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금북기맥(錦北岐脈) 개념
산경표(山經表)에 의하면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 호서정맥)은 백두대간의 속리산 천황봉(1,058m)에서 서쪽으로 분기해서 말티고개, 선도산(547m), 상당산성, 좌구산(657m), 보현산(481m)을 지나 안성 칠장산(516m)에서 두 개의 산줄기로 나누어 진다.
하나는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을 지나 한강까지 이어지는 한남정맥(漢南正脈) 이고, 다른 하나는 남서쪽으로는 태안반도에 있는 안흥진까지 이어지는 금북정맥(錦北正脈)이다.
그러나 산경표의 금북정맥((錦北正脈)은 금강(錦江)과 별로 관계가 없는 오서산, 가야산을 경유한데다, 실질적인 의미에서 금강의 북쪽 수계를 경계 짓지 못한다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그래서 금북정맥의 백월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해서 성태산(624m), 조공산(399m), 월하산(423m), 월명산(544m), 옥녀봉(388m), 봉림산(346m), 오석산(127m), 남산(147m), 중태산(102m), 왕개산(98Mm)을 지나 장항 앞바다의 금강에서 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69.4km인 산줄기를 금북기맥(錦北岐脈) 또는 호서기맥(湖西岐脈) 이라고 칭하고, 이 산줄기가 실질적인 의미에서 금강의 북쪽 수계를 경계 짓는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박성태님의 신산경표(新山經表)에서는 속리산 천황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장항 앞바다에 이르는 산줄기를 호서정맥(湖西正脈) 이라 칭하고, 백월산에서 안흥진에 이르는 산줄기를 금북기맥(錦北岐脈) 이라 서로 다르게 칭하고 있으니 금북정맥, 호서정맥, 금북기맥, 호서기맥의 개념을 정리할 때 유념해야 할 부분이다.
○ 금북기맥(錦北岐脈)의 주요 산
(금북정맥 백월산)-성태산(624m)-조공산(399m)-월하산(423m)-월명산(544m)-옥녀봉(368m)-봉림산(346m)-오석산(127m)-남산(147m)-서대산(104m)-중대산(102m)
2. 한강기맥(漢江岐脈)은 오대산국립공원의 두로봉(1422m)에서 시작하여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의 두물머리(북한강과 남한강의 합수점)까지 이어지는 총길이 167km의 산줄기다.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나와 북한강과 남한강을 가르며 서쪽으로 가다가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지점인 두물머리에서 끝이 난다. 주로 800m 이상의 높은 산들로 이루어져 있고 길이가 남한의 다른 기맥보다 길어 정맥에 버금가는 수준이다. 오대산(1539m), 계방산(1577m), 발교산(995m), 용문산(1157m), 청계산(656m) 등을 지나며 도중에 주왕지맥, 춘천지맥, 백덕지맥, 성지지맥 등이 분기한다.
두로봉(1422m, 백두대간에서 분기)-두로령-상왕봉(1491m)-오대산(1539m)-비로봉(1563m)-(주왕지맥분기)-계방산(1577m)-운두령(1086m, 국도 제31호선 통과)-보래령(1055m, 지방도 제424호선 통과)-불발현-(춘천지맥분기)-구목령-(백덕지맥분기)-운무산(980m)-먼드래재(국도 제19호선 통과)-수리봉(959m)-대학산(876m)-덕구산-응곡산(603m)-만대산-작은삼마치(중앙고속국도 통과)-오음산(930m)-삼마치(국도 제5호선 통과)-금물산(774m, 성지지맥분기)-시루봉-갈기산(685m)-신당고개(국도 제44호선 통과)-밭배고개(국지도 제70호선 통과)-비솔고개(지방도 제345호선 통과)-용문산(1157m)-배너머고개-유명산(862m)-농다치고개-청계산(658m)-벗고개-두물머리
3. 진양기맥 이란?
백두대간 남덕유산에서 동쪽으로 분기해 월봉산(1280m), 금원산(1353m.), 기백산(1331m.), 매봉산(750m.),
소룡산(780m.),황매산(1108m.), 철마산(378m.), 한우산(746m.), 자굴산(897m.), 광제봉(347m.)을 지나 진양호로
빠져드는 도상거리 약159km의 산줄기를 말한다.
4. 영산기맥이란?
호남정맥의 내장산과 백암산사이의 순창새재 바로 윗봉에서 분기하여(530m),입암산(655m),
방장산(742.8m),문수산(620.5m),구황산(480m),고산(520m),고성산(546.3m),월랑산(440m),
태청산(93.3m),장암산(481.5m),불갑산(515.9m),모악산(347.8m),군유산(403.2m),발봉산(180.8m),
감방산(257.0m),병산(130.7m),남산(189.0m),마협봉(290.0m),승달산(317.7m),국사봉(283.0m),
지적산(183.0m),대박산(155.6m),양을산(151.0m)을 지나 목포시 유달산(228m)에서 다순금에
이르는 도상거리 159.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5. 금강기맥(錦江岐脈)
산경표의 금남정맥(錦南正脈)은
진안 주화산을 출발해 운장산, 대둔산, 계룡산을 지나
부여의 부소산 넘어 백마강 구드레나루에서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120km인 산줄기이다.
대동여지도의 금남정맥(大東錦南正脈)은 진안과 완주의 경계를 이루는 금만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해서 금강과 만경강을 뚜렷하게 가로 지으면서 군산 점방산에서 서해바다에
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120km인 산줄기 이다.
그런데 산경표의 금남정맥은
"산은 물을 가르는 경계(山自分水嶺)"라는 물가름의 원칙으로 볼 때 오류라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산경표의 원리에 충실하자면 금남정맥은 금만봉에서 분기해서 금강과 만경강의 수계를 가로 지으면서
군산 점방산까지 이어진 대동여지도의 금남정맥이 더 합당하다는 것이다.
금강기맥(錦江岐脈)은 김정호님의 대동여지도에서 금남정맥(錦南正脈) 이라 표기되어 있어
대동금남정맥(大東錦南正脈) 이라고도 불리우고 있는데
옛 백제의 숨결이 오롯이 남은 전주, 익산 땅을 크게 휘어 감으며 지나는 산줄기로서,
전북 완주군과 진안군의 경계에 위치한 금만봉(750m)에서 서쪽으로 분기해서 금강과 만경강을 가로 지으면서
군산의 점방산까지 이어진 120km인 산줄기이다.
금호남정맥상의 진안군 주줄산에서 분기한 산경표의 금남정맥이 장군봉과 태평봉수대
중간에 위치한 금만봉(750m) 에서 대동금남정맥과 산경표의 금남정맥은 각각 갈라진다.
대동금남정맥(금강기맥)은
금만봉(750m)에서 서쪽으로 분기해서 왕사봉(718.3m),칠백이고지(700.8m), 불명산(480m), 작봉산(419.6m),
성태봉(371.3m), 천호산(501m)을 지나 용화산(342m), 미륵산(429.6m)에 이르기까지
산줄기 다운 형국을 보이다가 미륵산 이후로 온전히 낮아져 바다에 합류하기 전까지
금강과 만경강의 눈높이를 맞춘다.
미륵산 이후의 최고봉이 익산시 웅포면과 함라면의 경계에 솟은 236m의 봉화산일 만큼
비산비야의 산세를 보여준다.
삼기면, 함열읍, 황등면, 함라면 일대의 허허벌판을 지나면서
절묘하게 물길을 가르며 군산 점방산을 지나 서해바다 까지 이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6.땅끝기맥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북한땅을 지나고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소백산, 속리산, 덕유산을 지나
지리산을 향해 남으로 남으로 달려가던 백두대간상의 영취산에서 금남호남지맥이 분기한다.
금남호남정맥은 장안산, 팔공산, 마이산을 지나 주화산에서 그 맥을 다하고 금남정맥과 호남정맥으로 갈라진다.
내장산, 강천산, 무등산을 지나 남으로 내려오던 호남정맥의 바람봉(430m)에서 땅끝기맥이 분기한다.
땅끝기맥은 국사봉(613m), 월출산(809m), 도갑산(401m), 월각산 (456m), 주작산(428m),
두륜산(703m),달마산(489m), 도솔봉(416m)을 지나 땅끝의 사자봉(109m) 까지
약 120km를 잇는 산줄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