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갑산 지맥은?
영월 지맥의 가창산819.5 동남쪽 0.9km 지점인 602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갑산747,호명산479,금수 지맥 분기점295.1
성산425.6,한티재 중앙고속도로 제천 휴계소 국사봉632.3,대덕산577,마미산600.8,부산 분기봉780.4,을 지나 제천천이 남한강
충주호에 합수하는 충주시 동량면 사기리까지 이어지는 도상거리 46.2km의 산줄기로 제천천의 우축 분수령이 된다.
2022년2월6일
입춘지난지 2일이나 지나건만 중 북부 지방으로 한파주의보 중 영하 -12도 동장군의 기세가 살을 에이듵 따갑다.손은 장갑에 부치는 핫팩을 구입해 손등쪽에 부치고 장갑을 끼니 따뜯하니 아주좋다.한낱에 오르막을 오를때에는 손에서 땀이난다.바람은 세게 부러 추워지만 북향이 막힌 등로에서는 땀이 난다.추워다 더워다 냉 온탕을 왔다갓다하는 오늘 하루의 산행 갑산지맥 2구간 5번국도- 잿고개를 강추위에 사고없이 마무리하는 것을 감사히 여기며 내자신에게 계획한 띁을 만족시켜줘 고막게 생각한다.
경로,,5번국도(삼각점),,저실고개,,성산424.6,,정각원,,330봉,,301.4봉,,82국가지원 지방도,,382.3봉,,한티재,,384봉,,489.6봉,,480.7 봉,,중앙고속도로,,396.9봉,,372.6봉,,사창고개,,365봉,,500봉,,509봉,,안간리고개(2차선도로),,국사봉631.5,,614.7봉,
,510.5봉,,대덕산 분기점561,,마미산602,,잿고개(2차선도로)23.6km
출발:고명 고개(5번 국도),충청 북도 제천시 고명동 414-9
도착:잿고개(2차선 도로),충청 북도 충주시 산척면 /충청 북도 제천시 청풍면 장선리 296
5번국도 이등 삼각점 찍고 갑산지맥 2구간 게임을 시작합니다.
국도 제5호선
(통영 ~ 중강진선, 國道第五號 統營中江鎭線)은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 미륵도와
평안북도 자성군 중강면을 잇는 총 연장 1252km의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한반도 국도 중 거리가 가장 긴 노선이다.
국도 제5호선
통영 ~ 중강진선
총연장 1252 km
(남측 구간 617.9 km)
기점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
주요경유지
경상남도 통영시
경상남도 거제시
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남도 함안군
경상남도 창녕군
대구광역시 달성군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칠곡군
경상북도 군위군
경상북도 의성군
경상북도 안동시
경상북도 영주시
충청북도 단양군
충청북도 제천시
강원도 원주시
강원도 횡성군
강원도 홍천군
강원도 춘천시
강원도 화천군
강원도 철원군[1]
강원도 김화군
강원도 평강군
함경남도 안변군
함경남도 원산시
함경남도 문천군
함경남도 고원군
함경남도 영흥군
함경남도 정평군
함경남도 함주군
함경남도 함흥시
함경남도 함주군
함경남도 장진군
평안북도 후창군
평안북도 자성군
종점 평안북도 자성군 중강면
주요 교차도로
당진영덕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국도 제2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8호선
국도 제30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56호선
국도 제59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개 요
안동시와 대구광역시 구간이 이른바 구안 국도라 불리며 왕복 4차선 도로로 새로
건설되어 경상북도의 주요 교통망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 영주시 - 안동시 구간
또한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
중부내륙고속도로 중 과거 구마고속도로 구간과 중앙고속도로와 나란히 놓여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 외에 충청북도 단양군과 제천시, 강원도 원주시와 횡성군·홍천군·
춘천시 간의 이동 수요가 많은 노선이기도 하다. 원주에서 홍천으로 가는 대부분의
시외버스들은 5번 국도를 많이 이용한다. 대구에서 경상남도 창녕·창원 구간도 4차선
으로 잘 단장되어 있다.
현재 이순신대교를 비롯한 거제시 ~ 창원시 구간 건설을 계획중이며, 예전 마산시
구간은 마산시청 앞이 시점이었으나 시점이 거제시로 바뀌고 창원시 통과구간이
이순신대교 ~ 현동교차로 ~ 쌀재터널 ~ 내서읍 중리로 변경되었다.
이후 2021년 6월 22일 기점이 다시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으로 연장되었다.
역사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5호선 마산 ~ 중강진선이 됨.
1973년 4월 25일 : 선형 개량으로 인해 경상북도 달성군 논공면 남동리 ~ 상동리 4.863
km 구간을 4.9 km 로 도로구역 변경
1975년 2월 13일 : 달성군 논공면 남동리 ~ 상동리 4.863 km 구간 폐지
1975년 10월 1일 : 원성군 신림면 금대리 총 200m 구간 개통 및 기존 총 370m 구간 폐지,
제천군 봉양면 구학리 ~ 단양군 매포면 평동리 총 700m 구간 개통 및 기존 810m 구간 폐지
1976년 1월 12일 : 원성군 소초면 장양리 총 673m 구간 개통 및 기존 총 777m 구간 폐지
1980년 2월 22일 : 춘성군 신동면 학곡리 ~ 동산면 원창리 1.08 km 구간 개통 및 기존 1.75 km
구간 폐지
1986년 9월 29일 : 충주댐 건설로 인해 단양군 단양읍 북하리 ~ 상진리 11.6 km 구간 도로
수몰로 폐지
1987년 5월 26일 : 기존 지정 구간인 단양군 매포읍 매포리 ~ 우덕리 구간 폐지
1989년 3월 11일 : 창녕군 대합면 십이리 일대 구 도로부지 폐지
1992년 1월 17일 :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 160m 구간 개통
1996년 6월 29일 : 단양군 매포읍 하괴리 ~ 제천시 중앙로1가 21.4 km 구간 개통, 기존 21.6
km 구간 폐지
1997년 10월 15일 : 단양군 대강면 장림리 1.24 km 구간 개통, 기존 1 km 구간 폐지
1998년 2월 7일 : 의성 ~ 안동간 도로(의성군 단촌면 세촌리 ~ 안동시 옥동) 17.5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의성군 단촌면 세촌리 ~ 안동시 수상동 5.47 km 구간 폐지
1998년 5월 8일 : 단양군 단양읍 상진리 500m 구간 개통
1999년 6월 30일 : 성산 ~ 유가간 도로(달성군 유가면 한정리 ~ 도의리) 1.65 km 구간 확장
개통
1999년 8월 28일 : 춘천시 서면 오월리 700m 구간 및 춘천시 사북면 오탄리 ~ 화천군 하남면
서오지리 590m 구간 개통, 기존 구 오탄교 230m 구간 폐지
2000년 1월 10일 : 영주시 안정면 내줄리 ~ 풍기읍 백리 7.0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6.05
km 구간 폐지
2000년 5월 22일 : 경상북도 영주시 적서동 ~ 문정동 1.81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2000년 5월 31일 : 경상북도 영주시 문정동 ~ 가흥동 3.97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2000년 6월 5일 : 영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영주시 문수면 적동리 ~ 가흥동) 5.774 km 구간
확장 개통
2000년 6월 15일 : 풍산 ~ 안동간 도로(안동시 옥동 ~ 당북동 (구)농고네거리) 5.4 km 구간
확장 개통
2000년 12월 31일 : 군위 ~ 의성간 도로(군위군 군위읍 서부리 ~ 의성군 단촌면 세촌리) 총
8.79 km 구간 확장 개통[24], 단양군 단양읍 증도리 ~ 매포읍 하괴리 5.8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구간 폐지[25], 제천시 봉양읍 연박리 ~ 주포리 3.98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4.54
km 구간 폐지
2001년 1월 1일 : 횡성군 횡성읍 입석리 ~ 홍천군 홍천읍 삼마치리 19.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2.2 km 구간 폐지
2001년 9월 20일 : 횡성군 횡성읍 곡교리 1.54 km 구간 개통, 기존 750m 구간 폐지
2001년 12월 29일 : 단양군 매포읍 고양리 490m 구간 개통
2002년 3월 15일 : 성산 ~ 구지간 도로 시공으로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한정리 900m
구간 개통
2002년 4월 1일 : 성산 ~ 구지간 도로 시공으로 기존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한정리 1.2
km 구간 폐지
2002년 5월 30일 : 제천시 신동 ~ 송학면 무도리 15.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
2002년 8월 3일 : 원주시 관설동 ~ 봉산동 7.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2002년 11월 1일 : 평은 ~ 영주간 도로(영주시 평은면 오운리 ~ 문정동) 14.0 km 구간 확장 개통
2002년 11월 : 춘천시 사북면 원평리 ~ 신포리 2.0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71 km 구간 폐지
2003년 1월 1일 : 성산 ~ 유가간 도로(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등지리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한정리) 5.4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6.8 km 구간 폐지
2003년 1월 8일 : 화천군 화천읍 하리 ~ 상리 1.613 km 구간 및 화천터널 확장 개통, 기존
2.8 km 구간 폐지
2003년 1월 10일 : 영산 ~ 창녕간 도로(창녕군 영산면 죽사리 ~ 창녕읍 퇴천리) 9 km 구간
확장 개통[38], 기존 5.5 km 구간 폐지
2003년 1월 22일 : 홍천군 홍천읍 삼마치리 ~ 북방면 상화계리 12.56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3.9 km 구간 폐지
2003년 12월 30일 : 창녕군 창녕읍 초막리 ~ 대지면 효정리 5.56 km 구간 확장 개통
2004년 12월 29일 : 창녕 ~ 성산간 도로(창녕군 창녕읍 교리 ~ 대합면 등지리) 5.56 km
구간 확장 개통[42] 및 기존 창녕군 대지면 모산리 600m 구간 폐지
2004년 12월 29일 : 칠원 ~ 영산간 도로(함안군 칠원면 무기리 ~ 이룡리) 9.94 km 구간
확장 개통.[44] 및 기존 함안군 칠원면 구성리 ~ 칠서면 계내리 11.9 km 구간 폐지
2005년 9월 9일 : 현동 ~ 중리간 도로(마산시 현동 ~ 내서읍 중리) 11.0 km 구간 조기 개통
2005년 10월 31일 : 영주시 가흥동 ~ 안정면 신전리 5.4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2005년 12월 21일 : 영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신전 ~ 가흥간 도로, 영주시 가흥동 ~
안정면 신전리) 5.4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4.75 km 구간 폐지
2005년 12월 24일 : 남지 ~ 영산간 도로(함안군 칠서면 이룡리 ~ 창녕군 영산면 죽사리)
6.58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함안군 칠서면 용성리 ~ 창녕군 영산면 죽사리 7.51 km 구간 폐지
2005년 12월 30일 : 마현 ~ 생창간 도로(철원군 근남면 풍암리 ~ 김화읍 읍내리) 5.565 km
구간 신설 개통
2006년 2월 17일 : 춘천시 신북읍 천전리 ~ 발산리 2.5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2006년 9월 27일 : 제천시 봉양읍 장평리 550m 구간 개통
2006년 11월 21일 : 단양IC ~ 단양간 도로(단양군 대강면 장림리 ~ 용부원리) 1.6 km
구간 확장 개통
2006년 12월 19일 : 내서 ~ 중리간 도로(마산시 내서읍 중리 ~ 호계리) 2.928 km 구간 개통,
기존 마산시 자산동 ~ 내서읍 호계리 10.77 km 구간 폐지
2007년 1월 18일 : 마산시 ~ 내서읍 호계리 구간을 해제하고 예곡동 현동 교차로 ~
내서읍 경유 구간으로 노선 변경.
2007년 2월 1일 : 신북 ~ 신죽간 도로(춘천시 신북읍 천전리 ~ 발산리) 구간 2.5 km 확장 개통
2008년 11월 17일 : 기점이 경상남도 마산시 마산시청에서 거제시 연초면으로 변경됨.
이에 따라 노선명도 '마산 ~ 중강진선'에서 '거제 ~ 중강진선'으로 변경됨.
2009년 12월 29일 : 안동 ~ 서후간 도로(안동시 송현동 ~ 서후면 이송천리) 6.05 km
구간 확장 개통[61] 및 기존 안동시 서후면 이송천리 400m 구간 폐지[62], 서후 ~ 평은간
도로(안동시 서후면 저전리 ~ 북후면 도촌리) 2.8 km 구간 일부 확장 개통 및 기존 구간 폐지
2010년 9월 20일 : 서후 ~ 평은간 도로(안동시 북후면 도촌리 ~ 영주시 평은면 지곡리)
5.2 km 구간 부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
2010년 12월 22일 : 서후 ~ 평은간 도로(영주시 평은면 지곡리 ~ 오운리) 1.875 km
구간 확장 개통
2011년 5월 2일 :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관설 ~ 봉산 ~ 장양간 도로(원주시 행구동 ~
소초면 장양리) 9.6 km 구간 신설 개통
2012년 1월 25일 : 춘천시 신북읍 발산리 ~ 용산리 7.6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2013년 12월 23일 :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관설 ~ 봉산간 도로(원주시 관설동 관설
교차로 ~ 행구동 행구 교차로) 5.3 km 구간 확장 개통
2014년 1월 16일 :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원주시 관통(원주시
관설동 ~ 소초면 장양리) 11.138 km 구간 폐지
2014년 12월 2일 : 신북 ~ 용산간 도로(춘천시 동내면 학곡리 ~ 신북읍 용산리) 22.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춘천시 관통 구간 폐지
2015년 3월 5일 : 내서 ~ 칠원간 도로(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호계리 ~ 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1.53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2 km 구간 폐지
2016년 1월 18일 : 화원 ~ 옥포간 도로(달성군 논공읍 상리 ~ 화원읍 성산리) 8.5 km
구간 확장 개통
2016년 12월 28일 : 풍기 ~ 도계간 도로(영주시 풍기읍 백신리 ~ 수철리) 5.1 km 구간
확장 개통[75], 기존 2.0 km 구간 폐지
2017년 4월 13일 : 선형개량으로 인해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 105m 구간 폐지
2017년 11월 27일 : 내서 ~ 칠원간 도로(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 구성리) 총 2.2 km
구간 확장 개통
2017년 12월 1일 : 단양IC ~ 단양간 도로(단양군 대강면 장림리 ~ 단양읍 증도리) 6.56 km
구간 확장 개통
2018년 11월 13일 : 단양군 매포읍 평동리 ~ 하시리 500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단양군 매포읍 하시리 180m 구간 폐지
2018년 12월 14일 : 내서 ~ 칠원간 도로(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 무기리) 2.1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함안군 칠원읍 예곡리 380m 구간 폐지
2019년 9월 1일 : 거제 ~ 마산간 도로(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난포리 ~ 석곡리) 5.1 km
구간 신설 개통
2020년 1월 2일 : 거제 ~ 마산간 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심리 ~ 수정리 8.1 km 구간 폐지
2020년 1월 17일 : 거제시 장목면 장목리 520m 구간 신설 개통[87], 기존 770m 구간 폐지
2020년 8월 13일 : 거제 ~ 마산간 도로 2공구(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심리 ~ 난포리)
3.8km 구간 신설 개통
2020년 9월 29일 : 거제 ~ 마산간 도로 3공구(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석곡리 ~
마산합포구 현동) 1.9km 구간 신설 개통[90] 및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수정리 ~
마산합포구 덕동동 3.7km 구간 폐지
2021년 2월 4일 : 거제 ~ 마산간 도로 3공구(창원시 마산합포구 현동) 2.1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덕동동 ~ 우산동 2.8km 구간 폐지
2021년 6월 22일: 기점을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 죽토리에서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으로
연장. 이에 따라 '거제 ~ 중강진선'에서 '통영 ~ 중강진선'으로 변경.
2021년 7월 15일 : 경상남도 거제시 하청면 실전리 200m 구간 개량 개통[95] 및 기존 구간 폐지
주요 경유지
대한민국 구간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 · 한산면) - 거제시 (동부면 · 거제면 · 상동동 · 고현동 · 양정동 · 수월동 ·
연초면 · 하청면 · 장목면) -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 덕동동 · 현동 · 우산동 · 예곡동) -
마산회원구 내서읍) - 함안군 (칠원읍 · 칠서면 · 칠북면 · 칠서면) - 창녕군 (길곡면 · 도천면 ·
영산면 · 계성면 · 장마면 · 창녕읍 · 대지면 · 대합면 · 성산면)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 유가읍 · 구지면 · 현풍읍 · 유가읍 · 현풍읍 · 논공읍 · 옥포읍 · 화원읍) -
달서구 (대곡동 · 진천동 · 상인동 · 송현동) - 남구 대명동 - 달서구 (성당동 · 두류동) -
서구 (내당동 · 평리동 · 비산동) - 북구 (팔달동 · 매천동 · 태전동 · 읍내동)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 가산면) - 군위군 (효령면 · 군위읍) - 의성군 (봉양면 · 의성읍 · 단촌면) -
안동시 (일직면 · 남후면 · 수상동 · 옥동 · 태화동 · 옥동 · 송현동 · 이천동 · 서후면 · 북후면 ·
서후면 · 북후면) - 영주시 (평은면 · 이산면 · 문수면 · 이산면 · 문수면 · 조암동 · 문정동 ·
가흥동 · 장수면 · 상줄동 · 안정면 · 봉현면 · 풍기읍)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 단성면 · 단양읍 · 매포읍) - 제천시 (대량동 · 고명동 · 강제동 · 명지동 ·
강제동 · 천남동 · 신동 · 봉양읍)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 판부면 · 관설동 · 단구동 · 개운동 · 인동 · 평원동 · 학성동 · 태장동 ·
소초면) - 횡성군 (횡성읍 · 공근면) - 홍천군 (홍천읍 · 북방면) - 춘천시 (동산면 · 동내면 ·
동면 · 신북읍 · 서면 · 사북면) - 화천군 (하남면 · 화천읍 · 상서면) - 철원군 (근남면 ·
김화읍 · 근북면)
DMZ이후(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간
강원도
평강군 평강읍
함경남도
안변군 가익면(신고산) - 원산시 - 문천군 문천면 - 고원군 고원읍 - 영흥군 영흥읍 -
함흥시 - 장진군 (신남면(하갈) · 장진면)
평안북도
후창군 후창면(후창강구) - 자성군 중강면
충청북도 제천시 고명동 800-17
겹겹이 산이 겹쳐진 위로 태양이 떠오름니다.
성산 정상은 잘가꾸어진 금잔디 헬기장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동막리 813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동막리 산43-4
82번 국가지원 지방도.죄축의 이지하통로를 이용하면됨니다.
82번 국가지원지방도
평택 ~ 평창
시점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내기삼거리
종점
강원도 평창군 평창읍 마지삼거리
총 구간
250.3km
경유지
경기도 화성시, 오산시
경기도 용인시, 안성시
충청북도 진천군, 음성군
충청북도 충주시, 제천시
강원도 영월군
1. 개요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은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과 강원도 평창군 평창읍을 잇는
대한민국의 국가지원지방도이다.
1994년에 포승 ~ 생극 구간 97 ㎞를 82번 국도로 지정하려 하였으나, 평택 ~ 화성
구간만 1996년 7월 1일에 82번 국도로 지정되고 나머지 구간은 국가지원지방도로 남았다.
화성시 향남읍에서 82번 국도와 만난다.
제천시 수산면부터 평창군까지는 옛 597번 지방도였다.
2. 노선
2.1.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부터 화성시 장안면까지는 77번 국도와 중첩된다.
2.1.1. 화성시
장안면 ~ 향남읍 구간은 82번 국도로 지정되어 있다.
향남읍 도이리에서 82번 국도와 82번 지방도가 만난다.
푸른들판로
발안로
향남읍 동오사거리에서 309번 지방도와 교차하며, 향남읍 수직리에서 315번 지방도와 만난다.
평택화성고속도로와 교차하며 향남IC를 통해 연결된다.
화성시와 오산시의 경계에서 314번 지방도와 만난다.
교통량은 많으나, 지어진지 오래되어 왕복 1차선 시골길 수준이기 때문에 출퇴근시간에 정체가 심하다.
2.1.2. 오산시
발안로
초평동에서 310번 지방도와 만난다.
오산천로
중앙동 오산종합운동장 앞에서 1번 국도와 교차한다.
경기동로
중앙동 운암사거리에서 317번 지방도와 만난다.
경부고속도로와 교차하나 연결되지 않는다.
2.1.3. 화성시
경기동로
동탄6동의 장지교차로에서 23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2.1.4. 용인시
경기동로
정지고개
처인구 남사읍 한화리조트입구삼거리에서 23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처인구 남사읍 남곡사거리에서 321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처인구 이동면 묘봉리에서 45번 국도와 교차한다.
앵고개
2.1.5. 안성시
경기동로
양성면 난실교차로에서 314번 지방도와 만난다. 좌회전하자.
안성대로
고삼면에서 70번 지방도와 직결 합류한다. 좌회전하여 작은 길로 내려가자.
고삼호수로
고삼면 고삼초등학교 부근에서 306번 지방도와 만난다.
보개면 북가현리 가현대교 앞에서 325번 지방도와 만난다.
보개원삼로
보개면 북가현리 가현교 앞에서 57번 지방도와 만난다.
보삼로
삼죽면에서 325번 지방도와 만난다.
죽산면에서 70번 지방도를 떠나보낸다.
걸미로
죽산면 두현교차로에서 38번 국도와 분기한다.
죽산면 두교교차로에서 17번 국도의 국도대체우회도로와 교차한다.
2.2. 충청북도
2.2.1. 진천군
진광로
광혜원면을 살짝 지나간다.
2.2.2. 음성군
대금로
중부고속도로와 교차하며 대소IC를 통해 연결된다.
대소면 태생리 오산사거리에서 333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금왕읍 오선교차로에서 21번 국도와 교차한다.
금왕읍 오선사거리에서 513번 지방도와 만난다.
금왕읍 금석리에서 329번 지방도와 만난다.
금왕읍 금석리 무극교차로에서 37번 국도와 교차한다. 평택제천고속도로와 교차하며 37번
국도의 음성IC를 통해 연결된다.
생극면 오생1교차로에서 3번 국도에 합류한다. 충주시 신니면까지 3번 국도와 중첩된다.
중원대로
2.2.3. 충주시
덕고개로
신니면 용원교차로에서 3번 국도로부터 분기된다. 49번 지방도가 미완공이라 명확하지
않지만 49번 지방도와 중첩될 것으로 보인다.
평택제천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와 교차한다.
노은면 문성리에서 525번 지방도와 만난다. 우회전하자.
감노로
노은면 연하리에서 49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노은면 신효리에서 525번 지방도와 나눠진다.
북충주 나들목을 통해 중부내륙고속도로와 연결된다.
북충주 나들목 ~ 가금면 용전리 구간은 왕복 4차로로 2013년 8월 임시개통되었다.
가금면 용전리에서 599번 지방도와 합류한다.
탄금대로
가금면 창동리에서 19번 국도 국도대체우회도로와 교차한다.
충주공영버스터미널 앞에서 19번 국도에 합류한다. 우회전하자. 이후 살미면까지는 19번
국도와, 살미면부터 제천시 수산면까지는 36번 국도와 중첩된다.
중앙로
예성로
중원대로
월악로
2.2.4. 제천시
청풍호로
수산면 수산사거리에서 36번 국도로부터 분기한다. 지금까지는 서 → 동 노선이었지만
이제부터 노선이 북으로 향한다.
청풍면 구간에 들어가면 길이 구불구불해진다. 왼쪽으로는 충주댐을 막아서 생긴
청풍호(충주호)가 보인다.
청풍대교
학현입구에서 532번 지방도(학현소야로와 합류한다.
적덕면 구룡리에서 532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금성면 월림리에서 중앙고속도로와 교차하며 남제천 나들목을 통해 연결된다.
명지동 명지교차로에서 38번 국도(북부로)와 교차한다. 제천시내로 들어가자.
내토로
남현동 제천제일고등학교 앞에서 522번 지방도와 만난다.
둔전로
송학주천로
2.3. 강원도
2.3.1. 영월군
송학주천로
주천면 신일리에서 88번 지방도와 합류한다. 우회전하자.
주천면 주천리에서 88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2.3.2. 평창군
평창강로
평창읍 마지리 마지삼거리에서 구 31번 국도와 만나며 종료된다.
82번 국가지원 지방도.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양화리 490
한티재.고개 정상이 S자모양으로 굽은 비포장 도로이다.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월림리 5-1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삼거리 산239
중앙고속도로 제천 졸음쉼터.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삼거리 산72-1
중 앙 고 속 도 로
중앙고속도로(中央高速道路, 고속국도 제55호선)는
부산광역시 사상구를 기점으로, 강원도 춘천시를 종점으로 하여 남북을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이 고속도로는 한국도로공사에서 운영하는 국가재정 구간과
민간에서 운영하는 민자 구간이 혼재되어 있다.
총연장 388.1 km
개통년 1994년 12월 15일
기점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
주요 경유지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김해시
경상남도 밀양시
경상북도 청도군
경상북도 경산시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칠곡군
경상북도 구미시
경상북도 군위군
경상북도 의성군
경상북도 안동시
경상북도 예천군
경상북도 영주시
충청북도 단양군
충청북도 제천시
강원도 원주시
강원도 횡성군
강원도 홍천군
강원도 춘천시
종점 강원도 춘천시 석사동
주요교차도로
경부고속도로 ()
남해고속도로
함양울산고속도로
새만금포항고속도로
당진영덕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광주원주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상주영천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중앙고속도로지선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국도 제4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8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4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58호선
국도 제67호선
개요
부산광역시 사상구를 기점으로 대동 분기점에서는 지선이 분기하고, 동대구 분기점에서
금호 분기점까지 경부고속도로와 중첩되며, 금호 분기점에서 본선으로 진입하여 경상북도,
충청북도를 거쳐 강원도 춘천시를 잇는 고속도로이다. 지선 고속도로는 김해 분기점에서
양산 분기점의 18.2 km 구간을 잇는 중앙고속도로지선(中央高速道路支線, 고속국도 제551호선)
이 있다.
고속도로가 없었던 경남, 경북 중동부 지역과 경상북도 북부 지역, 충청북도 동북부 지역, 강원도
영서 지역에 고속도로 혜택을 부여하고 다른 지역과의 접근성 향상과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구간은 민자고속도로로써 대개 대구부산고속도로로 불리며,
현대산업개발을 모체로 하는 신대구부산고속도로 주식회사가 경영 부분을 맡고 있다. 개통
초기 홍보광고에서 "경부고속도로여 허리를 펴라"라는 공격적인 광고와 I-Way라는 캐치를
사용하였다.
대구부산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가 건설될 당시에 공업·관광 산업 육성 계획에 따라 대구-
부산 구간이 경부선의 대구 - 청도 - 밀양 - 부산이 아닌 대구 - 경주 - 울산 - 부산의 동쪽
우회 루트로 돌아가게 되면서 경부선 역취락으로 발달했던 청도와 밀양의 경기 침체를 어느
정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통행료가 상대적으로 비싸다는 게 단점으로 작용
하고 있어서, 승용차보다 운수차량 및 화물차량들이 더 많이 통행 중이다.
밀양시에서 김해시 구간 사이에 연약 지반 구간이 있으며, 연약지반구간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다.
역사
1989년 10월 20일 : 대구직할시 북구 금호동 ~ 강원도 춘천시 석사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14호선 중앙고속도로(중앙선)으로 지정
1989년 12월 14일 : 중앙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대구직할시 북구 금호동 ~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조암동 99.638km 구간과 충청북도 제원군 봉양면 강평리 ~ 강원도 춘천시 석사동
106.235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1992년 4월 29일 : 부산직할시 강서구 대저1동 ~ 대구직할시 동구 용계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19호선 부산 ~ 대구고속도로(부산 ~ 대구선)으로 지정
1992년 5월 18일 : 부산 ~ 대구고속도로 대동 ~ 김해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김해군
대동면 월촌리 ~ 부산직할시 강서구 대저1동 8.79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1992년 6월 9일 : 춘천 나들목 건설을 위해 강원도 춘성군 동내면 사암리 ~ 신촌리 8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2년 11월 12일 : 중앙고속도로 예천 ~ 제천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작곡리 ~ 충청북도 제천군 봉양면 장평리 73.744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1992년 12월 31일 : 중앙고속도로 설계 변경(왕복 2차선 → 4차선)으로 인해 대구직할시
북구 금호동 ~ 경상북도 안동군 풍산읍 87.48km 구간, 충청북도 제천군 봉양면 ~ 강원도
원주군 지정면 38.7km 구간,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 춘천시 석사동 26.1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1994년 4월 28일 : 1996년 12월까지 낙동대교 건설을 위해 부산직할시 강서구 대저1동
808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4년 10월 21일 : 홍천 나들목 설계 변경으로 인해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하오안리 79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4년 12월 15일 : 금호 분기점 ~ 칠곡 나들목 6.1km 구간, 만종 분기점 ~ 남원주 나들목
6.2km 구간 개통.
1995년 2월 18일 : 부산 ~ 대구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 부동 ~ 경상북도
경산군 남천면 삼성리 19.79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1995년 6월 12일 : 2001년 12월까지 안동 ~ 영주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노동 ~ 영주시 장수면 갈산리 25.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5년 8월 29일 : 칠곡 나들목 ~ 서안동 나들목 79.8km 구간. 서제천 나들목 ~ 남원주
나들목 30.1km 구간, 홍천 나들목 ~ 춘천 나들목 25.2km 구간 왕복 2차로 (왕복 4차로
확장을 대비한 형태) 개통.
1996년 3월 28일 : 칠곡 나들목 ~ 서안동 나들목, 영주 나들목 ~ 풍기 나들목, 제천 나들목 ~
남원주 나들목, 홍천 나들목 ~ 춘천 구간의 왕복 4차로 확장 공사 착공
1996년 6월 4일 : 2001년 12월까지 중앙고속도로 영주 ~ 제천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 갈산리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장평리 60.1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1996년 6월 28일 : 대저 분기점 ~ 대동 분기점 7.0km 구간 개통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대구직할시 북구 금호동'에서 '대구광역시 북구 금호동'으로 변경.
부산 ~ 대구고속도로의 기점을 '부산직할시 강서구 대저1동'에서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
'으로, 종점을 '대구직할시 동구 용계동'에서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으로 변경.
1996년 7월 26일 : 2001년 12월까지 부산 ~ 대구고속도로 삼랑진 ~ 대동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미전리 ~ 김해시 대동면 덕산리 22.71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1996년 12월 7일 : 2001년 12월까지 중앙고속도로 원주 ~ 홍천 구간 신설을 위해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신평리 ~ 홍천군 홍천읍 하오안리 42.6km 구간을 42.3km로 도로구역 변경
1997년 2월 13일 : 2000년 12월까지 중앙고속도로 제천 ~ 원주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
중 일부 구간 선형 변경으로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금창리 ~ 판부면 금대리 3.035km 구간을
2.881km로 도로구역 변경
1997년 3월 5일 : 1998년 12월까지 낙동강교 건설 공사를 위해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 772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7년 6월 10일 : 1999년 12월까지 동명휴게소 설치 공사를 위해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가천리 98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7년 6월 23일 : 2000년 5월까지 춘천휴게소 (상행) 설치 공사를 위해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원창리 ~ 동내면 사암리 86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8년 3월 14일 : 2003년까지 부산 ~ 대구고속도로 경산 ~ 삼랑진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삼성리 ~ 경상남도 밀양시 가곡동 34.066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1998년 6월 10일 : 2000년 12월까지 신림 나들목 개량 및 요금소 설치를 위해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용암리 ~ 신림리 구간[26], 서제천 나들목 개량 및 국도 제5호선 이설을 위해 충청
북도 제천시 신동 ~ 봉양읍 장평리 구간[27], 춘천 종점부 입체화 공사를 위해 강원도 춘천시
석사동 ~ 동내면 신촌리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8년 6월 27일 : 2002년 12월까지 단양군 단성면 구간 노선 변경을 위해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두음리 ~ 단성면 상방리 3.18km 구간을 3.204km로. 영주휴게소 확장 공사를
위해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 파지리 ~ 안정면 묵리 1.06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8년 7월 2일 : 2002년 12월까지 제천휴게소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월림리
~ 봉양읍 삼거리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8년 9월 15일 : 2003년까지 부산 ~ 대구고속도로 경산 ~ 삼랑진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
남도 밀양시 가곡동 ~ 삼랑진읍 미전리 9.49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1998년 11월 7일 : 2001년까지 남원주 나들목 개량 및 요금소 설치를 위해 강원도 원주시
무실동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9년 1월 12일 : 죽령터널 연장을 4,130m에서 4,520m로 조정
1999년 7월 1일 : 삼락 나들목 ~ 대저 나들목(강서낙동강교) 1.6km 구간 개통
1999년 9월 16일 : 남안동 나들목 ~ 서안동 나들목 16.5km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개통,
서안동 나들목 ~ 영주 나들목 25.5km 구간 신설 개통
2000년 2월 25일 : 대구 ~ 대동간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 고시[37]
2000년 6월 1일 : 칠곡 나들목 ~ 서안동 나들목 64.9km 구간 영주 나들목 ~ 풍기
나들목 9.5km 구간, 서제천 나들목 ~ 남원주 나들목 37.6km 구간, 홍천 나들목 ~ 춘천
나들목 26.2km 구간이 왕복 4차로로 확장 개통
2001년 2월 12일 :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신대구부산고속도로) 민자구간 착공
2001년 8월 17일 : 만종 분기점 ~ 홍천 나들목 42.5km 구간 개통
2001년 8월 25일 : 기존 부산 ~ 대구고속도로 전 구간을 편입하고 노선번호를 제14호에서
제55호로 변경.
2001년 9월 14일 : 서제천 나들목이 제천 나들목으로 명칭 변경
2001년 12월 14일 : 풍기 나들목 ~ 제천 나들목 51.2km 구간 개통.
2002년 4월 8일 : 2006년 2월까지 경산 나들목 진출입로 평면 접속으로 전환하기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월촌리 82.0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02년 12월 5일 : 종점을 '강원도 춘천시 동내면'에서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으로 변경
2003년 2월 24일 : 2003년 12월까지 가산 나들목 개량 공사를 위해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천평리 ~ 석우리 5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04년 4월 3일 : 2006년 2월까지 북밀양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공사를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월촌리 82.0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04년 5월 17일 : 2006년 2월까지 대동 요금소 설치, 동대구 나들목 요금소 차로 확장 및
대구 요금소 설치를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월촌리 82.0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05년 5월 14일 : 대구 ~ 부산 고속도로 민자구간 건설 사업시행기간을 2006년 2월로 연기
2006년 2월 15일 : 대구 ~ 부산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 변경
2006년 1월 25일 :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신대구부산고속도로) 82.05km 민자구간
개통[50] 및 경부고속도로의 동대구 나들목이 중앙고속도로로 이설되면서 기존 동대구 나들
목은 동대구 분기점으로 변경됨.
2007년 11월 8일 :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60km/h
로 지정
2008년 5월 19일 : 2009년까지 춘천 요금소 이전 공사를 위해 강원도 춘천시 동내면 고은리 ~
사암리 4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09년 1월 14일 : 초정 나들목 개통
2009년 5월 27일 :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60km/h
로 지정
2009년 6월 1일 :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하이패스 시스템 개통
2009년 6월 18일 : 춘천 요금소를 동산면 조양리에서 동내면 사암리로 이전
2009년 6월 23일 : 2010년 12월까지 가산 나들목 입체화 공사를 위해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석우리 ~ 천평리 1.99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09년 7월 15일 : 춘천 분기점 개통
2010년 9월 1일 :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50km/h 로 지정
2010년 12월 28일 : 도로명주소에 삼락 나들목부터 춘천 나들목까지 370.85km 구간을
중앙고속도로로 고시
2013년 8월 20일 : 청도휴게소가 청도새마을휴게소로 명칭 변경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으로 명시, 종점을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에서 '강원도 춘천시 석사동'으로 변경
2015년 6월 30일 : 제천 분기점 개통
2016년 9월 1일 :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50km/h 로 지정
2016년 11월 11일 : 원톨링 시스템 도입으로 김해부산 요금소와 대구 요금소 폐쇄,
신평 분기점 개통
2016년 12월 26일 : 안동 분기점 개통
2017년 6월 28일 : 군위 분기점 개통
2018년 2월 7일 : 대감 분기점 개통
2019년 9월 24일 : 단양휴게소가 단양팔경휴게소로 명칭 변경
2019년 9월 26일 : 2020년 12월 31일까지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하도리에 졸음쉼터
설치 공사를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월촌리 82.0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20년 12월 11일 : 밀양 분기점 개통
구성
차선수
삼락 나들목 ~ 초정 나들목,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금호 분기점 ~ 춘천 분기점 :
왕복 4차로
초정 나들목 ~ 대동 분기점 : 왕복 6차로
동대구 분기점 ~ 금호 분기점 : 왕복 8차로 (경부고속도로 중복 구간)
총 연장
388.10 km
제한 속도
춘천 나들목 ~ 동대구 분기점, 대동 분기점 ~ 삼락 나들목 : 최고 100 km/h, 최저
50 km/h (단, 춘천방향 춘천휴게소 - 춘천 나들목 구간, 부산방향 대동분기점 -
대감분기점 구간 최고 80 km/h, 최저 40 km/h, 경부고속도로 중첩 구간 포함)
동대구 분기점 ~ 대동 분기점 : 최고 110 km/h, 최저 50 km/h
구간 과속 단속
대구, 부산방향 : 죽령터널 - 수철교 5.6km, 다부 나들목 - 동명휴게소 4km, 제한속도 100km/h
춘천방향 : 동명휴게소 - 다부 나들목 4km, 치악휴게소 - 금대4교 5.9km, 제한속도 100km/h
터널
터널 이름 소재지 길이 준공 년도 비고
상동1터널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 매리 547m 2006년 춘천 방면
550m 부산 방면
상동2터널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 대감리 520m 2006년
용산터널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 여차리 50m 2006년
무척산터널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 여차리 2,010m 2006년 춘천 방면
2,030m 부산 방면
생림1터널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 안양리 292m 2006년 춘천 방면
240m 부산 방면
생림2터널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 안양리 517m 2006년 춘천 방면
485m 부산 방면
삼랑진터널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미전리 722m 2006년 춘천 방면
740m 부산 방면
가곡터널 경상남도 밀양시 용평동 376m 2006년
고정1터널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가곡리 1,142m 2006년 춘천 방면
1,118m 부산 방면
고정2터널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고정리 1,060m 2006년
고정3터널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고정리 655m 2006년
청도1터널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유호리 571m 2006년 춘천 방면
577m 부산 방면
청도2터널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하도리 1,550m 2006년
남천터널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협석리 870m 2006년 춘천 방면
867m 부산 방면
금호터널 대구광역시 북구 금호동 670m 1995년 춘천 방면
660m 부산 방면
읍내터널 대구광역시 북구 읍내동 280m 1995년 춘천 방면
288m 2000년 부산 방면
다부터널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 1,041m 1995년 춘천 방면
1,075m 2000년 부산 방면
가산터널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석우리 765m 1995년 춘천 방면
748m 2000년 부산 방면
장천터널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명곡리 210m 1995년 춘천 방면
2000년 부산 방면
군위터널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오로리 468m 1995년 춘천 방면
610m 2000년 부산 방면
일직터널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평팔리 340m 1995년 춘천 방면
326m 2000년 부산 방면
풍산터널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수곡리 200m 1995년 춘천 방면
210m 1999년 부산 방면
보문터널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신양리 801m 1999년 춘천 방면
778m 부산 방면
봉현터널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오현리 532m 2001년 춘천 방면
533m 부산 방면
죽령터널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수철리 4,600m 2001년
단양터널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 현곡리 500m 2001년 춘천 방면
465m 부산 방면
현곡터널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 현곡리 220m 2001년
적성터널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 상리 560m 2001년 춘천 방면
616m 부산 방면
제천터널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 상원곡리 1,190m 2001년 춘천 방면
1,150m 부산 방면
치악1터널 강원도 원주시 판부면 금대리 193m 1995년 춘천 방면
치악2터널 강원도 원주시 판부면 금대리 179m 1995년 춘천 방면
298m 2000년 부산 방면
치악3터널 강원도 원주시 판부면 금대리 298m 1995년 춘천 방면
320m 2000년 부산 방면
치악4터널 강원도 원주시 판부면 금대리 147m 1995년 춘천 방면
151m 2000년 부산 방면
금대1터널 강원도 원주시 판부면 금대리 324m 1995년 춘천 방면
317m 2000년 부산 방면
금대2터널 강원도 원주시 판부면 금대리 228m 1995년 춘천 방면
213m 2000년 부산 방면
만종터널 강원도 원주시 호저면 만종리 423m 1995년 춘천 방면
434m 2000년 부산 방면
횡성터널 강원도 횡성군 횡성읍 학곡리 405m 2001년 춘천 방면
367m 부산 방면
공근터널 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매곡리 635m 2001년 춘천 방면
570m 부산 방면
삼마치터널 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어둔리 1,436m 2001년 춘천 방면
1,429m 부산 방면
남산터널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하오안리 840m 2001년 춘천 방면
797m 부산 방면
굴지터널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 굴지리 710m 1995년 춘천 방면
648m 2000년 부산 방면
원무1터널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원창리 497m 1995년 춘천 방면
498m 2000년 부산 방면
원무2터널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원창리 815m 1995년 춘천 방면
808m 2000년 부산 방면
원창터널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원창리 224m 1995년 춘천 방면
274m 2000년 부산 방면
주요 통과지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 - 강서구 대저1동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 상동면 - 생림면) - 밀양시 (삼랑진읍 - 상남면 - 가곡동 - 용평동 -
활성동 - 산외면 - 상동면)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 화양읍 - 청도읍 - 화양읍) - 경산시 (남천면 - 옥곡동 - 사정동 - 옥산동)
대구광역시
수성구 (욱수동 - 노변동 - 대흥동 - 시지동 - 가천동) - 동구 (율하동 - 용계동 - 신평동 -
부동 - 방촌동 - 둔산동 - 검사동 - 도동 - 봉무동 - 불로동) - 북구 (검단동 - 산격동 -
서변동 - 조야동 - 노곡동 - 팔달동 - 금호동 - 태전동 - 관음동 - 읍내동)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 가산면) - 구미시 장천면 - 군위군 효령면 - 구미시 장천면 - 군위군 군위읍
- 의성군 (봉양면 - 안평면) - 안동시 (일직면 - 남후면 - 풍산읍) - 예천군 (보문면 - 감천면)
- 영주시 (장수면 - 안정면 - 봉현면 - 풍기읍)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 단성면 - 적성면) - 제천시 (금성면 - 봉양읍)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 판부면 - 관설동 - 단구동- 판부면 - 무실동 - 호저면 - 지정면 -
호저면) - 횡성군 (횡성읍 - 공근면) - 홍천군 (동면 - 홍천읍 - 북방면) - 춘천시 (동산면
- 동내면 - 석사동)
사건 및 사고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중앙고속도로 연쇄 추돌 사고입니다.
2015년 1월 16일에 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공근리 중앙고속도로 부산방면 345km
지점에서 43중 연쇄 추돌사고가 발생하여 23명이 부상당했다. 사고가 발생한 원인은
눈으로 인한 빙판길 이라고 밝혔다.
2020년 4월 25일에는 경북 안동시 풍천면 인금리에 한 야산에서 산불이 발생하여 남안동
중앙고속도로 지하통로를 지나 우축 법면을 따라 진행 지맥마루금으로 따라붙으면 된다.
8지목 참나무인데 보기드물게 자란다.
봉양읍 삼거리 산간지방에 넑은 평야가 있다.
안간리고개 죄축 도로 와 숲길이든 지맥이다 어느쪽이든 다시 만난다.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마곡리 산53-31
해가걸려있는 국사봉을 보며 오늘의 최고봉이니 눈이 있어 힘들것같아 아이잰을 챙긴다.
국사봉오르전 제40번 평택 제천간 고속도로 환기구람니다.평택 제천간 고속도로는 안간리 고개부터 잿고개까지
갑산지맥 드로와 같이간담니다.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구곡리 342
평 택 제 천 고 속 도 로 제 40호 선
평택제천고속도로(平澤堤川高速道路, 고속국도 제40호선)는
경기도 평택시를 기점으로, 충청북도 제천시를 종점으로 하여 동서를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2002년 12월 12일 서평택 분기점에서 서안성 나들목
구간이 개통된 것을 시작으로 구간별로 단계적으로 개통하여 잔여 구간인 동충주
나들목 - 제천 분기점 구간이 2015년 6월 30일에 완공하여 개통됨으로써 127.1km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총연장 127.4 km
개통년 2002년 12월 12일
기점 경기도 평택시 청북읍
주요경유지
경기도 평택시
경기도 안성시
충청북도 진천군
충청북도 음성군
충청북도 충주시
충청북도 제천시
종점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주요교차도로
경부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평택시흥고속도로
국도 제3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5호선
역사
1997년 8월 27일 : 경기도 평택시 청북면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24호선 평택 ~ 음성고속도로(평택 ~ 음성선)으로 지정
1997년 12월 7일: 서안성 나들목 - 대소 분기점 구간 (32.2km) 착공
1997년 12월 22일: 서평택 분기점 - 서안성 나들목 구간 (25.6km) 착공
1998년 6월 12일 : 2002년 12월까지 평택 ~ 음성고속도로 평택 ~ 안성 구간 신설을 위해
경기도 평택시 청북면 고잔리 ~ 안성시 원곡면 반제리 26.6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2001년 8월 25일 : 노선번호를 제24호에서 제40호로 변경.
2002년 11월 2일 : 2008년 12월까지 평택 ~ 음성고속도로 안성 ~ 음성 구간 신설을 위해
경기도 안성시 원곡면 반제리 ~ 미양면 구수리 10.15km 구간과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죽현리 ~ 음성군 대소면 미곡리 6.04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2002년 12월 5일 : 종점을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에서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으로 연장.
이에 따라 '평택음성고속도로(평택 ~ 음성선)'에서 평택충주고속도로(평택 ~ 충주선)가 됨.
2002년 12월 12일: 서평택 분기점 ~ 서안성 나들목 25.7km 구간 개통
2003년 10월 29일 : 2009년 12월까지 안성 ~ 음성 구간 (6, 7공구) 신설을 위해 경기도 안성시
미양면 구수리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죽현리 15.18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2007년 2월 6일 : 음성 ~ 충주(대소 ~ 노은)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미곡리 ~
충주시 노은면 가신리 27.9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2007년 8월 3일 : 음성 ~ 충주(문성 ~ 율능)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문성리 ~
엄정면 율능리 17.5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2007년 8월 8일: 대소 분기점 ~ 동충주 나들목 45.6km 구간 1공구 ~ 4공구 착공
2007년 8월 31일: 서안성 나들목 - 남안성 나들목 10.1km 구간 개통
2007년 10월 11일 : 2009년 12월까지 북진천 나들목 추가 설치를 위해 경기도 안성시 원곡면
반제리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미곡리 31.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07년 12월 20일: 대소 분기점 ~ 동충주 나들목 45.6km 구간 5공구 ~ 7공구 착공
2008년 1월 3일 : 종점을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에서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으로 연장.
이에 따라 '평택충주고속도로(평택 ~ 충주선)'에서 평택제천고속도로(평택 ~ 제천선)가 됨.
2008년 9월 9일 : 음성 ~ 충주 구간 금왕 나들목과 신니 나들목 접속부 위치 변경을 위해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미곡리 ~ 충주시 노은면 가신리 27.9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08년 11월 11일: 남안성 나들목 - 대소 분기점 22km 구간 개통
2009년 1월 15일 : 2009년 12월까지 북진천 나들목 국도 접속부 위치 변경을 위해 경기도
안성시 원곡면 반제리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미곡리 31.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09년 5월 26일 : 충주 ~ 제천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 율능리 ~ 제천시
금성면 월림리 23.9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2009년 7월 22일 : 동충주 나들목 ~ 제천 분기점 23.9km 구간 1공구, 3공구 ~ 5공구 착공
2009년 7월 24일 : 북진천 나들목 개통
2009년 8월 13일 : 동충주 나들목 ~ 제천 분기점 23.9km 구간 2공구 착공
2009년 10월 29일 : 평택화성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평택 분기점 개통
2010년 12월 28일 : 도로명주소에 서평택 분기점부터 제천 분기점까지 135.56km 구간을
평택제천고속도로로 고시
2013년 8월 12일: 대소 분기점 - 충주 분기점 27.6km 구간 개통. 단, 금왕꽃동네 나들목은
개통연기
2013년 11월 26일 : 금왕꽃동네 나들목 개통
2014년 10월 31일 : 충주 분기점 - 동충주 나들목 18.0km 구간 개통
2014년 12월 8일 : 2015년까지 졸음쉼터 및 남제천 나들목 구조 변경을 위해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 율능리 ~ 제천시 금성면 월림리 23.9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경기도 평택시 청북면 고잔리', 종점을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월림리'으로 명시
2015년 6월 30일 : 동충주 나들목 - 제천 분기점 23.9km 구간 개통
2016년 1월 26일 : 고덕국제화 나들목 신설을 위해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방축리 ~ 궁리
2.1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16년 9월 21일 : 2019년까지 평택복합휴게시설 조성을 위해 경기도 평택시 청북면 현곡리
~ 토진리 91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17년 4월 11일 : 2018년 10월까지 고덕국제화 나들목 회차로 형식 변경을 위해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방축리 ~ 궁리 2.1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18년 5월 31일 : 평택고덕 나들목 개통 예정이었으나 안전 문제로 인해 평택고덕 나들목
개통일을 2018년 6월로 연기
2018년 6월 30일 : 평택고덕 나들목 개통
2019년 2월 1일 : 2020년 12월까지 서평택 기점 54.3km 위치에 졸음쉼터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죽현리 8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20년 9월 24일 : 평택휴게소 신설 개장
2021년 5월 31일 : 2022년 12월까지 서평택 기점 52.5km 위치에 졸음쉼터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죽현리 2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22년 1월 28일: 영월 ~삼척구간 연장 확정
구성
차로수
서안성 나들목 ~ 제천 분기점 : 왕복 4차로
서평택 분기점 ~ 송탄 나들목, 안성 분기점 ~ 서안성 나들목 :왕복 6차로
송탄 나들목 ~ 안성 분기점 : 왕복 8차로
총 연장127.1km
제한속도
전 구간 최고 100km/h
전 구간 최저 50km/h
터널
터널 이름 소재지 길이 준공 년도 비고
평택터널 경기도 평택시 지제동 370m 2002년
반제터널 경기도 안성시 원곡면 반제리 140m 2007년
금광1터널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개산리 806m 2008년 제천 방면
802m 평택 방면
금광2터널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오산리 369m 2008년 제천 방면
380m 평택 방면
금광3터널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한운리 457m 2008년 제천 방면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옥정리 498m 평택 방면
안진터널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옥정리 2,300m 2008년 제천 방면
2,355m 평택 방면
수리산터널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오생리 212m 2013년
신니터널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문락리 309m 2013년
노은1터널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문성리 979m 2014년 제천 방면
968m 평택 방면
노은2터널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신효리 206m 2014년 제천 방면
210m 평택 방면
노은3터널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신효리 368m 2014년 제천 방면
356m 평택 방면
노은4터널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신효리 535m 2014년 제천 방면
450m 평택 방면
중앙탑터널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가흥리 679m 2014년
산척1터널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 율능리 1,066m 2015년 제천 방면
1,079m 평택 방면
산척2터널 충청북도 충주시 산척면 영덕리 274m 2015년 제천 방면
238m 평택 방면
천등산1터널 충청북도 충주시 산척면 영덕리 399m 2015년 제천 방면
442m 평택 방면
천등산2터널 충청북도 충주시 산척면 영덕리 119m 2015년 제천 방면
천등산3터널 충청북도 충주시 산척면 명서리 2,645m 2015년 제천 방면
2,619m 평택 방면
산척3터널 충청북도 충주시 산척면 명서리 1,256m 2015년 제천 방면
1,274m 평택 방면
산척4터널 충청북도 충주시 산척면 명서리 1,243m 2015년 제천 방면
1,191m 평택 방면
금성터널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장선리 4,427m 2015년 제천 방면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활산리 산37-4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장선리 산30-2
마미산 정상 해는 석양으로 기울고 있는대 갈길은 멀고 힘은 고갈되고 그러나 산행중에는 안전이 최고지.
잿고개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장선리 와 충청북도 충주시 산척면 석천리의 경계지점이다.
장선리 버스 정거장 언덕에 마을수호신으로 고목이 버티고 있다.
2월6일 갑산지맥 2구간 마루금 게임을 마을 수호신앞에서 오늘 게임에 사고없이 마감합을 감사드리며 다음 구간
무탈하게 게임할수있게 기원하고 오늘 게임을 마침니다.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장선리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