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바'라 함은 갈바늄(Galvalume)을 말함이죠.
간단히 말하면 알루미늄 + 아연 으로 만든 도금강판이예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산업용으로 엄청 많이 쓰이죠.(전기온돌판, 공장지붕, 가전제품 등등)
갈바륨의 역사
갈바륨은 BIEC International Inc.의 등록상표이며, 세계적인 BIEC사의 인가서중의 하나이다. 일
반적으로 55% 알루미늄-아연도금강판 기술로써 알려진 갈바륨강판 기술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22개
국가 31개 회사에서 BIEC International로부터 갈바륨도금 기술을 인가 받아서, 갈바륨생산을 위해
그들의 설비를 개량하는 과정에 있거나 또는 생산을 하고 있다. 1972년에 갈바륨이 상업화된 이래
로 전세계적으로 2천4백만톤 이상이 생산되어져 왔다. 그리고 현재 년간 생산량이 약 3백만톤에 이
르고 있다.
이중에 어림잡아 갈바륨 전체 생산량의 30 ∼ 35%은 도장되어 지붕재나 패널와 같은 건물구조산업
에 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 제품은 갈바륨 이라는 상표이외에, 전세계에 걸쳐 BIEC사의 인가에
의해서 등록된, 다음의 상표들의 항목하에서도 또한 사용되어지고 있다.
CINCALUM |
ZALUTITE |
ALGAFORT |
ZINC-ALUM |
ALUZINC |
ZINCALIT |
ALUZINK |
ZINCCALUME |
CINCALUM |
ZINTRO-ALUM |
GALVALUME |
|
갈바륨강판은 특유의 매끄러움, 평탄함, 미세한스팽글과 함께 흰 금속성의 외관을 가진다. 도금조
성은 중량비율로 55%의 알루미늄(용적비율은 80%)과 43.4%의 아연, 1.6%의 실리콘으로 되어 있으며
연속아연도강판 또는 알루미늄도금강판의 도금과정과 비슷한 연속 용융도금과정에 의해 만들어진다
55%알루미늄-아연합금도금은 양쪽도금이 같은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비슷한 두께의 아연도금과 비
교해서 상당히 개선된 부식저항을 나타낸다. 이처럼 55%알루미늄-아연도금강판의 뛰어난 총제적인
부식저항 특성 외에도, 도장된 제품은 우수한 도장 접착력과 유연성을 지녔다.
55%알루미늄-아연도금강판 패널판들의 절단된 끝 부분을 따라 초기 페인트의 부풀음에 관한 근심
은 전세계의 다양한 환경하에서 15년간 이상 노출된 설치건물들에 대하여 실질적인 실행 Data들에
의해 이러한 염려를 떨쳐 벌릴 수 있었다.
금속도금된 강판의 장기간의 부식저항은 금속도금의 용해율과 이들의 도금두께에 달려있으며, 아
연도금의 용해율은 55%알루미늄-아연합금도금의 용해율보다도 상당히 더 높다. 따라서, 55%알루미
늄-아연도금강판 패널판들의 사용기간은 비례적으로 더 높게 되는 것이다. 장기간의 대기노출 이
후에 상대적인 무게 손실 자료를 기초로 하여, Bethlehem Steel사는 노출환경을 신뢰했으며, 55%알
루미늄-아연도금강판 패널판들은 G-90 용융아연패널판들과 비교하여 2 ∼ 4배 더 긴 사용기간을 가
진다고 발표했다.
연합철강은 1967년 냉간압연강판 생산을 시초로 용융아연도강판,
전기아연도강판, 컬러강판을 생산, 공급하고 있으나 날로 고급화하는 시장 수요요구를
만족 시키기 위하여 1983년 미국의 BIEC와 기술제휴,고내식성·
내열성을 지닌 갈바륨강판을 생산하게 되었다.
갈바륨의 특징
가) 장기 내구성이 우수하며, 아연도금강판에 비해 수명이 길다.
(동일한 도금두께 기준) 25년 이상의 옥외폭로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편면 도금층 20μm(75g/m2) 두께의 갈바륨 도금강판은 거의 모든 분위기에서 편면 도금층 약 23μm의 G90 아연도금강판에 비해 동일한 환경하에서 3∼6배 정도의 강한 내식성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 분위기에서는 갈라진 틈새 같은 부분에서의 내식성이 알루미늄강판에 비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갈바륨강판은 절단면에서는 알루미늄도금강판이 가지지 못하는 방식능력이 뛰어난데, 이는 도금층 중의 아연이 우선적으로 부식되면서 소지철에 대해 희생방식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표면의 도금층이 취급중 소지철이 드러날 경우도 알루미늄도금강판과는 달리 아연의 성분을 도금층 중에 가지고 있으므로써 희생방식능력을 가지고 있다.
나) 내열성이 우수하다.
315℃에서 장시간 표면변색이나 산화 없이 사용이 가능하므로, 고온 용도에 적용되는 사례가 많다. 그 예로는 토스터, 오븐, 로재, 일반 드라이어 등이 있으며, 이들 제품의 용도에 대한 내구성, 저원가, 열반사율, 외관 및 가공성 등 모든 항목을 충분히 만족하고 있어 그 수요는 점점 늘어나고 있다.
다) 열반사성이 양호하다.
갈바륨강판의 도금층은 체적비로 환산하면 약 80%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강판과 유사한 열반사율을 나타낸다.
라) 은백색의 미려한 표면외관을 지니고 있다.
마) 아연도금강판과 거의 동등한 가공성과 도장성을 지니고 있다.
바) 적절한 용접조건하에서 용접이 쉽다.
갈바륨의 용도
갈바륨은 내식성 내열성등 강력한 기능으로 다방면에 응용되는 철강 신소재로 건축분야를 위시해서 열을 사용하는 각종 공산품등에 아주 유용하게 사용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TV 브라운관의 밴드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가) 건축분야
지붕, 벽체, 차고, 칸막이, 울타리, 덕트, Fence, 조립식 주택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unionsteel.co.kr%2Fespace%2Fgalvalume%2Fimages%2Fgalvalum01.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unionsteel.co.kr%2Fespace%2Fgalvalume%2Fimages%2Fgalvalum03.jpg)
나) 농업분야
농원용 파이프, 축사, Silo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unionsteel.co.kr%2Fespace%2Fgalvalume%2Fimages%2Fgalvalum04.jpg)
다) 자동차분야
머플러, 연료 탱크, 배기 파이프, 트럭 하부 몸체, 에어크리너 커버 등
라) 산업용기분야
단열 및 보온 커버, 온수기, 열교환기, 건조기, 폐기물 소각기, 세탁기, 전자제품 프레임 등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unionsteel.co.kr%2Fespace%2Fgalvalume%2Fimages%2FFcalx005.gif)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unionsteel.co.kr%2Fespace%2Fgalvalume%2Fimages%2FFcalx006.gif)
마) 전기, 전자 산업분야
전자렌지, 스토브, 토스터, 오븐, 냉장고, 자동판매기, 에어컨 등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unionsteel.co.kr%2Fespace%2Fgalvalume%2Fimages%2FFCALX007.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