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상관 |
품계 |
문산계 |
관직 |
부서 |
외명부 | ||
정1품 |
上 |
의정부 |
|||||
下 |
의정부 | ||||||
종1품 |
上 |
| |||||
下 |
의금부 | ||||||
정2품 |
上 |
한성부 |
|||||
下 |
홍문관,6조 | ||||||
종2품 |
上 |
사헌부 | |||||
下 |
| ||||||
정3품 |
上 |
|
승정원 |
||||
武 |
| ||||||
당하관,
참상관 |
下 |
|
|
사간원 |
|||
武 |
| ||||||
종3품 |
上 |
|
사간원 | ||||
武 |
| ||||||
下 |
|
| |||||
武 |
| ||||||
정4품 |
上 |
|
홍문관 |
||||
武 |
| ||||||
下 |
|
| |||||
武 |
|
| |||||
종4품 |
上 |
|
의금부 | ||||
武 |
| ||||||
下 |
|
|
| ||||
武 |
| ||||||
정5품 |
上 |
|
내수사 |
||||
武 |
| ||||||
下 |
|
| |||||
武 |
|
| |||||
종5품 |
上 |
|
한성부 | ||||
武 |
| ||||||
下 |
|
| |||||
武 |
|
| |||||
정6품 |
上 |
|
홍문관 |
||||
武 |
| ||||||
下 |
|
| |||||
武 |
|
| |||||
종6품 |
上 |
|
홍문관 | ||||
武 |
| ||||||
下 |
|
| |||||
武 |
| ||||||
참하관 |
정7품 |
|
홍문관 |
||||
武 |
| ||||||
종7품 |
|
| |||||
武 |
| ||||||
정8품 |
|
|
|||||
武 |
| ||||||
종8품 |
|
| |||||
武 |
| ||||||
정9품 |
|
|
|||||
武 |
| ||||||
종9품 |
|
| |||||
武 |
|
당상관:중요정책결정에 참여하고 관찰사(觀察使)가 될 수 있다.
참상관:목민관(牧民官)에 임명될 수 있다
품계가 높은 사람이 낮은 관직을 갖게 되면 그 관직 앞에 '행(行)'자를 붙였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수(守, 직무대리)'자를 붙였다.
2. 조선의 중앙관료조직
□ 의정부:재상들의 합의를 거쳐 국정을 총괄하는 최고의 관부 |
삼정승(영의정 · 우의정 · 좌의정) |
□ 6조 |
속사(하급관청) |
속아문 |
문선사 · 고훈사 · 고공사 |
상서원(옥새관리) · 사옹원(식사담당) · 내시부(왕명전달) 등 | |
판적사 · 회계사 · 경비사 |
내자시 · 광흥창(녹봉담당) · 양현고(성균관 물품공급) 등 | |
전객사 · 전형사 · 계제사 |
홍문관 · 춘추관 · 성균관 · 관상감 · 사역원(통역) 등 | |
무선사 · 승여사 · 무비사 |
5위 · 훈련원 · 사복시(말 관리) · 군기시(병기 제조) 등 | |
상복사 · 고율사 · 장금사 · 장예사 |
장예원(노비) · 전옥서(죄수) | |
영조사 · 공야사 · 산택사 |
상의원(의복) · 수성금화사(축성과 소방) · 와서(기와) 등 |
□ 사헌부(司憲府) : 감찰행정기구 | ||||||
직책 |
대사헌(大司憲) |
집의(執義) |
장령(掌令) |
지평(持平) |
감찰(監察) |
서리(書吏) |
품계 |
종2품 |
종3품 |
정4품 |
정5품 |
정6품 |
|
인원 |
1 |
1 |
2 |
2 |
13 |
39 |
□ 사간원(司諫院): 3사의 권리인 간쟁과 논박을 담당 | ||||
직책 |
대사간(大司諫) |
사간(司諫) |
헌납(獻納) |
정언(正言) |
품계 |
정3품 |
종3품 |
정5품 |
정6품 |
인원 |
1 |
1 |
1 |
2 |
□ 홍문관(弘文館) : 궁중도서관리, 경연, 교서작성 | |||||||||||||||
직책 |
영사 (領事) |
대제학 (大提學) |
제학 (提學) |
부제학 (副提學) |
직제학 (直提學) |
전한 (典翰) |
응교 (應敎) |
부응교 (副應敎) |
교리 (校理) |
부교리 (副校理) |
수찬 (修撰) |
부수찬 (副修撰) |
박사 (博士) |
저작 (著作) |
정자 (正字) |
품계 |
정1품 |
정2품 |
종2품 |
정3품 |
정3품 |
종3품 |
정4품 |
종4품 |
정5품 |
종5품 |
정6품 |
종6품 |
정7품 |
정8품 |
정9품 |
인원 |
1 |
1 |
1 |
1 |
1 |
1 |
1 |
1 |
2 |
2 |
2 |
6 |
1 |
1 |
1 |
□ 의금부(義禁府) :특별재판기관 | ||||||
직책 |
판사(判事) |
지사(知事) |
동지사(同知事) |
경력(經歷) |
도사(都事) |
나장(羅將) |
품계 |
종1품 |
정2품 |
종2품 |
종4품 |
종5품 |
|
인원 |
1 |
1 |
2 |
|
|
232 |
□ 승정원(承政院) : 왕의 비서기관(정3품의 당상관) 따로 관서가 없고 6조에 각각 도승지와 승지를 배당 | ||||||
직책 |
도승지 |
좌승지 |
우승지 |
좌부승지 |
우부승지 |
동부승지 |
6조의승지 |
이조 |
호조 |
예조 |
병조 |
형조 |
공조 |
□ 한성부(漢城府) : 수도의 행정과 치안담당 | ||||||
직책 |
판윤(判尹) |
좌윤(左尹) |
우윤(右尹) |
서윤(庶尹) |
판관(判官) |
참군(參軍) |
품계 |
정2품 |
종2품 |
종2품 |
종4품 |
종5품 |
정7품 |
인원 |
1 |
1 |
1 |
1 |
2 |
3 |
□ 포도청 : 상민의 범죄를 담당기관 | ||||||||||
직책 |
포도대장 (捕盜大將) |
종사관 (從事官) |
군관 (軍官) |
포도부장 (捕盜副將) |
포도군사 (捕盜軍使) |
무료부장 (無料部長) |
가설부장 (加設部長) |
겸록부장 (兼錄部長) |
서원 (書員) |
사령 (使令) |
품계 |
종2품 |
종5품 |
|
|
|
|
|
|
|
|
인원 |
1 |
3 |
70 |
4 |
64 |
27 |
6 |
32 |
4 |
3 |
□ 성균관(成均館) : 교육기관 | ||||||||
직책 |
대사성 (大司成) |
제주 (祭酒) |
약정 (藥正) |
직강 (直講) |
박사 (博士) |
학정 (學正) |
학록 (學錄) |
학유 (學諭) |
품계 |
정3품 |
|
|
|
|
|
|
|
인원 |
1 |
|
|
|
|
|
|
|
□ 춘추관(春秋館) : 시정기록과 국사편찬 | ||||||||
직책 |
영사 (領事) |
감사 (監事) |
지사 (知事) |
동지사 (同知事) |
수찬관 (修撰官) |
편수관 (編修官) |
기주관 (記注官) |
기사관 (記事官) |
품계 |
정1품 |
정1품 |
정2품 |
종2품 |
정3품 |
종4품 |
종5품 |
정6품 |
인원 |
1 |
1 |
2 |
2 |
|
|
|
|
□ 교서관 :인쇄소 | ||||||||||
직책 |
판교 (判校) |
교리 (校理) |
별좌 (別座) |
별제 (別提) |
박사 (博士) |
저작 (著作) |
정자 (正字) |
부정자 (副正字) |
사준 (司準) |
서리(書吏) 전령(傳令) |
품계 |
정3품 |
종5품 |
종5품 |
종5품 |
정7품 |
정8품 |
정9품 |
종9품 |
|
|
인원 |
1 |
1 |
2 |
2 |
2 |
2 |
2 |
2 |
10 |
20 |
□ 예문관 : 왕의 교서를 편집 | |||||||
직책 |
대제학 (大提學) |
제학 (提學) |
직제학 (直提學) |
응교 (應敎) |
공봉 (供奉) |
수찬 (修撰) |
검열 (檢閱) |
품계 |
종2품 |
정3품 |
정4품 |
정5품 |
정7품 |
정8품 |
정9품 |
□ 승문원 : 외교문서 작성기관 | |||||||||||||
직책 |
도제조 (都提調) |
부제조 (副提調) |
판교 (判校) |
참교 (參校) |
교감 (校勘) |
교리 (校理) |
검교 (檢校) |
박사 (博士) |
저작 (著作) |
정자 (正字) |
부정자 (副正字) |
제술관 (製述官) |
사자관(寫字官) |
품계 |
정1품 |
당상관 |
정3품 |
종3품 |
종4품 |
종5품 |
정6품 |
정7품 |
정8품 |
정9품 |
종9품 |
|
|
인원 |
|
|
1 |
1 |
1 |
2 |
2 |
2 |
2 |
2 |
2 |
2 |
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