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39장
昔之得一者. 天得一以淸, 地得一以寧, 神得一以靈, 谷得一以盈, 萬物得一以生, 侯王得一以爲天下貞, 其致之一也. 天無以淸, 將恐裂, 地無以寧, 將恐發, 神無以靈, 將恐歇, 谷無以盈, 將恐竭, 萬物無以生, 將恐滅, 侯王無以爲貞而貴高, 將恐蹙. 故貴以賤爲本, 高以下爲基. 是以侯王自謂, 孤·寡·不穀, 此其以賤爲本邪. 非乎. 故至譽無譽, 不欲琭琭如玉, 珞珞如石.
(아주 먼) 옛날, 그것은 하나(一; 無爲·自然·德·道·性·命)를 얻었(는데, 따라서 이렇게 되었)다. 하늘은 하나一를 얻었는데, 따라서 (유위가) 텅 빈 바에 이르게 되었고, 땅은 하나一를 얻었는데, 따라서 (유위가) 조용한 바에 이르게 되었으며, 신령스러운 바(神; 陰·陽·魂·魄·性·命)는 하나一를 얻었는데, 따라서 (유위가) 텅 빈 바에 이르게 되었고, (큰) 계곡(물)은 하나一를 얻었는데, 따라서 (온갖 작은 계곡물이 찾아들어) 채워지게 되었으며, 만물은 하나一를 얻었는데, 따라서 (본래 저절로 그러한 성性·명命대로) 살아가게 되었고, 제후와 임금은 하나一를 얻었는데, 따라서 천하(의 일삼는 바)가 (무위에 대해) 곧아지게 되었다. (아주 먼 옛날) 그것은 (모두 하나一를 얻었는데, 따라서 모두 무위) 그것에 이르게 되었고, (모두 무위, 그것과 더불어) 한 가지가 되게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하늘은 (유위를 가지는 바가) 없고, (무위에 대해) 맑으며, 장차 (유위를 가지는 바가 있음으로써, 일부러 일삼아) 찢어지게 될 것을 두려워하고, 땅은 (유위를 가지는 바가) 없고, (무위에 대해) 편안하며, 장차 (유위를 가지는 바가 있음으로써, 일부러 일삼아 왼쪽 오른쪽으로) 흔들리게 되고, (일부러 일삼아 위 아래로) 움직여지게 될 것을 두려워하며, 신령스러운 바는 (유위를 가지는 바가) 없고, (무위에 대해) 신령스러우며, 장차 (유위를 가지는 바가 있음으로써, 신령스러운 바가 일부러 일삼아 끝점을) 다하게 되고, (일부러 일삼아) 사라지게 될 것을 두려워하며, (큰) 계곡(물)은 (유위를 가지는 바가) 없고, (온갖 작은 계곡물이 찾아들어) 채워지며, 장차 (유위를 가지는 바가 있음으로써, 일부러 일삼아) 메마르게 될 것을 두려워하고, 만물은 (유위를 가지는 바가) 없으며, (본래 저절로 그러한 성性·명命대로) 살아가고, 장차 (유위를 가지는 바가 있음으로써, 일부러 일삼아) 사라지게 될 것을 두려워하며, 제후와 임금은 (유위를 가지는 바가) 없고, (천하의 일삼는 바가 무위에 대해) 참되어지게 하는 바를 일삼으며, 귀하게 여겨지고, (받들어) 높여지며, 장차 (유위를 가지는 바가 있음으로써, 일부러 일삼아) 엎어지게 되고, 넘어지게 될 것을 두려워한다. 따라서 (제후와 임금은 이미) 귀한 바이지만, (스스로 백성이) 천하게 여기는 바로써, (일삼는 바의) 근본을 삼아야 하고, (이미) 위가 되는 바이지만, (스스로 백성의) 아래가 되는 바로써, (일삼는 바의) 근본을 삼아야 한다. 따라서 제후와 임금은 스스로 (자신을) “고(孤; 부모가 없는 사람)”, “과(寡; 가진 바가 있는 덕스러움德이 작은 사람)”, “불곡(不穀; 덕스러움德을 잘 일삼지 못하는 사람)”이라 일컫는데, 이것은 그들이 (스스로 백성이) 천하게 여기는 바로써, (자신이 일삼는 바의) 근본을 삼는 모습이다. 아닌가? 따라서 (제후와 임금은 저절로 그러하게) 아름답게 이름 지어 불리는 바에 이르러야 하고, (일부러 일삼아) 아름답게 이름 지어 불리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어야 하며, (유위가) 단단한 옥玉이나 굳센 돌과 같이 되는 바를 일삼고자 하지 않아야 한다.
一者, 至道之精也. 不貳, 之謂一. 不雜, 之謂一. 不息, 之亦謂一.
하나一는 (무위無爲가) 지극한 도(道; 自然·性)로서 (무위無爲가 지극히) 면밀한 바(精; 德·命)이다. (무위無爲에 대해) 두 가지 마음을 품지 않는 바, 그것이 하나一이다. (유위有爲에 대해 마음을) 뒤섞지 않는 바, 그것이 하나一이다. (무위無爲에 대해 한 가지 마음을 품는 바를) 멈추지 않는 바, 그것이 하나一이다.
得一者, 必至誠, 而無忘. 必至靜, 而無爲. 必至虛, 而無欲. 又必冲退謙約, 而不敢多.
(따라서) 하나一를 얻은 것은 반드시 (무위無爲가) 참된 바에 이르게 되고, 따라서 (무위無爲를) 어긋나거나 벗어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된다. 반드시 (유위有爲가) 조용한 바에 이르게 되고, 따라서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된다. 반드시 (유위有爲가) 텅 빈 바에 이르게 되고, 따라서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된다. 반드시 (유위有爲를) 텅 비우게 되고, (무위無爲의 뒤로) 물러나게 되며, (무위無爲의) 아래에 자리하게 되고, (무위無爲와 더불어) 얽히고설키게 되며, 따라서 감히 (유위有爲를) 많아지게 하지 않게 된다.
詩云, 維天之命, 於穆不已, 一也. 子思曰, 其, 爲物, 不貳. 則其, 生物, 不測, 一也. 記曰, 王, 中心, 無爲也, 守至正, 一也. 老子曰, 專氣致柔, 能嬰兒乎, 亦一也.
『시경詩經』 (「주송周頌·청묘지십淸廟之什」)은 일컬었다. “하늘의 명령은 (무위無爲에 대해) 부드러운데, 따라서 끊어지지 않는다.” (비유컨대, 무위無爲에 대해 부드러우며, 따라서 끊어지지 않는 바, 이것이) 하나一이다. 자사子思는 (『중용中庸』 제26장에서) 일컬었다. “(하늘과 땅의 이치) 그것은 만물을 일삼는 데 있어서 (무위無爲에 대해) 두 가지 마음을 품지 않는다. 따라서 그것은 만물을 살아가게 하는 데 있어서 (공능功能이) 헤아려지지 않게 된다.” (비유컨대, 무위無爲에 대해 두 가지 마음을 품지 않고, 따라서 공능功能이 헤아려지지 않는 바, 이것이) 하나一이다. 『예기禮記』는 (「예운禮運」에서) 일컬었다. “임금은 (자신의) 마음을 (무위無爲의) 가운데 자리하게 해야 하고, (따라서 스스로)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해야 한다. (무위無爲가) 참된 바에 이르고, (그것을) 지켜야 한다.” (비유컨대, 무위無爲가 참된 바에 이르고, 그것을 지키며,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無爲, 이것이) 하나一이다. 노자는 (제10장에서) 일컬었다. “기氣를 (무위無爲에 대해) 오롯해지게 하고, (무위無爲에 대해) 부러운 바에 이르게 하여, 어린아이와 같이 될 수 있는가?” (비유컨대, 무위無爲에 대해 오롯하고, 부드러우며, 따라서 어린아이와 같이 된 바, 이것이) 하나一이다.
天曰淸, 神曰靈, 以至虛言也. 地曰寧, 以至靜言也. 然亦皆唯不貳不息以致之. 若有物, 以間且雜之, 則失其至精之軆, 而化機. 或幾乎息矣. 谷, 如江海. 所以能爲白谷王之谷. 虛而能下. 爲水之所歸者也. 貞, 正也. 常也. 而有主宰之意. 易, 曰天下之動, 貞. 夫一者也. 其致之一之一, 猶今言一般之意.
하늘이 맑아졌다는 말과 신령스러운 바(神; 陰·陽·魂·魄·性·命)가 신령스러워졌다는 말은 (아주 먼 옛날, 하늘과 신령스러운 바는 하나一를 얻었는데) 따라서 (하늘과 신령스러운 바는 유위有爲가) 텅 빈 바에 이르게 되었다는 뜻이다. 땅이 편안해졌다는 말은 (아주 먼 옛날, 땅은 하나一를 얻었는데) 따라서 (땅은 유위有爲가) 조용한 바에 이르게 되었다는 뜻이다. 요컨대, (아주 먼 옛날, 하늘, 신령스러운 바, 땅은 무위無爲에 대해) 두 가지 마음을 품지 않고, (무위無爲에 대해 한 가지 마음을 품는 바를) 멈추지 않았는데, 따라서 (하늘, 신령스러운 바, 땅은 유위有爲가 텅 빈 바와 조용한 바) 그것에 이르게 되었다. 만약, (아주 먼 옛날, 하늘, 신령스러운 바, 땅이) 유위(有爲; 物)를 가지는 바가 있음으로써, (그 마음에) 틈을 벌렸거나, (그 마음에 유위有爲) 그것을 뒤섞었다면, 그 (무위無爲가) 지극하고 면밀한 몸을 잃어버리게 되었고, 따라서 (그) 틀(機; 軆)을 달리하게 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어찌 (아주 먼 옛날, 하늘, 신령스러운 바, 땅이 무위無爲에 대해 한 가지 마음을 품는 바를) 멈출 수 있었겠는가? (큰) 계곡(물)은 강과 바다(의 모습과 더불어) 같이 한다. (이러한 모습을) 할 수 있음으로써, 온갖 (작은) 계곡(물)의 임금인 (큰) 계곡(물)이 되게 된다. (큰 계곡물은 자신의 유위有爲를) 텅 비우는데, 따라서 (온갖 작은 계곡물의) 아래에 자리하게 된다. (따라서 큰 계곡물은 온갖 작은 계곡) 물이 찾아드는 바가 되게 되는 것이다. (『역경易經』 「계사하繫辭下」에 따르면) 정貞은 “(무위無爲에 대해) 참되어지게 되었다”는 말이다. “(무위無爲에 대해) 늘 그러해지게 되었다”는 말이다. (유위有爲를) 주재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게 되었다는 뜻이다. (따라서) 『역경易經』은 (「계사하繫辭下」에서) 일컬었다. “천하의 일삼는 바가 (무위無爲에 대해) 곧아지게 된다. (천하의 일삼는 바가 무위無爲에 대해 곧은 바와 더불어) 하나가 되게 된다.” 기치지일其致之一에서 일一은 (무위無爲와 더불어) 한 가지가 되게 되었다는 뜻이다.
發, 震動也. 歇, 息滅也. 蹙, 顚跌也. 天地以下五者, 皆與自然爲軆. 雖欲不一, 而不可得也. 唯侯王, 有得一者. 有不得一者. 故章, 末專言, 侯王之事. 侯王之, 所以蹙. 恒多, 由驕溢. 故又專言, 冲退謙約之意. 自此以下八章, 又皆因此, 而推暢之. 玆, 實老子用世應物之宗旨也.
발發은 (일부러 일삼아 왼쪽 오른쪽으로) 흔들리게 되고, (위 아래로) 움직여지게 된다는 말이다. 헐歇은 (일부러 일삼아 끝점을) 다하게 되고, 사라지게 된다는 말이다. 축蹙은 (일부러 일삼아) 엎어지게 되고, 넘어지게 된다는 말이다. 하늘과 땅 이하의 (신령스러운 바, 큰 계곡물, 만물, 제후와 임금) 다섯 가지는 모두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 一·道·性·命·無爲)와 더불어 함으로써, (그) 몸을 일삼게 된다. 따라서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 그것과 더불어) 한 가지가 되지 않는 바를 일부러 일삼고자 하게 되면, (그 몸을) 얻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후와 임금은 하나一를 얻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하나一를 얻지 못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제후와 임금이 있다. 따라서 (이) 장은 끄트머리에 말을 전했다. (그러한) 제후와 임금이 일삼아야 할 바를. 제후와 임금이 (일부러 일삼아) 엎어지게 되고, (일부러 일삼아) 넘어지게 되는 것은 (천하를 일삼는 데 있어서) 늘 그러하게 (유위有爲를 가지는 바가) 많기 때문이고, (유위有爲를) 자랑하는 바와 흘러넘치게 하는 바를 말미암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자는 또한 이 장의 끄트머리에) 말을 전했는데, “(제후와 임금은 유위有爲를) 텅 비워야 하고, (무위無爲의 뒤로) 물러나야 하며, (무위無爲의) 아래에 자리해야 하고, (무위無爲와 더불어) 얽히고설켜야 한다”는 뜻이다. 이 장으로부터 이하 8개의 장은 모두 (유위有爲를 텅 비움, 무위無爲의 뒤로 물러남, 무위無爲의 아래에 자리함, 무위無爲와 더불어 얽히고설킴) 이것을 말미암고, 이것을 받들어 펼친다. 이것은 진실로 노자가 세상을 일삼고, 사람들과 어우러지는 근본 이치이다.
合賤, 以承貴. 有賤, 而後貴得, 以尊. 絫下, 以爲高. 有下, 而後高, 得, 而成. 此, 所謂貴以賤爲本, 高以下爲基也. 苟貴而遺賤, 高而忘下, 則失其貴與高矣.
(제후와 임금이 먼저 백성이) 천하게 여기는 바와 (더불어) 어우러져야 하는데, 따라서 (다음에 백성이 제후와 임금을) 귀한 바로 받아들이게 된다. (이른바, 제후와 임금이 먼저 백성이) 천하게 여기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어야 하는데, 따라서 다음에 (백성이 제후와 임금을) 귀하게 여기는 바가 얻어지게 되고, 따라서 (제후와 임금이 백성으로부터 귀한 바로 받들어) 높여지게 된다. (제후와 임금이 먼저 백성의) 아래가 되는 바를 쌓아야 하는데, 따라서 (다음에 백성이 제후와 임금을) 위가 되는 바로 일삼게 된다. (이른바, 제후와 임금이 먼저 백성의) 아래가 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어야 하는데, 따라서 다음에 (제후와 임금이 백성의) 위가 되는 바가 얻어지게 되고, 따라서 (제후와 임금이 백성으로부터 받들어 높여지는 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것이 “귀이천위본(貴以賤爲本; 이미 귀한 바이지만, 스스로 백성이 여기는 천한 바로써, 일삼음의 근본을 삼아야 한다), 고이하위기(高以下爲基; 이미 위가 되는 바이지만, 스스로 백성의 아래가 되는 바로써, 일삼음의 근본을 삼아야 한다)”는 말의 뜻이다. 만약, (이미) 귀하게 여겨지는 바이면서 (그 스스로) 천하게 되는 바를 내버리거나, (이미) 위이면서 (그 스스로) 아래가 되는 바를 잃어버리면, 그 귀한 바와 위가 되는 바를 (일부러 일삼아) 잃어버리게 된다.
曰孤, 曰寡人, 曰不穀, 皆人君, 自稱, 寡少也. 寡, 少也, 謂少德也. 不穀, 不善也. 皆, 不欲以美名自居也.
고孤, 과寡, 불곡不穀는 모두 임금이 스스로 (자신을) 부르는 말로서, 적고 작다는 뜻이다. 과寡는 작다는 말로서, (자신이 가지는 바가 있는) 덕스러움(德; 無爲)이 작다는 뜻이다. 불곡不穀은 (덕스러움德을) 잘 일삼지 못한다는 뜻이다. (요컨대, 고孤, 과寡, 불곡不穀은) 모두 (귀한 사람이나 위인 사람과 같은) 아름다운 이름에 스스로 머무는 바를 일삼고자 하지 않는 모습인 것이다.
非乎, 問之之辭. 猶言豈不然也.
비호非乎는 묻는 말이다. “어찌 그렇지 않겠는가?”라는 말과 같다.
譽, 美名也. 爲天下, 貞, 而不蹙, 此, 則所謂至譽也. 琭琭, 珞珞, 皆堅確之意. 得一者, 固不欲如玉, 亦不欲如石. 質美者, 固易毁, 而質堅者, 亦易傷也. 其, 唯將如水而已乎. 至譽無譽, 一本, 作致數車無車.
예譽는 아름답게 이름 지어 불리게 된다는 말이다. (예를 들어) 천하를 일삼는 데, (무위無爲에 대해) 참되고, (유위有爲로) 엎어지거나 넘어지지 않는 사람, 그는 아름답게 이름 지어 불리는 바에 이르게 된다. 록록琭琭과 락락珞珞은 모두 (유위有爲가) 단단하고 굳세다는 뜻이다. 하나一를 얻은 사람은 따라서 (유위有爲가 단단한) 옥玉과 같이 되는 바를 일삼고자 하지 않고, (유위有爲가 굳센) 돌과 같이 되는 바를 일삼고자 하지 않는다. 속바탕이 (일부러 일삼아) 아름다운 바는 따라서 쉽게 무너지게 되고, 속바탕이 (일부러 일삼아) 단단한 바는 따라서 쉽게 다치게 된다. 그는 장차 (큰 계곡)물과 (더불어) 같이 할 따름이다! 지예무예至譽無譽가 어떤 책에는 치수차무차致數車無車로 쓰여 있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