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지맥(冠岳枝脈)은 ?
한남정맥 백운산(566m)에서 북쪽으로 분기해서 바라산(427.5m), 학현(하오고개),
국사봉(542m). 청계산(616.3m→0.9), 매봉(369.2m), 관악산(632.2m)을 넘어
남부순환도로에 내려서 부터는 서울도심지를 지나면서 까치산근린공원,
국립묘지 뒷산인 서달산(176m), 신길동 서울지방병무청, 문래역을 지나
안양천의 동쪽 끝에 이르러 한강에 합수되는 도상거리 34.8 km인 산줄기 이다.
서쪽으로 안양천을, 동쪽으로 검단지맥과 함께 탄천을 한강으로 흘려 보낸다.
구간거리
한남정맥 백운산~2.4~바라산~3.5~학현~1.5~국사봉~1.8~청계산(-0.9)~1.0~
절고개~1.7~매봉~3.6~가루개(찬우물)~4.5~삼성산(-2.4)~0.5~관악산~4.3~
남부순환로~10.0~안양천 / 34.8km
주요 봉우리
백운산(566m), 바라산(427.5m), 국사봉(542m), 이수봉(545m), 청계산
(616.3m→0.9),매봉(응봉 369.2m), 관악산(632.2m), 까치산(119.5m),
서달산(179m), 용마산(90m)
종주에 필요한 지도
구간 종주계획
관악지맥 1구간
산행코스 : 지맥 분기점(564m) ~ 백운산(567m) ~ 바라산(428m) ~
우담산(425m) ~하오고개 ~ 국사봉(540m) ~ 이수봉(545m) ~
절고개 ~ 매봉(369m) ~ 갈현고개(찬우물) 18 km
접속 : 의왕 백운사 ~ 백운산 ~ 지맥분기점 1.9 km
의왕시 왕곡동 산4-1 백운사주차장 출발
과천시 갈현동 4-3 찬우물공영주차장 도착
도상거리 : 19.9 km (접근 1.9 km + 지맥 18 km)
소요시간 : 8시간
관악지맥 2구간
산행코스 : 갈현고개(찬우물) ~ 관악산(632m) ~ 국기봉(333m) ~ 까치고개 ~
서달산(179m)~ 중앙대후문 ~ 고구동산(108m) ~ 장승배기역 ~
용마산(90m) ~ 영등포구청역 ~ 목동교(안양천) ~ 염창교
(안양천합수점) 22.8 km
과천시 갈현동 4-3 찬우물공영주차장 출발
서울 강서구 염창동 221-2 안양천합수점(염창교)
도상거리 : 22.8 km
소요시간 : 9시간
2023년8월31일 목요일
관악 지맥 2구간 시작 합니다,더위는 한풀 꺽져는대 땀은 여전히 온몸에서 솟내요,
갈현고개 지나 군부대 철첵 사이로 과천 생태길 방향으로 관악 지맥 2구간 게임을 시작합니다,
과천 생태길 안내판에서 우축 등산로를 따라 오르면 지맥과 만나 본격적으로 2구간 관악산 구간 게임이 시작 됨니다,
관악산은 악산으로 바위(암릉)가 만아 리지 산행을 해야 합니다,연주대629(관악산정상)을 비롯해 리지구간을 데크를 설치해 산행하기에 펼리하더군요,
까치산고개 까지는 조심조심 산행하시고 까치산 고개를 지나면 도심구간이라 편한길에 연속으로 지루하내요,
도심 재개발한 구간이 만아 최신형 지도아니면 현지와 옛지도와는 안맛아 혼돈되는 곳이 만내요,추축으로 가면 돼,?
2구간 산행 경로는,?
갈현동 생태탑방로-관악산 팔봉 국기봉-관악산 정상(연주대)-관악문-까치산 고개-서달산-고구동산(수도산)-장승백이-용마산-문래동 철길/사거리-염창교 안양천/한강 합수점,22.8km
관악 지맥 모산 관악산629(연주대)정상,
요기서 관악 지맥 2구간 종주 게임을 시작합니다,지맥은 군부대 철조망 안으로 진행이라 과천 생태길 따라 우회해 올라가 지맥과 다시만나야 되겠지요,
안개에 덥힌 과천시,
불안한 바위 사람의 힘으로도 넘어질듯,중심의 작품같지안나요,
경기도 과천시 갈현동 산99
멀리 수리산 슬기봉,수암봉이 안개속을 뚤고 올라온다,
동 남쪽으로는 청계산이 안개속에서 히미하게 보여주고 있다,
국기봉에서 보는 힘겹게 지나온 봉,
연주대를 보면 암릉구간을 힘겹게 오르락 내리락 하며 숨을 헐떡이고 땀은 온몸을 다적시고 진행은 쉬지않고 계속됨니다,
연주대 연주암을 줌으로 댕겨 봄니다,
관악산을 내려가면 지나야할 동작구 영등포구 지역을 미리 봄니다,
연주암입닏다,
연주봉(관악산 정상)
경기도 과천시 자하동길 62,
관악산(冠岳山)은 서울특별시 관악구·금천구와 경기도 안양시·과천시의 경계에 있는 높이 632 m의 산이다. 한남정맥이 수원 광교산에서 북서쪽으로 갈라져 한강 남쪽에 이르러 마지막으로 우뚝 솟아 있다. 관악이란 이름은 산의 모양이 마치 '삿갓(冠)'처럼 생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산의 최고봉은 현재 기상관측소 옆 연주대 불꽃바위(632m)이다.
산의 지리
관악산 동쪽에서 본 청계산의 서쪽 모습
경기의 오악(五岳)의 하나로 수십 개의 봉우리와 방위가 빼어나며 기이한 바위가 많다. 산봉우리의 모양이 불과 같아 풍수적으로 '화산'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빼어난 수십 개의 봉우리와 바위들이 많고 오래된 나무와 온갖 풀이 바위와 어우러져 철따라 변하는 모습이 마치 금강산과 같다 하여 소금강 또는 서쪽에 있는 금강산이라 하여 서금강이라고 한다. 1968년 1월 15일 건설부 고시 제34호로 도시자연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오늘 가야할 지맥 릉선 사당동 사당 역 방향으로 가야됨니다,
관악산 정상에서 내려다 보면 서울대학교가 자리잡고 있지요,
관악문 이름있는 산에는 빠지지않고 하나씩있지요,
마당 바위라내요,
하늘도 맑고 깨끝한 날이내요,수도권 지역에서 이런 하늘 보기 힘든대,운이 좋은건지 참 기분좋은 하루입니다,
내려온 길을 뒤도라 봄니다,
시속4km를 낼수 있는 등산로,
까치산 고개 사당동 방향,남부 순화도로,지하로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지나는 곳입니다,
서울 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1071-7,
서울 지하철 2호선(수도권 전철2호선)
운행 국가 대한민국
종류 도시 철도
체계 수도권 전철(서울 지하철)
상태 영업 중
기점 본선: 시청역
(서울특별시 중구)
성수지선: 성수역
(서울특별시 성동구)
신정지선: 신도림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종점 본선: 시청역
(서울특별시 중구)
성수지선: 신설동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신정지선: 까치산역
(서울특별시 강서구)
서울 지하철 2호선(서울 地下鐵 2號線) 혹은 수도권 전철 2호선(首都圈 電鐵 2號線)은 대한민국 서울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이다. 서울 주요 지역을 순환한 을지로순환선, 성수역과 신설동역을 잇는 성수지선[내용주 1], 신도림역과 까치산역을 잇는 신정지선으로 구성된다.
운행 계통은 을지로순환선을 시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순환한 내선순환, 외선순환과 성수지선, 신정지선을 왕복하는 운행 계통이 있다. 노선 안내 등에 사용되는 색상은 ■녹색이다.
2012년 기준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붐비는 노선으로 서울 지하철 전체 이용 승객의 31%인 일평균 204만 8000명이 이 노선을 이용하고 있다.[2] 전 구간을 서울교통공사가 담당한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우측통행이다.
까치산 생태 통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 1728-4
포장 도로따라 이어갑니다,
백석이고개,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산36-1
서달산 정상에는 팔각정이 자리잡고있어 시민들에 휴식처가됨니다.
서달산 정상 국립묘지 뒷산입니다.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산36-1
관악 지맥 2구간 게임은 2-1에서 계속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