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장一章
(글자로 쓰고 읽은) 도道는 일부러 일삼아 일컫는 바와 더불어 하나가 된 도道로서,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가) 늘 그러한 도道가 아니다.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가) 늘 그러한 도道는 (일부러 일삼아 일컫는 바와 더불어 하나가 된) 도道를 가지는 바가 없다. (지어 부른) 이름은 일부러 일삼아 일컫는 바와 더불어 하나가 된 이름으로서,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가) 늘 그러한 이름이 아니다.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가) 늘 그러한 이름은 (일부러 일삼아 일컫는 바와 더불어 하나가 된) 이름을 가지는 바가 없다.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를) 이름을 가지는 바가 없는 바(無名; 常道·常名)는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른 이름을 가지는 바가 있는) 하늘과 땅의 시작점이다.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를 이름을 가지는 바가 없는 바無名는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른) 모든 이름이 (비롯되어) 나오는 바로서,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른) 이름을 가질 수 없는 바이다.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른) 이름을 가지는 바가 있는 바(有名; 可道·可名)는 (하늘과 땅과 같이,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른 이름을 가지는 바가 있는) 만물의 어미이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이 지어 부르는) 이름은 (이미) 만물에게 세워진 바(立; 性·道·自然)를 말미암아야 한다. (세상 사람들이 지어 부르는) 이름은 (이미) 만물에게 생겨진 바(生; 命·德·無爲)에게 돌아가야 한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은) 늘 그러하게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른 이름을) 가지는 바가 없어야 하며,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可道·可名·有名가) 어렴풋한 끄트머리(妙; 常道·無名)를 살피고 일삼고자 해야 한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은) 늘 그러하게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를 이름을 가지는 바가 없는 바無名를) 가지는 바가 있어야 하며,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슴푸레한 끄트머리(徼; 常名·無名)를 살피고 일삼고자 해야 한다. (이른바, 따라서 세상 사람들은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또렷한 가운데可道·有名·有欲의) 가장자리(邊; 性·道·自然·常道·無名·始·無欲)에 머물러야 하고,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뚜렷한 가운데可名·有名·有爲의) 가장자리(際; 命·德·無爲·常名·無名·母·無欲)에 머물러야 한다. (이른바,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또렷한 가운데의 가장자리에 머무는 사람,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뚜렷한 가운데의 가장자리에 머무는 사람) 이 두 사람은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렴풋한 끄트머리와 어슴푸레한 끄트머리에 대해) 같아진 바가 생겨난 사람,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또렷한 가운데와 뚜렷한 가운데에 대해) 달라진 (바가 생겨난) 사람으로 이름 지어 불리게 된다. (그) 달라진 바가 살펴지게 되고, (그) 같아진 바가 늘 그러하게 된다. (따라서 그 두 사람의 마음은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렴풋한 끄트머리와 어슴푸레한 끄트머리를) 일삼고자 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게 되고,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또렷한 가운데와 뚜렷한 가운데를) 일삼고자 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된다. (그 두 사람의) 마음은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또렷한 가운데에게 갈라지고) 나누어지거나,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뚜렷한 가운데와 더불어 아우러지고) 어우러지지 않게 된다. (그 두 사람의 마음은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렴풋한 끄트머리의) 가운데 머물게 되고,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슴푸레한 끄트머리에 대해) 늘 그러하게 된다. (그 두 사람의 마음은) 저절로 그러하게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렴풋한 끄트머리와 어슴푸레한 끄트머리를 살피는 바에 이르게 된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렴풋한 끄트머리와 더불어) 같아졌고, 이른바 (따라서 천하 사람들) 그들은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슴푸레한 끄트머리에 대해) 어렴풋해졌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 성인은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슴푸레한 끄트머리에 대해) 어렴풋해졌는데, 따라서 (천하 사람들은 모두 성인과 같이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슴푸레한 바에 대해) 어렴풋해졌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 성인은 천하 사람들) 모두가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슴푸레한 끄트머리에 대해) 어렴풋해지는 문門이었다.
道可道, 非常道. 常道無道. 名可名, 非常名. 常名無名. 故常無, 欲以觀其妙. 常有, 欲以觀其徼. 邊際也. 此兩者, 同出而異名, 異觀同常, 有欲無欲, 非分心以應, 居中執常, 自致妙徼之觀. 同謂之玄. 玄之又玄, 眾妙之門.
“가可”는 “상常”이 아니다. (왜냐하면) “상常”은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상常”은 이른바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가) “늘 그러한 바(常; 性·命·道·德·自然·無爲)”가 (뜻)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일부러 일삼아 일컫는 바와 더불어) 하나가 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가可”(의 뜻이기 때문)이다.
“可”者, 不“常”. “常”者, 無“可”. 然據“常”, 則“常”. 一, “可”也.
이러한 까닭으로 (세상 사람들은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가) “늘 그러한 바”를 어그러뜨리지 말아야 하는데, 따라서 (세상 사람들은) “(일부러 일삼아) 일컫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된다. (세상 사람들은) “늘 그러한 바”를 어그러뜨리지 말아야 하는데, 따라서 세상 사람들은 (“늘 그러한 바”로써) 그때그때의 상황에 대해 재빠르게 대응하게 되고, (더불어) 어우러지게 된다. (세상 사람들은) “(일부러 일삼아) 일컫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어야 하는데, 따라서 (“늘 그러한”) 하늘이 (세상 사람들과 더불어) 어우러지게 되고, 하나가 되게 된다.
是故不廢“常”, 而無所“可”. 不廢“常”, 則人, 機通. 無所“可”, 則天, 和一.
이른바, (유명有名은) 이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은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것으로서, 일부러 일삼아 일컬은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하늘과 땅의) “시작”이다. 이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은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것으로서, 일부러 일삼아 일컬은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만물의) “어미”이다. 따라서 노자는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렴풋한 끄트머리妙·常·性·道·自然와 어슴푸레한 끄트머리徼·常·命·德·無爲) 그것을 “살피는 바”를 기대고 더불어 (해야 한다고) 했다.
夫既有, 「始」矣. 既有, 「母」矣. 而我, 聊與「觀」之.
(이른바,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렴풋한 끄트머리나 어슴푸레한 끄트머리) 그것을 “살피는” 사람은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렴풋해지거나 어슴푸레해지는 바가) 부득이한 바를 올라타게 된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은)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또렷한 가운데나 뚜렷한 가운데에 대해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렴풋한 끄트머리나 어슴푸레한 끄트머리로) “달라지는 바”를 살펴야 한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은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또렷한 가운데를) 헤아리거나,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뚜렷한 가운데로) 옮아가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게 된다.
「觀」之者, 乘於其不得已也. 觀於其”異”. 則有無數遷.
(이른바)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렴풋한 끄트머리나 어슴푸레한 끄트머리와 더불어) “같아지는 바”를 살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사람은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렴풋한 끄트머리를) 뒤따르게 되거나,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슴푸레한 끄트머리를) 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렴풋한 끄트머리나 어슴푸레한 끄트머리와 더불어 “같아지는 바”를) 살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사람은 이른바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렴풋한 끄트머리를) 커지게 하거나,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슴푸레한 끄트머리를) 비롯되게 하지 못하게 된다.
觀於其“同”, 則有者, 後起. 而無者, 亦非大始也。
따라서 이른바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렴풋한 끄트머리에게) 나아가고,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슴푸레한 끄트머리와 더불어) 어우러지는 사람은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또렷한 가운데와 뚜렷한 가운데에 대해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어렴풋한 바와 어슴푸레한 바로 자신이) 달라지는 바를 살피게 된다.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렴풋한 끄트머리에) 자리하고,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슴푸레한 끄트머리를) 기대는 사람은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렴풋한 바와 어슴푸레한 끄트머리에 대해 자신이) 같아지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게 되는 바를) 살피게 된다.
然則往以應者, 見異矣. 居以俟者, 見同矣.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어렴풋한 바와 어슴푸레한 바로써) 천하 사람들을 (먹여) 길렀고, 따라서 (천하 사람들은) 그 (자신들의) 씨앗(仁; 性·道·自然)을 죽이지 않았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천하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속이는 바(僞; 有爲)에 대해 그때그때 재빠르게 대응하는 바로 들어갔고, 따라서 (천하 사람들은) 그 (일부러 일삼아 일컬을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또렷한 바와 뚜렷한 바가) 날카로운 바(銳; 有爲)와 (더불어) 어우러지지 않았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천하 (사람들)의 마음(情; 仁·命·德·無爲)를 (자신의 마음으로) 알아차렸고, (따라서 천하) 사람들은 이른바 성인을 일부러 일삼아 받들지 않았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자신의) 한 몸(己; 有爲)을 내버렸고, (따라서) 천하 사람들은 (자신들의 한 몸無爲이) 남아도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었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자신의 한 몸有爲을) 붙잡지 않았고, 따라서 이른바 (천하 사람들은 자신들의 한 몸無爲에 대해) 새로워지는 바로 치우쳤다.
故食萬物, 而不屍其仁. 入機偽, 而不逢其銳. 知天下之情, 不強人以奉己. 棄一己, 之, 餘. 不執, 故以迷新.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천하 사람들은) 그 (성인의) 공功을 이름 지어 부를 수 없었다. 따라서 (노자는) 그것을 글자로 써서 일컬었다. “(따라서 천하 사람들은) 모두 (유위有爲에 대해) 어렴풋해졌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성인) 그는 (천하를 다스리는 데 있어서, 천하 사람들의) 마음(意; 仁·情)을 (자신의 마음으로 알아차리는 바를) 얻었고, 따라서 (천하 사람들의 마음으로써 자신의 자리에) 머물렀으며, (따라서 천하 사람들의 마음으로써 자신의 일삼는 바無爲의) 문(門; 戶)을 열었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천하를 다스리는 데 있어서, 무위無爲) 그것을 지나갔고, 밝혔으며, 일삼았다. (따라서 천하 사람들의) 삶과 죽음은 이른바 (자신들의 성性·명命대로 살고 죽는 바를) 만나는 바가 심했다!
是以莫能名其功. 而字之曰: 眾妙. 蓋其, 得意, 以居, 開戶. 而歷百為之. 生死者, 亦甚適矣夫!
해 설
왕부지王夫之에게 있어서, 도道=덕스러움德=자연自然=무위無爲=성性=명命이었다.
앞 문단의 “치우쳤다迷”, 이 문단의 “이름 지어 부를 수 없었다莫能名, 심했다甚”는 반어적 표현이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