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무부 (68·경희대 생물학과) 명예교수의 날개가 부러진 것은 2006년 12월 16일이었다. 그는 날짜와 당시 상황을 정확하게 기억했다. 쓰러지기 전날은 이랬다.
경기도 오산·경남 거창을 잇따라 방문해 학생들에게 새를 주제로 ‘신바람나게’ 강연을 했다. 저녁 식사를 마친 뒤 체기가 있었다. 그러나 다음 날 오전 전북 무주에서 환경단체 초청 강연 일정이 잡혀 있어 밤 11시 쯤 현지에 도착했다. 아침에 어지럽고 토할 것 같은 느낌이 들었지만 손가락 끝을 바늘로 딴 뒤 오전 10시부터 1시간30분간 강연을 마쳤다. 그날 서울로 올라오는 고속도로 안에서 정신이 몽롱해지는 등 증상은 더 심해졌다.
“고속도로가 밀려 무주에서 서울로 오는데 6시간이 걸렸어요. 정말 멀게 느껴졌지만 완전히 정신줄을 놓지는 않았어요. 걸어서 경희대병원 응급실에 갔는데 당장 입원하라고 하더라고요.”
진단명은 뇌혈관이 막힌 뇌경색(뇌졸중의 일종)이었다.
지금도 잘 이해가 안 돼요
“하루에 보통 산 두 곳을 오르고, 평소 술·담배를 하지 않고, 혈압도 정상이고, 평소 감기도 거의 걸리지 않던 내게 뇌졸중이 왜 생겼는지 지금도 이해가 잘 되지 않아요.”
그는 굳이 원인을 꼽자면 과로·스트레스 정도일 것으로 자가 진단했다.
강동성심병원 신경과 김우경 교수는 “스트레스·과로보다는 고령·고혈당·고콜레스테롤 수치·과식 등이 윤 박사의 뇌졸중 발병에 더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했다.
내 나이는 영원한 53세
경희대병원에 입원한 뒤 오른쪽 팔·다리에 마비가 왔다. 눈도 잘 안 보이고 말도 제대로 할 수 없었다. 뇌혈관조영술 같은 시술이 불가능한 뇌의 안쪽 부위가 막힌 상태였다. 그는 입원기간에 혈전용해제 등 약물치료와 재활치료를 주로 받았다(주치의는 신경외과 이봉암 교수).
그는 평소 자신이 53세라고 생각하며 늘 바삐 살아왔다.
“차트에 66세라고 적혀 있어 너무 놀랐어요. 간호사에게 53세로 바꿔달라고 부탁했는데 들어주더군요.”
가톨릭대 성모병원 나형균 교수는 “나이를 잊고 지내는 것은 건강에 좋지만 나이가 들면 찾아오기 쉬운 질병을 무시하는 것은 안 된다”고 조언했다.
새 보고 싶어 두 달 만에 서둘러 퇴원
병상에 누웠지만 마음은 새를 찾아 전국의 저수지·산·들로 떠돌았다. 짜증이 늘고 자주 우울해졌다.
“(증상 탓에) 머리에서 매미·귀뚜라미 소리가 들렸어요. 도무지 생각을 할 수 없었어요. 10분만 뭔가에 집중해도 눈이 피로하고 어지러웠죠. 조롱에 갇혀 있는 새 신세였죠.”
두 달만에 그는 서둘러 퇴원했다. 걷지도 못했지만 부인 김정애씨와 함께 거의 매일 가평·청평을 다녀왔다. 그리워하던 새를 보니 병이 치유되는 듯했다.
2007년 출간된 『날아라. 어제보다 조금 더 멀리』는 그가 가장 아플 때 아내의 도움을 받아 쓴 책이다. 발병 1년이 지난 뒤 지팡이를 짚고 다시 걷는 데 성공했다. 넉 달 전부터는 목욕과 옷 갈아입기도 가능해졌다.
새와 다시 만나면서 요즘 그는 행복하다. 정년퇴직으로 강의 부담 등 무거운 짐을 털어낸 것도 그에게 활력을 준다. ‘드라이버’인 부인이 외출해서 이동이 힘들 때는 장애인 전용 전동스쿠터를 타고 청계천·벼룩시장 등 서울 시내를 누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