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OLUME I FANTINE
BOOK FIRST - A JUST MAN(올바른 사람)
CHAPTER I - M. MYRIEL(미리엘)
In 1815, M. Charles-Francois-Bienvenu Myriel was Bishop of D-. He was an old man of about seventy-five years of age; he had occupied the see of D- since 1806. Although this detail has no connection whatever with the real substance of what we are about to relate, it will not be superfluous, if merely for the sake of exactness in all points, to mention here the various rumors and remarks which had been in circulation about him from the very moment when he arrived in the diocese. True or false, that which is said of men often occupies as important a place in their lives, and above all in their destinies, as that which they do. M. Myriel was the son of a councillor of the Parliament of Aix; hence he belonged to the nobility of the bar. 1815년, 샤를 프랑수아 비행브뉘 미리엘 씨는 디뉴의 주교였다. 그는 일흔다섯쯤 된 노인으로, 1806년 이래 디뉴의 주교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가 교구에 도착할 무렵 그에 관해서 퍼진 갖가지 소문이며 화재를 여기에 적은 것은 내가 이야기해야 하는 것의 근본적인 내용과는 아무런 관계도 없지만, 만사에 정확을 기한다는 점만으로 아마 무용하지는 않으리라. 그것이 진실이든 혹은 거짓이든 간에, 어떤 사람에 대한 소문이라는 것은 그 사람의 생애와 그 사람의 우념ㅇ에 마치 실제와도 비슷한 영향력을 미칠 수가 있다. 미리엘 씨는 엑스 고등법원 평의원의 아들로 지체 높은 법관 가문에서 태어났다.
It was said that his father, destining him to be the heir of his own post, had married him at a very early age, eighteen or twenty, in accordance with a custom which is rather widely prevalent in parliamentary families. In spite of this marriage, however, it was said that Charles Myriel created a great deal of talk. He was well formed, though rather short in stature, elegant, graceful, intelligent; the whole of the first portion of his life had been devoted to the world and to gallantry. The Revolution came; events succeeded each other with precipitation; the parliamentary families, decimated, pursued, hunted down, were dispersed. M. Charles Myriel emigrated to Italy at the very beginning of the Revolution. There his wife died of a malady of the chest, from which she had long suffered. He had no children. What took place next in the fate of M. Myriel? 소문에 따르면, 그의 아버지는 아들에게 자신의 지위를 넘겨주기 위해 그 즈음의 고등법원 집안 사이에서 유행처럼 번지던 관습대로 그가 열여덟 살이나 수물 살쯤 되었을 때 서둘러 결혼을 시켰다고 한다. 샤를 미리엘은 결혼 뒤에도 숱한 뜬소문을 불러 일으켰다. 그는 체력이 다부진 사나이로 키는 작달막했으나 품위 있고 단덩하며 재치가 넘쳤다. 그는 젊은 시절을 사교계 활동으로 보냈다. 혁명이 일어나면서 평화는 깨졌다. 고등법원과 관계된 수많은 집안이 추방되고 살해되고 흩어져 갔다. 샤를 미리엘 씨는 혁명 초기에 이탈리아로 망명을 했고 그의 아내는 폐질환 지병으로 이탈리아에서 사망했다. 그들 사이에 자식은 없었다. 그 뒤로 미리엘 씨의 운명은 어디로 흘러갔던가?
The ruin of the French society of the olden days, the fall of his own family, the tragic spectacles of '93, which were, perhaps, even more alarming to the emigrants who viewed them from a distance, with the magnifying powers of terror, - did these cause the ideas of renunciation and solitude to germinate in him? Was he, in the midst of these distractions, these affections which absorbed his life, suddenly smitten with one of those mysterious and terrible blows which sometimes overwhelm, by striking to his heart, a man whom public catastrophes would not shake, by striking at his existence and his fortune? No one could have told: all that was known was, that when he returned from Italy he was a priest. 프랑스 기존 체제의 붕괴와 집안의 몰락, 그리고 1793년의 혼란한 풍경들-극한 공포심에 사로잡혀 망명자로서 그 혼란함을 목도한 자들이 느꼈을 그 비극적인 광경 - 등이 속세에 대한 그의 마음을 비우고 고독으로 향하는 길을 열었던 것일까? 세상의 격렬한 변동으로 자신의 모든 생활과 재산을 빼앗기고도 의연해 보였던 그가, 심경의 변화로 새롭게 얻어진 신비롭고도 불가사의한 충역으로 그의 모든 생활에 깊숙이 퍼져 있던 모든 향락과 애정을 떨쳐 버렸던 것일까? 그에 대해 누구도 섣불리 말할 수 없으리라. 다만 분명한 것은 그가 이탈리아에서 돌아왔을 때는 사제의 신분이었다는 것이다.
In 1804, M. Myriel was the Cure of B-[Brignolles]. He was already advanced in years, and lived in a very retired manner. About the epoch of the coronation, some petty affair connected with his curacy - just what, is not precisely known - took him to Paris. Among other powerful persons to whom he went to solicit aid for his parishioners was M. le Cardinal Fesch. One day, when the Emperor had come to visit his uncle, the worthy Cure, who was waiting in the anteroom, found himself present when His Majesty passed. Napoleon, on finding himself observed with a certain curiosity by this old man, turned round and said abruptly:- "Who is this good man who is staring at me?" "Sire," said M. Myriel, "you are looking at a good man, and I at a great man. Each of us can profit by it." That very evening, the Emperor asked the Cardinal the name of the Cure, and some time afterwards M. Myriel was utterly astonished to learn that he had been appointed Bishop of D-. 1804년 미리엘 씨는 브리뇰의 주임 사제였다. 그는 이미 기력이 쇠한 노인이 되어 은둔 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해 12월, 나폴레옹 황제의 대관식이 있던 무렵, 그는 주임 사제로서 페슈 추기경에게 도움을 청하기 위해 파리로 갔다. 페슈 추기경은 리옹의 대주교이자 바티칸 주재 프랑스 대사로 나폴레옹의 숙부였다. 마침 황제가 페슈 추기경을 만나러 와 있어서 이 체격 좋은 주임 사제는 대합실에서 황제의 행차와 마주쳤다. 나폴레옹은 그 노인이 자신을 인상 깊게 바라보는 것을 느끼고는 몸을 홱 돌리며 물었다. “거기서 나를 지긋이 바라보는 노인은 도대체 누구인가?” “폐하.” 미리엘 씨는 대답했다. “페하께서는 한 늙은이를 보고 계시고, 저는 한 위인을 보고 있습니다. 그러니 폐하도 저도 모두 얻는 것이 있겠지요.” 황제는 그날 밤 추기경에게 이 주임 사제의 이름을 물어보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미리엘 주교는 디뉴의 주교로 임명되었다. 그 사실을 알게 된 미리엘 주교는 무척 놀랐다.
What truth was there, after all, in the stories which were invented as to the early portion of M. Myriel's life? No one knew. Very few families had been acquainted with the Myriel family before the Revolution. M. Myriel had to undergo the fate of every newcomer in a little town, where there are many mouths which talk, and very few heads which think. He was obliged to undergo it although he was a bishop, and because he was a bishop. But after all, the rumors with which his name was connected were rumors only, -noise, sayings, words; less than words-palabres, as the energetic language of the South expresses it. However that may be, after nine years of episcopal power and of residence in D-, all the stories and subjects of conversation which engross petty towns and petty people at the outset had fallen into profound oblivion. No one would have dared to mention them; no one would have dared to recall them. 미리엘 씨의 젊은 시절에 대해 알려진 것이 얼마나 진실할까? 그것은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혁명 이전의 미리엘 가문의 행적을 아는 사람은 거의 남아 있지 않았다. 미리엘 씨는 작은 마을에 혼자 온 낯선 사람이며 으레 당하게 되는 일을 겪게 되었다. 그런 곳에서는 흔히 뒤에서 쏙닥거리는 자는 많아도 속이 꽉 찬 사람은 없는 법이다. 그는 주교였음에도, 아니 주교였기에 그런 운명을 감수해야 했다. 그리고 얼마 뒤에는 그에 대한 이야기는 그저 한때의 관심사가 되었을 뿐이다. 그것은 소문이며 험담이며 뒷말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뒷말이라기보다는 어쩌면 남부 지방에서 잘 알려진 표현대로라면 ‘뜬구름’ 정도도 못 되었을 것이다. 아무튼 디뉴의 주교직에 9년째 부임해 온 지금에 와서는 그 작은 마을을 소란하게 했던 갖가지 소문은 망각 속으로 사라져 갔다. 이제는 누구도 그에 대해 말하려고 들지 않았고 아무도 그 생각을 다시 끄집어내려고 하지 않았다.
M. Myriel had arrived at D-accompanied by an elderly spinster, Mademoiselle Baptistine, who was his sister, and ten years his junior. Their only domestic was a female servant of the same age as Mademoiselle Baptistine, and named Madame Magloire, who, after having been the servant of M. le Cure, now assumed the double title of maid to Mademoiselle and housekeeper to Monseigneur. Mademoiselle Baptistine was a long, pale, thin, gentle creature; she realized the ideal expressed by the word "respectable"; for it seems that a woman must needs be a mother in order to be venerable. 미리엘 씨는 디뉴로 오면서 노처녀를 한 명 데려왔다. 그녀는 그의 누이동생인 바티스틴으로 그보다 열 살가량 어렸다. 시중을 들어 줄 사람으로는 비티스틴과 동갑인 하녀가 한 명 있었는데, 바로 마그루아르 부인이었다. 그녀는 처음에는 ‘주임 사제의 하녀’였으나 이로써 노처녀의 하녀, 그리고 주교 예하의 가정부라는 이중 직함을 갖게 되었다. 바티스틴은 키가 크고 수척하며 순한 여자였다. 그녀는 세상 사람들로부터 존경스럽다는 말을 들을 만한 그런 여자였다. 좋은 어머니라는 이미지가 어울린다면 존경을 받을 만하다는 평을 들을 만하기 때문이다.
She had never been pretty; her whole life, which had been nothing but a succession of holy deeds, had finally conferred upon her a sort of pallor and transparency; and as she advanced in years she had acquired what may be called the beauty of goodness. What had been leanness in her youth had become transparency in her maturity; and this diaphaneity allowed the angel to be seen. She was a soul rather than a virgin. Her person seemed made of a shadow; there was hardly sufficient body to provide for sex; a little matter enclosing a light; large eyes forever drooping; -a mere pretext for a soul's remaining on the earth. Madame Magloire was a little, fat, white old woman, corpulent and bustling; always out of breath, - in the first place, because of her activity, and in the next, because of her asthma. On his arrival, M. Myriel was installed in the episcopal palace with the honors required by the Imperial decrees, which class a bishop immediately after a major-general. The mayor and the president paid the first call on him, and he, in turn, paid the first call on the general and the prefect. The installation over, the town waited to see its bishop at work. 그녀는 어쩌면 아름다운 아가씨였던 적은 없었을지도 모른다. 하느님을 섬기는 일에 몸과 마음을 다해 온 그녀의 인생은 그녀에게 성스러움과 밝은 빛을 갖게 했다. 젊었을 때부터 야위었던 몸은 나이를 먹어 가면서 투명한 느낌을 갖게 되었다. 마치 그 투명한 몸에서 천사의 모습이 보이는 듯했다. 그것은 여자라기보다 고귀한 영혼의 모습이었다. 그녀의 몸은 마치 무언가의 그림자로 이루어진 것 같았다. 그 몸은 남펴라는 개념이 섞여 들어갈 틈이 없었다. 무한한 빛을 가진 육체 속에 사물을 지긋이 바라보는 큰 눈, 그야말로 하나의 영혼을 지상에 머물게 하는 무언가였다. 마글루아르 부인은 작은 키에 살찐 몸집, 흰 피부를 가진 할멈으로 워낙 일을 많이 하는 데다 해수병에 걸려 늘 헐떡거렸다. 도착하던 날, 미리엘 씨는 여단장 바로 밑의 지위를 가진 주교 직위에 합당한 대우을 받으며 주교관으로 향했다. 시장과 시의회 의장이 그를 알현했고, 장군과 지사가 따라왔다. 취임식이 모두 끝나고 이제 디뉴 시는 새로운 주교의 임무를 기다리고 있었다.
VOLUME I FANTINE
BOOK FIRST - A JUST MAN(올바른 사람)
CHAPTER II - M. MYRIEL BECOMES M. WELCOME( 미리엘 씨, 비행브뉘 예하가 되다)
The episcopal palace of D- adjoins the hospital. The episcopal palace was a huge and beautiful house, built of stone at the beginning of the last century by M. Henri Puget, Doctor of Theology of the Faculty of Paris, Abbe of Simore, who had been Bishop of D- in 1712. This palace was a genuine seignorial residence. Everything about it had a grand air, -the apartments of the Bishop, the drawing-rooms, the chambers, the principal courtyard, which was very large, with walks encircling it under arcades in the old Florentine fashion, and gardens planted with magnificent trees. In the dining-room, a long and superb gallery which was situated on the ground-floor and opened on the gardens, M. Henri Puget had entertained in state, on July 29, 1714, My Lords Charles Brulart de Genlis, archbishop; Prince d'Embrun; Antoine de Mesgrigny, the capuchin, Bishop of Grasse; Philippe de Vendome, Grand Prior of France, Abbe of Saint Honore de Lerins; Francois de Berton de Crillon, bishop, Baron de Vence; Cesar de Sabran de Forcalquier, bishop, Seignor of Glandeve; and Jean Soanen, Priest of the Oratory, preacher in ordinary to the king, bishop, Seignor of Senez. 디뉴의 주교관은 자선병원과 인접해 있었다. 주교관은 웅징한 석조 건물인데, 시모르의 수도원장으로서 1712년에 디뉴의 주교가 된 파리 대학 신학 박사 앙리 퓌제 예하에 의하여 18세기 초에 건축되었다. 이 주교관은 실로 위풍당당한 주택이었다. 모든 것이 웅대해 보였다. 주겨의 거실도, 응접실도, 침실들고, 고대 피렌체식을 그대로 따른 산책용 홍예 회랑이 있는 넓디넓은 뜰도, 매우 아름다운 나무들이 심긴 정원도, 정원 쪽을 향한, 맨 아래층에 있는 장려한 긴 회장을 이룬 식당에, 앙리 푸제 예하는 1714년 7월 29일 앙브룅의 대주교이자 대공인 샤를 브륄라드 드 장리스 예하와 그라스의 주교인 프란체스코 파인 앙투안 드 메그리니 예하, 프랑스 대수도원장이자 생토노레 드 레랭의 수도원장인 필리프 드 방돔 예하, 방스의 주교이자 남작인 프랑수아 드 베르통드 그리용 예하, 글라데브의 주교이자 영주인 세자르 드 사브랑 드 포르칼키에 예하, 스테의 주교이자 영주이며 왕의 상임 설교사로서 오라토리오 파인 장 소낭 예를 정식 식사에 초대했다. The portraits of these seven reverend personages decorated this apartment; and this memorable date, the 29th of July, 1714, was there engraved in letters of gold on a table of white marble. The hospital was a low and narrow building of a single story, with a small garden. Three days after his arrival, the Bishop visited the hospital. The visit ended, he had the director requested to be so good as to come to his house. "Monsieur the director of the hospital," said he to him, "how many sick people have you at the present moment?" "Twenty-six, Monseigneur." "That was the number which I counted," said the Bishop. "The beds," pursued the director, "are very much crowded against each other." "That is what I observed." "The halls are nothing but rooms, and it is with difficulty that the air can be changed in them." "So it seems to me." "And then, when there is a ray of sun, the garden is very small for the convalescents." "That was what I said to myself." 이들 일 곱명의 존귀한 인물들의 초상화가 이 식당을 장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1714년 7월 29일’ 이라는 이 기념할만한 날짜가 새하얀 대리석 석판에 금 글씨로 새겨져 있었다. 자선병원은 조그만 뜰 아하가 붙어 있는 낮고 협소한 이 층 건물이었다. 도착 후 사흘 만에 주교는 자선병원을 방문했다. 그는 방문을 끝내며 원장에게 자기 집에 와 주기를 청했다. “원장님, 환자가 모두 몇이나 됩니까?” “모두 스물여섯입니다, 예하.” “내가 본 바로도 그랬습니다.” “침대가 너무나. . . ” 원장이 말을 이었다. “붙어 있지요.” “내 생각도 그러했습니다.” “통풍도 잘 안 되고요.” “내가 본 바로도 그랬습니다.” “햇빛이 비추는 시간에도 뜰은 모든 환자가 산책하기에는 너무나 좁지요.” “내 생각도 그랬습니다.”
"In case of epidemics, -we have had the typhus fever this year; we had the sweating sickness two years ago, and a hundred patients at times, -we know not what to do." "That is the thought which occurred to me." "What would you have, Monseigneur?" said the director. "One must resign one's self." This conversation took place in the gallery dining-room on the ground-floor. The Bishop remained silent for a moment; then he turned abruptly to the director of the hospital. "Monsieur," said he, "how many beds do you think this hall alone would hold?" "Monseigneur's dining-room?" exclaimed the stupefied director. The Bishop cast a glance round the apartment, and seemed to be taking measures and calculations with his eyes. "It would hold full twenty beds," said he, as though speaking to himself. Then, raising his voice:- “만약 전염병이라도 돈다면-올해는 티푸스가 돌았고, 재작년에는 좁쌀결핵이 돌아서-환자 수가 백 명에 이를 때도 있는데 아무런 대책이 없습니다.” “나도 병원을 돌며 같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쩔 수 없지요.” 원장이 말했다. “포기하는 수밖에요.” 이 대화는 주교관 맨 아래층의 회랑 식당에서 이어지고 있었다. “원장님, 여기에 침대를 몇 개나 더 놓을 수 있을까요?” 원장은 깜짝 놀라서 소리를 쳤다. “예하의 여기 이 식당 말입니까?” 주교는 방 안을 둘러보며 길이와 너비를 눈대중으로 재 보았다. “스무 개 정도는 충분히 놓을 수 있을지도. . .” 주교는 혼잣말을 하듯 중얼거렸다. 그러고는 목소리를 가다듬고 말을 이었다.
"Hold, Monsieur the director of the hospital, I will tell you something. There is evidently a mistake here. There are thirty-six of you, in five or six small rooms. There are three of us here, and we have room for sixty. There is some mistake, I tell you; you have my house, and I have yours. Give me back my house; you are at home here." On the following day the thirty-six patients were installed in the Bishop's palace, and the Bishop was settled in the hospital. M. Myriel had no property, his family having been ruined by the Revolution. His sister was in receipt of a yearly income of five hundred francs, which sufficed for her personal wants at the vicarage. M. Myriel received from the State, in his quality of bishop, a salary of fifteen thousand francs. On the very day when he took up his abode in the hospital, M. Myriel settled on the disposition of this sum once for all, in the following manner. We transcribe here a note made by his own hand:- “원장님, 이것은 짚고 넘어갈 만한 일이니 말씀을 드리지요. 당신의 병원에는 자그마한 방을 스물여섯 명이나 쓰고 있지만, 여기는 세 사람이 예 순 명이 쓸 수 있는 공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어것은 분명 잘못이지요. 당신이 여기에 와서 지내고, 내가 그곳으로 가서 사는 게 마땅합니다. 그러니 내가 살 집을 비워 주십시오. 여기는 이제부터 당신의 집입니다.” 이튿날, 스물여섯 명의 환자는 주교관으로 거처를 옮겼고, 주교는 병원으로 이사를 했다. 미리엘 주교는 재산이 거의 없었다. 자신의 집안은 혁명으로 몰락한지 오래였다. 누이동생은 500프랑 정도의 종신연금을 받고 있어 주교관에서도 자신의 생활을 꾸려 갈 수 있었다. 미리엘 씨는 국가에서 1만 5천 프랑의 봉급을 받고 있었다. 그는 자선병원으로 이사를 한 날, 그 돈을 이렇게 쓰기로 마음먹었다. 그가 손수 적은 예산서의 내용은 이렇다.
NOTE ON THE REGULATION OF MY HOUSEHOLD EXPENSES. 우리집 지출 예산서
For the little seminary. . .1,500 livres(신학 예비교를 위해)
Society of the mission. . . 100"(전도회)
For the Lazarists of Montdidier. . .100"(몽디디에의 성 자라로 회원에게)
Seminary for foreign missions in Paris. . .200"(파리 외국 선교회 신학교)
Congregation of the Holy Spirit. . .150"(성령 수도회)
Religious establishments of the Holy Land. . .100"(성지 종교회관)
Charitable maternity societies. . .300"(성모 자선회)
Extra, for that of Arles. . . 50"(아를 자선회)
Work for the amelioration of prisons. . .400"(감옥 개선 작업)
Work for the relief and delivery of prisoners. . .500"(죄수 위문 및 구제 사업)
To liberate fathers of families incarcerated for debt 1,000"(빚으로 복역 중인 가장의 석방을 위해)
Addition to the salary of the poor teachers of the diocese. . .2,000"(관할 교구의 가난한 교사 보조)
Public granary of the Hautes-Alpes. . . 100"(오트알프의 곡물 저장고)
Congregation of the ladies of D-, of Manosque, and of Sisteron, for the gratuitous instruction of poor girls. . .1,500"(빈민 여인의 무료 교육을 위한 디뉴, 마노스크, 시스트롱 각 지구의 부인 수도회)
For the poor. . .6,000"(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My personal expenses . . .1,000"(내 개인 비용)
Total . . .15,000"(합계)
M. Myriel made no change in this arrangement during the entire period that he occupied the see of D- As has been seen, he called it regulating his household expenses. This arrangement was accepted with absolute submission by Mademoiselle Baptistine. This holy woman regarded Monseigneur of D- as at one and the same time her brother and her bishop, her friend according to the flesh and her superior according to the Church. She simply loved and venerated him. When he spoke, she bowed; when he acted, she yielded her adherence. Their only servant, Madame Magloire, grumbled a little. It will be observed that Monsieur the Bishop had reserved for himself only one thousand livres, which, added to the pension of Mademoiselle Baptistine, made fifteen hundred francs a year. On these fifteen hundred francs these two old women and the old man subsisted. 디뉴의 주교직을 수행하는 동안 미리엘 주교는 이러한 예산안을 변경 없이 시행했다. 그는 이것을 위해 쓰인 것과 같이 ‘우리 집 지출 예산서’ 라고 불렀다. 바티스틴 양 또한 이 방침에 순응했다. 이 성스러운 노처녀에게 디뉴의 주교란 오빠이자 주교였으며, 그들 사이로 치자면 다정한 벗이었고 성당에서는 상사였다. 바티스틴 양은 그를 존경하며 사랑하고 있어싿. 주교가 지시를 내리면 조용히 그 말을 따랐으며, 어떤 일이든 먼저 나서서 도왔다. 하지만 하녀 마글루아르 부인 가끔 불평을 늘어놓았다. 예산서에 적힌 것처럼 주교는 1년에 1천 리브르만을 썼고, 비티스틴 양의 연금과 합쳐 보아야 1년에 1500프랑이 될 뿐이어싿. 그 1500프랑으로 노인과 두 노부인이 살아가야 했던 것이다.
And when a village curate came to D-, the Bishop still found means to entertain him, thanks to the severe economy of Madame Magloire, and to the intelligent administration of Mademoiselle Baptistine. One day, after he had been in D- about three months, the Bishop said: - "And still I am quite cramped with it all!" "I should think so!" exclaimed Madame Magloire. "Monseigneur has not even claimed the allowance which the department owes him for the expense of his carriage in town, and for his journeys about the diocese. It was customary for bishops in former days." "Hold!" cried the Bishop, "you are quite right, Madame Magloire." And he made his demand. Some time afterwards the General Council took this demand under consideration, and voted him an annual sum of three thousand francs, under this heading: Allowance to M. the Bishop for expenses of carriage, expenses of posting, and expenses of pastoral visits. 그러나 마을의 주임 사제가 디뉴에 오면, 마글루아르 부인의 엄격한 절약 정신과 바티스틴 양의 알뜰한 살림 덕분에 주교는 그런대로 손님을 접대할 수가 있었다. 디뉴 생활이 석달 쯤 접어들었을 때, 주교가 말을 꺼냈다. “이렇게 해서는 조금 쪼들리겠군.” “그럴 수밖에요.” 마글루아르 부인이 소리쳤다. “주교님께서 시내를 갈 때 드는 마차 삯이나 교구 순회 때 드는 연금조차 청구하지 않으시니 그렇지요. 이전이 주교님들은 모두 청구하셨는걸요.” “그렇군.” 주교는 말을 이었다. “당신의 말이 옳습니다. 마글루아르 부인.” 그는 그 비용을 청구했다. 얼마 뒤 도의회에서는 청구에 대한 협의회가 열리고, 다음과 같은 명목으로 그에게 3천 프랑씩을 지불하기로 했다. - 사륜마차, 역마차비 및 교구 순회 비용을 주교에게 지급하겠음.
This provoked a great outcry among the local burgesses; and a senator of the Empire, a former member of the Council of the Five Hundred which favored the 18 Brumaire, and who was provided with a magnificent senatorial office in the vicinity of the town of D-, wrote to M. Bigot de Preameneu, the minister of public worship, a very angry and confidential note on the subject, from which we extract these authentic lines:- "Expenses of carriage? What can be done with it in a town of less than four thousand inhabitants? Expenses of journeys? What is the use of these trips, in the first place? Next, how can the posting be accomplished in these mountainous parts? There are no roads. No one travels otherwise than on horseback. Even the bridge between Durance and Chateau-Arnoux can barely support ox-teams. These priests are all thus, greedy and avaricious. This man played the good priest when he first came. Now he does like the rest; he must have a carriage and a posting-chaise, he must have luxuries, like the bishops of the olden days. 그러자 시민층의 반발이 이어졌다. 그리고 그 틈을 타서 구고히 상원 의원이자 혁명력 2월 18일 사건에 공을 세운 오백연회의 한 사람으로 엄청 난 재산을 세습받은 누군가가 종교 대신 비고 드 프레아므뇌씨에게 항의 편지를 보냈다. 그 가운데 몇 줄을 여기에 옮겨 보면 이렇다. “사륜마차비라니요? 인구 4천도 안 되는 작은 도시에서 그게 합당한 명목입니까? 역마차비및 교구 순회 비용이라니요. 대체 어디를 순회한다는 것이지요? 이런 산동에서 어떻게 역마차를 타고 달릴 수 있답니까? 마찻길도 없어서 말에 올라 겨우 지나다닐 지경인데 말이지요. 샤토아르누로 뻗은 뒤랑스 강의 다리만 해도 아찔합니다. 이륜마차도 지나기 힘들어요. 사제들은 다 그런 썩어 빠진 생각을 갖고 있지요. 어찌나 탐욕스러운지 모릅니다. 이번에 부임한 사제도 처음에는 선량한 사도처럼 굴었지요. 하지만 지금 보니 예전의 주교들과 다른 것이 없군요. 그에게 사륜마차와 역마차가 필요하다니요. 그는 사치와 호사를 누리고 싶어 안달이 난 겁니다.
Oh, all this priesthood! Things will not go well, M. le Comte, until the Emperor has freed us from these black-capped rascals. Down with the Pope! [Matters were getting embroiled with Rome.] For my part, I am for Caesar alone." Etc., etc. On the other hand, this affair afforded great delight to Madame Magloire. "Good," said she to Mademoiselle Baptistine; "Monseigneur began with other people, but he has had to wind up with himself, after all. He has regulated all his charities. Now here are three thousand francs for us! At last!" That same evening the Bishop wrote out and handed to his sister a memorandum conceived in the following terms: - 정마로 사제들이란 똑같군요! 백작님, 황제 페하께서 저희를 이런 더러운 사제들로부터 해방시켜 주시기 전까지는 이런 작태가 끝나지 않을 겁니다. 교황을 타도하라! - 그 즈음에 여러 가지 일로 로마와 분규가 있었다. - 저는오직 황제 폐하만을 위해 봉사하는 사람입니다. 그러나 마글루아르 부인은 이와 반대로 무척 기뻐했다. 그녀는 바티스틴 양엑 이렇게 말헸다. “얼아마 잘된 일이지 몰라요. 주교님께서는 모든 것을 남을 위해 베풀고자 하셨지만 결국 본인의 일을 하시기 위해서는 비용이 필요하지요. 자선사업에 대한 기금은 이미 정해져 있으니 3천 리브르는 우리가 쓰게 되겠군요!” 그날 밤 주교는 다른 한 장의 예산서를 적어서 누이동생 바티스틴 양에게 주었다.
EXPENSES OF CARRIAGE AND CIRCUIT.(마차와 순회 비용)
For furnishing meat soup to the patients in the hospital. 1,500 livres(자선병원 환자에게 줄 고깃국)
For the maternity charitable society of Aix . . . 250"(엑스의 성모 자선회에게)
For the maternity charitable society of Draguignan . . . 250"(드라기냥의 성모 자선회에게)
For foundlings . . . 500"(버려진 아이들에게)
For orphans . . . 500"(고아들에게)
Total . . . 3,000"(합계)
Such was M. Myriel's budget. As for the chance episcopal perquisites, the fees for marriage bans, dispensations, private baptisms, sermons, benedictions, of churches or chapels, marriages, etc., the Bishop levied them on the wealthy with all the more asperity, since he bestowed them on the needy. After a time, offerings of money flowed in. Those who had and those who lacked knocked at M. Myriel's door, -the latter in search of the alms which the former came to deposit. In less than a year the Bishop had become the treasurer of all benevolence and the cashier of all those in distress. Considerable sums of money passed through his hands, but nothing could induce him to make any change whatever in his mode of life, or add anything superfluous to his bare necessities. 이것이 미리엘 주교의 두 번째 예산서였다. 주교는 관할 교구에서 받는 성식 사례비- 결혼 공시 면제, 결혼 허가, 영세, 강론, 성체강복식, 결혼식 등에서 얻는 수익 - 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기 위해서 많이 징수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현금이 많이 모였다. 많이 가진 자도 적게 가진 자도 미리엘 주교에게 찾아왔다. 어떤 사람은 베풀기 위해서 왔고, 어떤 사람은 도움을 받았다. 주교는 1년이 지나지 안ㄴㅎ아서 모든 자선단체와 가난한 모임의 회계원이 되었다. 거액의 돈이 그를 거쳐 들어오고 빠져 나갔다. 그러나 그의 생활은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그는 그 무엇도 자신을 위해서 사용하지 않았다.
Far from it. As there is always more wretchedness below than there is brotherhood above, all was given away, so to speak, before it was received. It was like water on dry soil; no matter how much money he received, he never had any. Then he stripped himself. The usage being that bishops shall announce their baptismal names at the head of their charges and their pastoral letters, the poor people of the country-side had selected, with a sort of affectionate instinct, among the names and prenomens of their bishop, that which had a meaning for them; and they never called him anything except Monseigneur Bienvenu [Welcome]. We will follow their example, and will also call him thus when we have occasion to name him. Moreover, this appellation pleased him. "I like that name," said he. "Bienvenu makes up for the Monseigneur." We do not claim that the portrait here with presented is probable; we confine ourselves to stating that it resembles the original. 아마 그럴 찰나의 여유도 없었을 것이다. 세상에는 늘 인정 많은 자들이 어려운 자들보다 적은 법이다. 얻은 것들은 쌓이기도 전에 술술 빠져 나갔다. 아무리 많은 기금을 받아도 주교는 빈털터리였다. 그래서 주교는 입고 있는 옷조차 주어야 할 판이었다. 관습상 주교는 모든 종교상의 명령이며 교서의 첫머리에 본인의 세례명을 쓰게 되어 있었다. 이 마을의 가난한 자들은 어떤 본능적인 힘이 이끌렸는지, 주교의 긴 이름 중에서 자신들에게 애착이 느껴지는 ‘환영’이라는 뜻의 비앵브뉘를 골라 주교를 비앵브뉘 예하라고 불렀다. 그러니 우리도 그를 그렇게 불러야 할 것이다. 주교 역시 그 호칭을 마음에 들어 했다. “나 역시 그 이름이 좋군. 비앵브뉘라는 말은 예하라는 말을 한층 부드럽게 해 주니까.” 그는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여기에서 나타나는 그의 모습이 진실 그대로인지는 알 수 없다. 그저 비슷하다고는 말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