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용어
가증한 것
'가증함'이란 낱말은 제사 예배의 영역에서 비롯된 것으로 부정해서 종교 의식상으로 금지되어 있거나 부정하여 제사 예배에 참석할 수 없게 만드는 모든 것을 가리킨다('정결한*'. 확장된 뜻으로는 잠3:32; 11:20; 15:8; 16:5; 28:9; 눅16:15; 계21:27. 이 가운데 잠28:9; 계21:27을 뺀 나머지 구절에서는 '[여호와 또는 하나님에게] 미움을 받는 것'이란 식으로 번역되어 있다). 온갖 우상과 온갖 우상 숭배*가 이에 속한다는 것은 자명하다(왕상15:13; 왕하23:24; 렘7:30; 13:27; 겔20:7,30과 더 나아가서 딛1:16 참조). 단9:27; 11:31; 12:11의 '(멸망케 하는 또는 할) 미운 물건'은 예루살렘 성전이 안티오쿠스 4세에게 더럽혀진 것을 암시한다.
이 임금은 주전 168년에 성전 건물 앞 큰 번제단 위에 헬라의 신 제우스에게 제사 드릴 때 쓸 작은 제단을 세워두게 했다. 이로써 성소 전체가 '황폐해져서', 곧 종교 의식상으로 부정하게 되어 유다의 제사 예배를 드릴 수 없게 되었고, 제사장들과 유다 회중이 쫓겨났으며 성전 지역에는 인적이 끊어졌다(1마카1:54,59 참조). 이 종교정책적인 조치는 셀류시드* 왕국의 통일성을 굳히기 위한 노력 가운데 하나였다(1마카1:41-57과 참조). 막13:14(와 병행 구절)에 나오는 '멸망의 가증한 것'이라는 표현은 <다니엘>에서 넘겨받은 것이다. 그에 따르면 국가가 종교를 자신과 자신의 목적에 종속시키고 마침내는 국가와 국가의 대표자들이 실제로 하나님의 자리를 차지하여 자기들에게 중요하지 않은 종교 의식을 더 이상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마지막 때의 환란은 그 절정에 이를 것이다(살후2:3-4; 계13장 참조).
가현설
그노시스*라는 정신 사조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활동에 대해 주장하는 견해를 가리키는 말이다. 가현설에 따르면 예수께서는 구약 성경이 증언하는 하나님의 아들이자 하나님이 보내신 자가 아니라, 이제껏 알려져 있지 않았고 이제 예수 안에서만 스스로를 처음으로 드러내 보이신 참되고도 유일하신 하나님의 아들이자 그런 하나님이 보내신 자이시다. 이 하나님은 악한 귀신인 여호와*와 그의 악한 피조 세계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예수께서는 실제로 사람이 되신 것이 아니다(그랬다면 이는 이 악한 세상을 만들게 된 태초의 '사고'가 예수 안에서 거듭되었을 따름이고 사람의 '구속'을 위해 이루어진 바는 하나도 없었을 것이다). 오히려 예수께서는 - 요단 강에서 세례를 받으심으로써 - '겉보기로만'(가현설이란 용어는 '겉으로 그렇게 보인다'는 뜻의 헬라 동사에서 비롯되었다) 사람의 몸과 결부되었고 수난을 겪으시기 전에 다시 그 몸을 버리셨다. 예수께서는 사람들에게 '지식'('그노시스')을 주심으로써 '구속'을 이루신 것이고,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써 구속에 이바지한 바는 전혀 없다. 이 가현설이 머리를 들자 신약 성경에서는 이를 반대한다(요1:14; 요일4:2-3. 딤전2:5-6; 3:16도 참조). 관련용어 : 그노시스
간음
구약 성경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를 따르면 간음은 여자가 자기 남편과 맺은 혼인 관계에서 벗어나거나 남자가 다른 사람의 혼인 관계에 끼어드는 것을 말한다(출20:14,17. '혼인*'). 두 경우 모두 해당 남편의 '소유권'이 침해되고 그렇게 해서 태어난 자녀의 권리와 체면은 자녀 자신 및 해당 가족에게 문제가 된다. 간음죄를 지으면 남자든 여자든 돌로 쳐죽였다(레20:10; 신22:22-27; 잠6:20-35; 집회23:18-27. 겔16:38-40 참조). 예수께서는 간음을 무해한 것으로 여기지 않으셨다(요8:1-11도 그런 식으로 오해하지 말아야 한다). 오히려 마5:27-30 참조.
동터 오는 하나님 나라의 빛에 비추어보면 부부 사이의 사랑과 신의는 하나님이 처음부터 생각하시고 뜻하셨던 대로 진지하게 여겨야 하고(막10:1-9병), 혼인은 하나님이 몸소 거듭거듭 - 마지막으로 또 가장 철저하게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 자기 백성에게 증명해 보이신 사랑과 신의를 반영하는 것이어야 한다('혼인*'의 마지막 단락을 보라). 그러므로 간음은 고전6:9-10; 히13:4에 따르면 하나님 나라*에 참여하지 못하게 하는 죄 가운데 하나이다.
구약 성경에서 간음은 예언자들이 하나님 백성이 하나님께 성실하지 못함을 꾸짖을 때 거듭거듭 쓰는 비유이다(호2:2-3; 3:1; 렘2:2-3; 3:8-9; 5:7; 9:2,14; 13:27; 겔16장; 23장. 신약 성경에서는 '음란한 세대'에 대해 말하는 마12:39; 16:4; 막8:38 참조. 또 약4:4도 참조). 이 불신실함을 하나님이 마지막 때에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행하신 사랑의 행위로써 극복하시고 속죄하셨으므로, 앞으로는 백성과 하나님의 관계에서든 하나님 백성의 구성원 사이에서든 더 이상 그런 불신실함이 있어서는 안 된다. 음행*도 참조하라. 관련용어 : 음행, 혼인
간질병
'귀신들린 자*'를 보라 관련용어 : 병
갈대아, 갈대아 사람[인]
남부 바벨론(바빌로니아*)의 한 지역과 그 주민들을 가리키던 이름이 나중에는 온 바빌로니아에 대해 쓰이게 되었다. 반유목민 부족인 갈대아 사람들은 아주 일찌감치 북부 아라비아와 페르샤 만 사이에 자리를 잡았고 성읍 우르(창11:28)를 차지했다. 한동안(주전 800년쯤) 이들은 앗수르(앗시리아*)사람들의 봉신들이었다. 갈대아 제후 므로닥발라단이 일시적으로(주전 721-710년, 703-702년. 사39장 참조) 바빌로니아의 통치권을 휘어잡았다.
유명한 느부갓네살 2세의 아버지인 나보폴랏살(주전 626-605년)이 다스릴 때 갈대아 사람들은 신 바빌로니아 제국을 세웠다. 그 때부터 갈대아는 바빌로니아와 같은 뜻을 지니게 되었다. 바빌로니아의 제사장들은 그들의 천문학적이고 점성술적인 지식으로 이름난 사람들이어서, '갈대아 사람들'이란 호칭을 제사장들과 점성술가들과 학자들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표현으로 쓰게 되었다(단2:10; 3:8; 4:4; 5:7,11의 아람어 본문이 그러하다).
갈라디아
주전 3세기부터 켈트 부족들이 살던(언어상으로 갈리아와 비슷하고 겔 말을 썼다) 소아시아 지역. 로마 사람들은 이 지역을 점령한 뒤에 이 지역에다 브루기아, 비시디아, 밤빌리아, 루가오니아, 이사우리아를 부분적으로 포함시켜 로마에 속한 지방 영토 갈라디아를 만들었다. <갈라디아서>의 수신인이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주석가들 사이에 여러 가지 의견이 있다. 갈라디아 지역 의 주민들이 수신인이라는 의견이 비교적 그럴 듯하다
갈레[갈로]
암6:2에서는 갈레로, 사10:9에서는 갈로로 나오는 이 성읍은 북부 수리아의 상업도시인데, 주전 738년 앗수르 사람들에게 정복되었다. 그 위치는 불확실한데, 더러는 아르밧 남동쪽 16킬로미터 지점에 있는 오늘의 쿨란 쾨이가 그곳일 것으로 생각한다.
감독
신약 성경에서는 감독이라는 낱말이 아직 지역 교회들을 넘어서는 직책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지는 않는다. 빌1:1에서는 지역 교회의 일을 돕는 자('집사*')들과는 달리 교회를 감독하거나 관리하는 사람들을 가리켜 감독이라 하고, 행20:28에서는 에베소 교회의 장로*들을 '감독자'라 부르며, 딤전3:1; 딛1:7에서는 집사들과는 달리 교회를 이끄는 사람을 감독이라 하고, 벧전2:25에서는 포괄적인 뜻으로 예수님을 감독이라 부른다('교회 지도자*'도 보라). 관련용어 : 교회, 교회 지도자
감사제
'화목제*'를 보라. 관련용어 : 제사, 제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