 등이 입주하게 되었다. 마을이 뱀 형국으로 마을 앞에 입석을 세워 뱀의 기를 눌러 마을의 액 막음을 하고 있다.
11. 서어나무숲
행정마을에 있는 서어나무 숲은 ‘제1회 아름다운 숲’ 대상을 받은 곳으로, 수백년된 서어나무들이 아름드리 줄지어 서서 마을을 지켜주는 곳이다.
[안내센터]
주천(주천안내소)
전북 남원시 주천면 장안리 260-1 / 063-625-8952
남원(인월)센터
전북 남원시 인월면 인월2길 95 / 063-635-0850
[교통정보]
[주천 출발점 찾아가기]
주천 – 지리산둘레길 주천 안내소 063-625-8952
자가용
예전주소 : 전북 남원시 주천면 장안리 260-1
신 주소 : 전북 남원시 주천면 정령치로 93
버스 이용안내
• 서울 – 서울(동서울종합터미널) → 남원(남원공용버스터미널)→ 주천
• 서울(센트럴시티(호남)터미널 ) → 남원(남원고속버스터미널)→ 주천
• 광주 – 광주(광주종합버스터미널 ) → 남원(남원공용버스터미널)→ 주천
• 대전 – 대전(대전복합터미널) → 남원(남원고속버스터미널)→ 주천
• 대구 – 대구(서부정류장(서부시외버스터미널)) → 남원(남원공용버스터미널)→ 주천
• 부산 – 부산(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남원(남원공용버스터미널) → 주천
기차 이용안내
• 용산역 → 남원역→ 주천
• 광주역 → 환승 → 남원역→ 주천
• 광주송정역 → 남원역→ 주천
• 서대전역 → 남원역→ 주천
• (동)대구역 → 환승 → 남원역→ 주천
※ 남원시 교통안내(www.namwonbus.net)에서 시내/직행/고속버스, 철도 운행시간 확인 가능
• 서울(동서울종합터미널 / www.ti21.co.kr / 1688-5979)
• 서울(센트럴시티(호남)터미널 / www.centralcityseoul.co.kr / 02-6282-0114)
• 대전복합터미널 / www.djbusterminal.co.kr / 1577-2259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www.usquare.co.kr / 062-360-8114
• 대구(서부정류장(서부시외버스터미널) / 1688-2824)
• 부산(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www.busantr.com / 1577-8301)
• 남원공용버스터미널 / 1688-6021
• 기차관련 정보(www.korail.com / 1544-7788 / 1588-7788)
[민박정보]
[노치마을]
• 오진환(노치둘레길민박) 010-4116-0734, 063)626-0734
• 오명예(노치민박) 010-4660-1239, 063)625-1239
• 안정선(노치솔나무민박) 010-5549-1232, 063)636-0730
• 유복수 011-9446-6004, 063)626-1142
[가장마을]
• 소순모(마을회관) 011-656-0993
[행정마을]
• 행정마을 안내소 063-634-0939
[삼산마을]
• 김중열 011-9629-1701
• 과수원민박 010-3654-1157
• 장수민박 010-3898-7207
• 운봉둘레길민박 010-6686-8077, 063)634-0369
• 인동할매 011-9131-1071, 063)634-1071
• 공원민박 010-5020-1087
원본정보 : http://jirisantrail.kr/wp/?p=2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