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자 지맥은?
한남 정맥 문수봉404.2에서 북동진 분기해 칠봉산446.6 용실봉422 해룡산367.1 국수봉424 정개산433.4 소담산 467
천덕봉632.1 앵자봉670.2 해협산527.1 정암산402.8 마지막으로 경안천 과 한강의 합수되는 팔당호에서 맥을 다하
는 63.5km의 산줄기이다.
2022년7월1일 금요일.
앵자 지맥 2구간 성황당 고개-남이 고개
경로:성황당 고개(325지방도)-해룡산367-회고개-더덕 바위산386.3-중부고속 도로 지하 통로-305.7삼각점봉-국수봉
423.8-319.3 삼각점-적산284.1-넋고개(3번 국도)-동원대학교-정계산433.4-소담산467-490.4봉 -수리산579-천덕봉
634.5-554.8봉-제2영동 고속도로-삼합리 고개-353.9봉-남이고개(98번 도로)26.8KM
출발;성황당 고개(325번 지방도) 곤지암 역에서 택시 일반(시내)버스이용.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유정리 5-2
도착:남이 고개(98번 도로)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건엄리 198.
남이 고개 정상에서 광주시 방향으로 1Km정도 내려오면 건엄리 버스 정거장 식당등이 있다.
앵자지맥1구간 안전하게 끝내고 2구간에도전장.!
성황당 고개(325번 지방도)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유정리 산5-2
지방도 제325호선
지방도 제325호선은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삼거리와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남종입구 교차로를 잇는 경기도의 지방도이다.
이천시 마장면에서 덕평 나들목을 통해 영동고속도로와 접속, 광주시 곤지암읍에서
곤지암 나들목을 통해 중부고속도로와 접속하며 광주시 퇴촌면 남종입구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342호선과 직결된다.
금광~퇴촌선
진천~안성선
총연장:93.026km
기 점: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종 점: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연혁
2005년 3월 28일 : 기존 지방도 제325호선인 '내촌 ~ 철원선'을 폐지(강원도 구간 제외)
2005년 3월 28일 : 지방도 제325호선을 새로 지정
2008년 1월 11일 : 강원도 구간인 '내촌 ~ 철원선' 구간이 지방도 제387호선에 편입
2010년 9월 : 지방도 제313호선의 '진천 ~ 안성선' 충청북도 구간이 이 지방도로 변경
2014년 10월 17일 : 진천 ~ 양백간 도로 선형개량공사로 인해 진천군 백곡면 양백리
56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주요 경유지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삼거리 - 용진교 - 용덕리 - 용덕교 - 양백교 - 양백리 - 배티고개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배티고개 - 상중리 - 석하리 - 대동교 - 장죽리 - 마둔교 - 오산리 - 개산리
안성동 현수교 - 현수 교차로 - 옥천교 - 옥천교 북단 - 봉산로터리 - 가사동삼거리 -
가사 교차로
보개면 보개면사무소 - 불현리 - 기좌리 - 신장리 - 신장교 - 적가리 - 마흔고개 -
보개초등학교 가율분교 - 가율리 - 가재울고개 - 남풍교 - 남풍리 - (미개통 구간)
삼죽면 (미개통 구간) - 기솔리 - 안성허브마을 - 내강리 - 삼죽삼거리 - 삼죽
면사무소 - (삼죽) - 덕산리 - 덕산교 - 피고개 - 율곡리 - 율곡교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율곡교 - 석천리 - 사천교 - 장평리 - 황석고개 - 장평교 - 근삼리 -
영곡사거리 - 백암교회삼거리 - 백암초등학교삼거리 - 백암중고등학교앞 -
상암교 - 상암교사거리 - 수양교사거리 - 수양교 - 근곡사거리 - 가창리
이천시
호법면 매곡리 - 매곡교
마장면 이평교 - 이평리 - 덕평리 - 덕평 나들목 - 오천교 - 마장사거리 -
회억삼거리 - 오천 교차로 - 오천교 - 양촌삼거리 - 마장고등학교, 마장중학교 - 관리
광주시
도척면 방도리 - 유정리 - 도척파출소앞 - 노곡교 - 갈고개 - 진우삼거리 - 진우리
곤지암읍 곤재교 - 곤지암초등학교 - 곤지암농협앞 - 곤지암시외버스터미널 -
곤지암사거리 - 신대사거리 - 곤지암교 - 곤지암도자공원 - 금호주유소앞 -
곤지암 나들목
초월읍 빙그레입구 교차로 - 나이키앞 교차로 - 늑현교 - 늑현리 - 선동교 -
선동 교차로 - 선동리 - 신월리 - 초월초등학교 - 신월교 - 무갑리 - 무갑교
퇴촌면 원당리 - 정지리 - 광동리 - 광동사거리 - 남종입구 교차로
중복 구간
안성시 보개면 남풍교 북단 ~ 삼죽면 (삼죽) : 지방도 제306호선과 중복
안성시 삼죽면 내강리 ~ 삼죽삼거리 : 국도 제38호선과 중복
이천시 마장면 오천 교차로 ~ 양촌삼거리 : 국도 제42호선과 중복
광주시 도척면 도척파출소앞 ~ 곤지암읍 곤지암사거리 :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과 중복
광주시 곤지암읍 곤지암사거리 ~ 초월읍 나이키앞 교차로 : 국도 제3호선과 중복
광주시 초월읍 무갑교 남단 ~ 퇴촌면 정지리 : 지방도 제338호선과 중복
도로명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삼거리 ~ 배티고개 : 배티로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배티고개 ~ 안성동 옥천교 북단 : 배티로
안성시 안성동 옥천교 북단 ~ 봉산로터리 : 장기로
안성시 안성동 봉산로터리 ~ 보개면 남풍교 북단 : 보개원삼로
안성시 보개면 남풍교 북단 ~ 남풍리 : 남풍길
안성시 삼죽면 기솔리 ~ 내강리 : 국사봉로
안성시 삼죽면 내강리 ~ 삼죽삼거리 : 서동대로
안성시 삼죽면 삼죽삼거리 ~ (삼죽) : 삼죽로
안성시 삼죽면 (삼죽) ~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백암초등학교삼거리 : 삼백로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백암초등학교삼거리 ~ 수양교사거리 : 백원로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수양교사거리 ~ 근곡사거리 : 백암로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근곡사거리 ~ 이천시 마장면 오천 교차로 : 덕평로
이천시 마장면 오천 교차로 ~ 양촌삼거리 : 중부대로
이천시 마장면 양촌삼거리 ~ 광주시 도척면 도척파출소앞 : 마도로
광주시 도척면 도척파출소앞 ~ 곤지암읍 곤재교 남단 : 도척로
광주시 곤지암읍 곤재교 남단 ~ 곤지암사거리 : 곤지암로
광주시 곤지암읍 곤지암사거리 ~ 초월읍 나이키앞 교차로 : 경충대로
광주시 초월읍 나이키앞 교차로 ~ 퇴촌면 남종입구 교차로 : 산수로
성황당 고개 이정목을 시작으로 앵자 지맥 2구간 게임을 시작합니다.
아스팔트 포장길따라 올라와 이 이정목 방향으로 해룡산을 향해 숲으로 들러감니다.
무명봉 소나무 고목 봉을 지나서.
앵자 지맥 2구간 종주에는 이정목이 잘되어 있어 종중에 길 이져버릴 일은 업겠다.
해룡산 도착.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 산19.
사거리 안부.개인 사유지라고 철조망 헬스로 막아노앗내.
두번째 더덕바위산 도착.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 산27.
중부 고속도로에접근 도로 공사로 지맥 종주길이 막혀있다.어쪄겐나 그냥 밀고 가야지 밀고 내려 가니 신호수가
장비작업을 잠시 중지 시키고 내가 지나기를 기다린다. 제2외곽 고속도로 건설로 고양시 김포시 인천 광역시 화성시
오산시 경부고속도로 동탄 신도시 용인시 경기도 광주시에서 끝난 제2외곽 고속도로400번 광주 이천을 시작으로
경기도 양평까지 공사중이란다.이지점이 1공구 국수봉 밑으로 터널 공사중.
크레인으로 중부고속도로 건너갈 다리 교각 굴착 작업중이다.
져다리가 동탄에서 이어오던 제2외곽 고속도로 마지막으로 중부고속도로에 연결되는 곳이다.
이 중부 고속도로 지하통로로 지맥길을 이어가야 한다.
전날 장마비가 만이와 공사현장내 토사가 유실돼 길이 억망이다.
중부 고속도로 제35호선
중부고속도로(中部高速道路, 고속국도 제35호선의 일부)는 충청북도 청주시 남이
분기점을기점으로, 경기도 하남시 하남 분기점을 종점으로 하여 남북을 잇는 대한
민국의 고속도로이다. 통영대전고속도로와 같은 노선번호가 부여되어 있지만 법적,
제도적으로 다른 노선이다. 경부고속도로의 교통량을 분산하고 지역 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1987년 12월 3일 개통되었다. 88올림픽고속도로에 이어 2번째로
콘크리트로 포장하여 건설비와 유지비를 절감하였고 2018년 동계 올림픽을 대비해
시설개량 공사가 진행되었다. 공사 구간은 하남 분기점에서 호법 분기점까지이고,
양방향 1개 차로씩 통제되었다. 이 구간은 2016년 3월 15일 착공하여 2017년 12월에
완공되었다.
총연장:117.23km
개통년:1987년12월3일
기점: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종점: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역사
1985년 4월 19일 : 하일 나들목 ~ 남이 분기점 구간 착공
1985년 5월 29일 :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 충청남도 대전시 동구 신대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10호선 중부고속도로(중부선)으로 지정
1985년 11월 2일 : 중부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 충청북도
청원군 현도면 매봉리 34.14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1986년 3월 6일 : 중부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 충청남도
대전시 동구 신대동 110.3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1986년 9월 23일 : 동서울 요금소 건설을 위해 경기도 광주군 동부읍 하산곡리 6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곤지암도로관리사무소 건설을 위해 경기도 광주군 실촌면 삼리
2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용면화물주차장 건설을 위해 경기도 이천군 신둔면 용면리 ~
고척리 5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음성휴게소 건설을 위해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 ~ 용성리 1.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청주화물주차장 건설을 위해 충청북도
청주시 강서동 1.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87년 2월 17일 : 증평 나들목 건설을 위해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면 여천리 1.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진천도로관리사무소 건설을 위해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송두리
4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87년 12월 3일 : 하일 나들목 ~ 남이 분기점 145.3km 구간 왕복 4차로 개통,
남이 분기점 - 회덕 분기점 구간 확장.
1987년 6월 : 음성 나들목, 증평 나들목 신설 공사 착공
1988년 8월 1일 : 음성 나들목과 증평 나들목 개통
1990년 10월 26일 : 오창휴게소 신설 공사로 인해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면 화산리 7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1년 7월 25일 : 기점을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에서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으로,
종점을 '충청남도 대전시 동구 신대동'에서 '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으로 변경, 기존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 구간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현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로 편입되고 경부고속도로 중첩 구간 삭제
1991년 10월 31일 : 하남 분기점 개통
1992년 2월 13일 : 이천휴게소 신설 공사로 인해 경기도 이천군 마장면 목리 78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2년 6월 9일 : 곤지암 나들목 요금소 차선 확장을 위해 경기도 광주군 실촌면 삼리 2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3년 6월 19일 : 음성 나들목 요금소 차선 확장을 위해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
294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4년 2월 8일 : 1994년 12월까지 서청주 나들목 요금소 차선 확장을 위해 충청북도
청주시 지동동 25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7년 2월 24일 : 1998년 12월까지 오창 나들목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면
상평리 ~ 양청리 9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7년 7월 10일 : 2001년 12월까지 하남 ~ 호법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공사 및 하남
나들목 설치를 위해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 ~ 상산곡동 7.06km 구간, 경기도 광주군
초월면 신월리 ~ 이천시 호법면 후안리 2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7년 10월 24일 : 2001년 12월까지 상산곡 ~ 초월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공사를 위해
경기도 하남시 상산곡동 ~ 광주군 초월면 신월리 11.02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8년 7월 4일 : 1999년 12월까지 음성 나들목 요금소 차선 확장 공사를 위해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 36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8년 12월 31일 : 오창 나들목 개통
2000년 7월 22일 : 2001년 12월까지 서이천 나들목 신설을 위해 경기도 광주군 초월면
신월리 ~ 이천시 호법면 후안리 2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01년 3월 9일 : 2002년 5월까지 곤지암 나들목 요금소 차선 확장을 위해 경기도 광주군
실촌면 삼리 256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01년 8월 1일 : 곤지암 나들목 인근 정체 완화를 위해 서이천 나들목 개통
2001년 8월 25일 : 기점과 종점을 각각 하남 → 청원에서 청원 → 하남으로 변경.
대전통영고속도로와 함께 노선번호를 제35호로 변경, 경부고속도로와 중복 구간(대전
광역시 동구 ~ 대덕구) 지정.
2001년 9월 20일 : 2002년 12월까지 진천 나들목 요금소 차로 확장을 위해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신리 25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01년 11월 23일 : 호법 분기점 ~ 마장 분기점 2.14km 구간, 산곡 분기점 ~ 하남
분기점 7.55km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개통, 마장 분기점과 산곡 분기점 개통
2001년 12월 15일 : 전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60km/h 로 지정
2002년 5월 15일 : 음성 나들목 요금소 차선 확장 공사 기간을 2004년 12월로 연기
2004년 11월 10일 : 전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60km/h 로 지정
2005년 4월 1일 : 동서울만남의광장휴게소가 하남(동서울)만남의광장휴게소로
명칭 변경
2006년 4월 1일 : 하남(동서울)만남의광장휴게소가 하남만남의광장휴게소로 명칭 변경
2006년 4월 5일 : 오창휴게소 (상행) 확장 공사를 위해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면 유리 ~
화산리 440m 구간 도로구역 결정
2007년 11월 8일 : 전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60km/h 로 지정
2007년 12월 18일 : 음성 ~ 호법 구간 확장 공사를 위해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신리 ~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표교리 44.6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08년 11월 11일 : 대소 분기점 개통
2009년 3월 3일 : 경안 요금소가 경기광주 요금소로 명칭 변경
2009년 5월 27일 : 전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60km/h 로 지정
2010년 9월 1일 : 전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50km/h 로 지정
2010년 12월 28일 : 도로명주소에 남이 분기점부터 하남 분기점까지 117.2km 구간을
중부고속도로로 고시
2011년 9월 30일 : 남이천 나들목 신설을 위해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어농리 1.519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13년 4월 4일 : 마장프리미엄휴게소 신설 개장
2013년 6월 4일 : 2015년까지 백곡천교 전면개량공사를 위해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중석리 ~ 문백면 구곡리 1.3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13년 7월 5일 : 제2중부고속도로 하행선에서 중부고속도로 상행선을 잇는 마장프리미엄
휴게소 회차로 개통
2013년 7월 19일 : 음성 나들목이 대소 나들목으로 명칭 변경
2014년 12월 1일 : 청원 나들목이 남청주 나들목으로, 청원 분기점이 청주 분기점으로
명칭 변경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충청북도 청원군 현도면'에서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석실리'로 변경, 종점을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으로 명시,
경부고속도로와 중복 구간 삭제.
2015년 11월 27일 : 2016년 12월까지 음성 하이패스 나들목 설치를 위해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 1.9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2015년 12월 24일 : 남이천 나들목 개통
2016년 3월 15일 : 2018년 동계 올림픽을 대비에 하남 분기점 ~ 호법 분기점 구간
시설개량 공사 착공 및 양방향 1개 차로씩 통제
2016년 9월 1일 : 전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50km/h 로 지정
2016년 11월 11일 : 경기광주 분기점 개통
2016년 12월 20일 : 음성휴게소 내에 삼성 나들목 개통
2017년 3월 8일 : 2017년 12월까지 이천 하이패스 나들목 설치를 위해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용면리, 고척리 27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17년 11월 24일 : 음성 하이패스 나들목 진출입로의 도로관리청 이관 및 하남 방향
진출입로 위치 변경을 위해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 1.9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17년 12월 20일 : 하남방향 이천휴게소 내에 신둔 나들목 개통
2017년 12월 22일 : 호법 분기점 ~ 하남 분기점 구간 시설개량 공사 완료
2019년 9월 25일 : 2019년 12월 31일까지 일죽졸음쉼터 하남방향 시설개량을 위해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월정리 83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20년 5월 12일 : 2021년 10월까지 청주흥덕 하이패스 나들목 설치공사를 위해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서동 3.0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22년 3월 21일 : 곤지암 분기점 개통
통영대전고속도로와의 노선 번호 중복
<nowiki /> 고속국도 제35호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01년 고속도로 개편으로 인하여 노선 번호를 공유하게 된 통영대전고속도로와 같은
고속도로로 표기되는 경우[57]도 볼 수 있다. 교통방송 등에서는 중부고속도로와
기종점을 공유하는 통영~하남 간 고속국도 제35호선 정도로 설명되고 있다.
하지만 두 고속도로는 고속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엄연한 별개의 고속도로로 지정
되어 있다. 비슷하게 노선번호가 동일함에도 별개로 둔 경우는 무안광주고속도로와
광주대구고속도로 그리고 호남고속도로와 논산천안고속도로 등이 있다. 이 경우는
논산천안고속도로가 민간투자고속도로이며, 두 도로의 관리 기관이 다르기 때문에
우선 별개의 노선으로 지정했다. 한편 남해고속도로는 영암~순천 구간과 서순천~
부산 구간이 분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일 노선으로 지정되어 있다.
2001년에 노선 번호를 공유하는 익산포항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중부내륙
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등은 명칭이 통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중부고속도로와 통영대전고속도로를 별개로 놔둔 이유는, 당초 1987년
중부고속도로를 건설할 당시 이 고속도로의 명칭이 서울과 대전을 잇는, '중부지방을
가로지르는 고속도로'라는 의미로 명명된 명칭이기 때문이다.[출처 필요]
무안광주고속도로와 광주대구고속도로, 오산화성고속도로와 용인
서울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와 논산천안고속도로처럼 노선번호만
같고 별개의 고속도로인 경우 기종점 합산도 별개로 하고 있지만, 중부고속도로는
통영을 기점으로 거리 계산을 하기도 한다. 실제로 중부고속도로 우측에 설치된
거리 표지는 통영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제35호선 전체를 봤을 경우의 길이는 332.53 km가 된다. 동서울 방면으로 주행했을
때, 하남 분기점 끄트머리 오른편에 위치판 '동서울 0km'라는 표지판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는 표지판에 표시되어 있다.
구성
차로수
산곡 분기점 ~ 마장 분기점, 호법 분기점 ~ 남이 분기점 : 왕복 4차로
하남 분기점 ~ 산곡 분기점, 마장 분기점 ~ 호법 분기점 : 왕복 8차로
총연장
117.23 km
제한속도
전 구간 최고 110km/h, 최저 50km/h
터널
터널 이름 소재지 길이 준공 년도 비고
진천터널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연담리 475m 1987년 구 중부4터널
중부3터널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하번천리 378m 하남 방면
369m 청주 방면
중부2터널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하번천리 236m 하남 방면
252m 청주 방면
중부1터널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엄미리 296m 하남 방면
300m 청주 방면
주요 통과지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 청주시 흥덕구 (석곡동 - 강서동 - 비하동 - 지동동 -
향정동 - 신성동 - 남촌동 - 외북동 - 남촌동 - 외북동 - 내곡동 - 상신동 -
옥산면) -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 진천군 (초평면 - 문백면 - 초평면 - 진천읍 -
덕산읍 - 이월면) - 음성군 (대소면 - 삼성면)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 죽산면 - 일죽면) - 이천시 (모가면 - 호법면 - 마장면 -
신둔면) - 광주시 (도척면 - 곤지암읍 - 초월읍 - 남한산성면) - 하남시
(상산곡동 - 하산곡동 - 천현동 - 덕풍동 - 춘궁동)
제2중부고속도로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제2중부고속도로입니다.
특이사항
하남방향 이천휴게소를 통하여 기존 중부고속도로와 제2중부고속도로 간 상호 이동이
가능하다. 당초 제2중부고속도로에서 기존 중부고속도로 방향만 이동 가능하였으나,
연결 통로가 개설되어 있으며 안내 표지판을 따라 나가면 된다.
양평까지 2023년5월에 개통 한다는 안내판이다.
수도권 제2외곽 고속도로 경기도 이천-경기도 양평시까지 건설 공사중이다.
수도권 제2 순환선 화성-광주간 고속도로 제400호선
국토교통부는 오는 2022년3월21일(월) 자정(00시)부터 화성-광주 고속도로(사업명:
이천_오산 고속도로 민간투자 사업)를 개통한다고 밝혔습니다.
,화성 -광주 고속도로는 경기 화성시 동탄면 방교리에서 광주시 도척면 진우리를 연결하는
총연장 31.2km의 왕복4차로 고속도로(민자)로 2017년3월 착공 이후 5년 만에 개통하게
되었습니다.
,총 투자비 1조4.957억원(민간 7.242 보상비 6.880 건설 보조금 835)
화성-광주 고속도로는 제 2차 국가도로망 기본 계획(2021-2030년)의 주요 순환축인 수도권
제 2순환고속도로의 남동구 단절구간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현재 운영 중인 봉담-동탄 고속
도로와 이천-양평 고속도로(2026년 개통예정)를 연결하는 고속도로 입니다.
*남북 10축.동서 10축.6개 방사형 순환망(10x10+6R2)
해당 노선은 경부와 중부 고속도로를 동서로 연결하고 영동고속도로와도 연결되는 도로로.
남북축 위주의 고속도로망을 보완하여 경기 남동부 지역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켜 수도권 교통
여건을 개선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연결지점 경부 동탄 JCT.영동 서용인 JCT.중부 곤지암 JCT.
이번 화성-광주 고속도로 개통으로 수도권 남부지역의 교통흐름은 한결 여유로워지고 물류
여건도 트게 개선됩니다.
고속도로 개통으로 최단거리로 연결되는 화성시와 광주시간 이동거리는 25km 줄고 통행시간은
32분으로 단축됩니다.
*기존경로 62km.65분.화성-광주 고속도로 37km.33분으로 단축.
경부-영동-중부 고속도로를 연결하여 경부고속도로 등의 교통량 분산이 가능해짐에 따라 기흥
나들목-신갈분기점등 기존 상습정체구간의 지 정체도 완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물류 교통량이 많은 서해안.평택-시흥고속도로를 경부 중부 고속도로등 주요 고속도로와
연결하여 연간 약960억원의 물류비용을 절감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국토교통부는 안전한 도로이용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화성-광주 고속도로에 첨단기술을
적용하고 다양한 편의시설을 설치하였습니다.
위험구간 정비를 위해 도로 교통공단의 특수차량을 이용한 교통안전점검을 개통 전에 실시
하였으며 고정식 이동식 과속단속 장비도 9개소 설치하였습니다.
주요 나들목 영업소 터널입구 등16개 제설 취약구간에 원격 조정 자동 염수분사 시설을 설
치하였으며 살어음이 발생하여 교통 안전이 저해될 수 있는 교량에는 WIS(2개소)를 구축하여
기상상황 정보를 전광판에 사전 안내토록 하였습니다.
운전자들의 휴식을 위한 졸음쉼터도 2개소(양방향 1개소)설치 하였으며 통행료 납부 편의
향상을 위해 원톨링 시스템을 도입하여 다른 고속도로 구간과 연계이용 시에도 요금을 통합
하여 한번에 결제할수 있게 하였습니다.통행료는 소형차 기준 전구간 주행시 3.700원입니다.
사업개요.
사업구간: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방교리-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진우리
사업자:화성 광주고속도로(금호건설등 8개사)
사업방식:BTO(준공시 소유권 국가귀속.30년간 운영)
연장:31.17km 4차로
투자비:1조4.957억원(민간 7.242 건설보조835.보상비 6.880)
건설기간:60개월(2017년03월-2022.03)
주요 시설물:분기점 3개소.나들목4개소.졸음쉼터2개소
제 2외곽 도로 끝나고 연결되는 중부고속도로가 한눈에 보이고 또 이어서 공사 시작하는 지점이다.
국수봉 정상이다.지맥길에서 약200m정도 비켜있다.정상찍고 도라와야 한다.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수양리 산110.
오늘 꼭 가야 할 넋고개 소야산 천덕봉이 송전 철탑 사이로 보인다.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인후리 산38-13
성황당 고개 안부같다.져앞에 나무는 당상나무이고.
문종 묘지인듯 정리가 잘되어 있다.
적산 정상.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신촌리 158-1
넋고개 내려가는 마지막 이정목 넋고개 (3번 국도) 건너가 동원대로 진입해 우축 능선으로 올라가면 지맥길이다.
국도 제3호선 행단 보도를 건너 동원대 방향으로.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신촌리 105-1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 (남해 ~ 초산선)은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 초전삼거리와
평안북도 초산군 초산면을 잇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총연장:1.096km
남측 구간:540.88km
기 점: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
종 점:평안북도 초산군 초산면
역사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3호선 삼천포 ~
초산선이 됨.
1975년 2월 27일 : 사천군 사천읍 구암리 ~ 십수교 490m 구간 폐지
1975년 11월 22일 : 거창군 웅양면 산포리 ~ 금릉군 대덕면 문외리 구간 개통
1979년 5월 21일 : 이천군 장호원읍 도계 ~ 여주군 가남면 태평리 ~ 이천군
이천읍 ~ 광주군 실촌면 곤지암리 ~ 광주군 광주면 ~ 성남시 갈현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가락동 ~ 잠실교 ~ 구의동 79.5 km 구간 개통
1981년 6월 24일 : 기점을 '경상남도 삼천포시'에서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으로
연장함. 이에 따라 '삼천포 ~ 초산선'에서 '남해 ~ 초산선'이 됨.
1981년 8월 5일 : 국도로 승격된 남해군 삼동면 ~ 삼천포시 경계 31.3 km 구간 개통
1981년 8월 12일 : 대통령령 제103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연장된 31 km 구간으로 도로구역 변경
1987년 5월 26일 : 기존 지정 구간인 중원군 상모면 온천리 구간 폐지
1992년 1월 17일 : 괴산군 연풍면 행촌리 446m 구간 개통, 기존 160m 구간 폐지
1995년 2월 11일 : 여주군 가남면 태평리 ~ 건장리 1.53 km 구간 개통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에서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으로
변경함. 서울특별시 구간 노선 변경
1996년 7월 1일 노선 변
1996년 7월 1일 노선 변경 내역
1996년 11월 11일 : 감곡사거리 ~ 장호원고가차도 ~ 샘재고개삼거리 (음성군
감곡면 오향리 ~ 이천시 장호원읍 장호원리) 구간 개통
1997년 8월 30일 : 동두천 ~ 전곡간 도로(동두천시 하봉암동 ~ 연천군 전곡읍
은대리) 8.0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4.06 km 구간 폐지
1998년 1월 12일 : 충주시 상모면 안보리 ~ 풍동 17.5 km 구간 개통, 기존 18.9 km
구간 폐지
1998년 12월 31일 : 진주 ~ 단성간 도로(진주시 유곡동 ~ 산청군 신안면 신안리)
20 km 구간 확장 개통
1999년 4월 28일 : 창선우회도로(남해군 창선면 당저리 ~ 동대리) 2.7 km 구간 개통,
기존 380m 구간 폐지
2000년 5월 3일 : 의정부시 장암동 ~ 양주군 회천읍 봉양리 20.7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2001년 9월 22일 : 점촌 ~ 문경간 도로(문경시 마성면 모곡리 ~ 문경읍 진안리)
6.20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7.5 km 구간 폐지
2001년 12월 20일 : 충주시 주덕읍 신중리 ~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 20.5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9.326 km 구간 폐지
2001년 12월 29일 : 동두천 ~ 전곡간 도로(연천군 전곡읍 전곡리 ~ 은대리) 1.0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1 km 구간 폐지
2002년 12월 28일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 ~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진암리 10.125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8.5 km 구간 폐지
2003년 4월 10일 : 연천군 신서면 도신리 600m 구간 확장 개통
2003년 4월 28일 : 창선·삼천포대교(남해군 창선면 대벽리 ~ 사천시 동서동) 3.4 km
구간 개통
2003년 12월 28일 : 이천시 장호원읍 오남리 ~ 진암리 4.7 km 구간 확장 개통
2003년 12월 29일 :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 ~ 충주시 상모면 안보리 8.3 km
구간 확장 개통
2004년 7월 29일 : 사천우회도로 일부(사천시 축동면 배춘리 ~ 사천읍 구암리)
1.94 km 구간 임시 개통
2004년 12월 15일 : 문경시 국도대체우회도로 함창 ~ 불정 구간 일부(상주시
함창읍 대조리 ~ 나한리) 1 km 구간 확장 개통
2005년 1월 27일 : 거창읍 통과 구간을 폐지하고 거창읍 송정리 ~ 주상면 성기리
구간으로 노선 변경
2005년 9월 15일 : 문경시 국도대체우회도로 함창 ~ 불정 구간 일부(상주시 함창읍
나한리) 4.42 km 구간 확장 개통
2005년 11월 9일 : 진주시 집현면 봉강리 ~ 평거동 9.6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2005년 12월 12일 : 김천시 어모면 남산리 ~ 상주시 청리면 원장리 24.28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5], 김천시 국도대체우회도로(김천시 양천동 ~
어모면 옥율리) 18.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상주시 함창읍
윤직리 ~ 문경시 불정동 8.7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2006년 10월 2일 : 문경시 국도대체우회도로(함창 ~ 불정간 도로, 문경시 공평동 ~
불정동) 5.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상주시 함창읍 윤직리 ~ 문경시 불정동
9.6 km 구간 폐지
2007년 8월 14일 : 충주시 풍동 ~ 용두동 7.246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2007년 10월 26일 :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 이천시 부발읍 응암리 47.3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2008년 12월 10일 : 장암 ~ 청산 도로 의정부시 장암동 장암 나들목 ~ 용현동
용현 나들목 3 km 구간 임시 개통, 의정부시 자일동 자금 나들목 ~ 양주시
고읍동 고읍 나들목 5 km 구간 서울방향만 임시 개통
2010년 3월 15일 : 장암 ~ 청산 도로 자금 나들목 ~ 고읍 나들목(의정부시 자일동 ~
양주시 고읍동) 5 km 구간 양주방향 임시 개통
2010년 4월 2일 : 장암 ~ 청산 도로 양주시 봉양동 ~ 연천군 청산면 초성리 15.1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2010년 8월 25일 : 김천시 구성면 상원리 ~ 하강리 9.5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2010년 9월 17일 : 김천 ~ 어모간 도로(김천시 어모면 남산리 ~ 구례리) 7.5 km
구간 부분 확장 개통 및 기존 8.2 km 구간 폐지[45], 사천시 노룡동 ~ 사천읍
사주리 10.1 km 구간 확장 개통
2010년 11월 23일 : 마리 ~ 송정간 도로(거창군 마리면 말흘리 ~ 거창읍 송정리)
3.8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5.2 km 구간 폐지[47], 안의 ~ 마리간 도로(함양군
안의면 석천리 ~ 거창군 마리면 말흘리) 11.15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함양군
안의면 신안리 ~ 거창군 마리면 말흘리 8.24 km 구간 폐지
2010년 12월 15일 : 김천 ~ 어모간 도로(김천시 어모면 구례리 구례 교차로 ~
유점 교차로) 3.7 km 구간 부분 확장 개통, 기존 3.9 km 구간 폐지
2010년 12월 23일 : 산청 ~ 수동간 도로(산청군 생초면 하촌리 ~ 함양군 수동면
화산리) 4.8 km 구간 부분 확장 개통, 수동 ~ 안의간 도로(함양군 수동면
화산리 ~ 안의면 석천리) 12.9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7.49 km 구간 폐지,
삼천포 ~ 사천간 도로 1공구(사천시 대방동 ~ 노룡동) 7.9 km 구간 확장 개통
2010년 12월 30일 : 양주시 회암동 ~ 봉양동 3.9 km 구간 부분 개통
2011년 3월 28일 : 삼천포 ~ 사천간 도로 1공구 개통으로 기존 사천시 대방동 ~
송포동 8.0 km 구간 폐지
2011년 4월 28일 : 김천 ~ 어모간 도로(김천시 어모면 구례리 ~ 상주시 공성면
거창리) 780m 구간 확장 개통
2011년 6월 10일 : 진주시 내동면 독산리 ~ 정촌면 화개리 4.0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
2011년 11월 18일 : 장암 ~ 청산 도로 자금 나들목 의정부 → 양주 방향 램프
(의정부시 자일동) 조기 개통[57], 장암 ~ 청산 도로 고읍 나들목 ~ 회암 나들목
(양주시 고읍동 ~ 회암동) 4.1 km 구간 부분 개통
2012년 2월 29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유곡 ~ 정촌간 도로(진주시
내동면 독산리 ~ 정촌면 화개리) 3.4 km 구간 확장 개통
2012년 4월 8일 : 장암 ~ 청산 도로 고읍 나들목(양주시 고읍동) 일부 램프 개통
2012년 6월 29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유곡 ~ 정촌간 도로(진주시
이현동 ~ 내동면 독산리) 3.3 km 구간 확장 개통
2012년 9월 25일 : 김천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농소 ~ 어모간 도로(김천시
남면 초곡리 ~ 개령면 서부리) 3.0 km 구간 확장 개통
2012년 9월 28일 : 성남 ~ 장호원 도로 성남시 갈현동 ~ 광주시 직동 4.8 km
구간 임시 개통
2012년 12월 26일 : 김천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양천 ~ 월곡간 도로(김천시
양천동 ~ 농소면 월곡리) 5.42 km 구간 확장 개통
2013년 4월 30일 : 성남 ~ 장호원 도로 광주시 장지동 ~ 초월읍 대쌍령리 5.7 km
구간 임시 개통
2013년 12월 24일 : 김천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농소 ~ 어모간 도로(김천시
농소면 월곡리 ~ 어모면 옥율리) 12.78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김천시 양천동 ~
어모면 옥율리 8.5 km 구간 폐지
2013년 12월 27일 : 어모 ~ 상주간 도로(상주시 공성면 거창리 ~ 가장동) 15.7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5.1 km 구간 폐지
2013년 12월 31일 : 우수 교차로(진주시 명석면 우수리) 진주 방향 램프 개통[68]
2014년 1월 10일 : 장암 ~ 청산 도로 민락 나들목 ~ 자금 나들목(의정부시 자일동 ~
민락동) 2.1 km 구간 서울방향 임시 개통
2014년 9월 5일 : 장암 ~ 청산 도로 은현 나들목을 제외한 봉양 나들목 ~ 동두천
나들목(양주시 봉양동 ~ 동두천시 상패동) 6.2 km 구간 확장 개통
2014년 12월 29일 : 함양 ~ 수동간 도로(산청군 오부면 양촌리 ~ 생초면 평촌리)
3.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산청군 오부면 양촌리 ~ 수동면 화산리 7.43 km
구간 폐지
2014년 12월 30일 : 장암 ~ 청산 도로 장암 나들목 ~ 봉양 나들목(의정부시 장암동 ~
양주시 봉양동) 20.7 km 구간 임시 개통
2015년 2월 10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집현 ~ 유곡간 도로(진주시 이현동 ~
집현면 냉정리) 1.45 km 구간 확장 개통
2015년 3월 25일 : 진산교 서쪽 진출로(거창군 마리면 영승리) 462m 구간 신설 개통
2015년 4월 23일 : 성남 ~ 장호원 도로 성남시 하대원동 ~ 갈현동 1 km 구간과
광주시 직동 ~ 태전동 3.1 km 구간 임시 개통
2015년 4월 29일 : 김천시 구성면 상원리 ~ 하강리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을 김천시
구성면 하강리 접속구간을 제외해 9.3km로 축소
2015년 8월 7일 : 장암 ~ 청산 도로 장암 나들목 ~ 자금 나들목(의정부시 장암동 ~
자금동) 8.1 km 구간 임시 개통
2015년 12월 21일 : 장암 ~ 청산 도로 봉양 교차로 일부 램프(양주시 봉양동) 구간 개통,
산청군 오부면 양촌리에 양촌 교차로 신설
2015년 12월 29일 : 지례 ~ 양천간 도로(김천시 지례면 관덕리 ~ 양천동) 17.06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17.6 km 구간 폐지
2016년 3월 15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완공으로 기존 진주시내(진주시
정촌면 화개리 ~ 이현동) 10.64 km 구간 폐지
2016년 4월 8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진주시 시내 구간을 해제하고
국도대체우회도로 구간으로 노선 변경
2016년 11월 11일 : 성남 ~ 장호원 도로 2공구 쌍동 나들목 ~ 초월 나들목(광주시
초월읍 대쌍령리 ~ 선동리) 2.8 km 구간 개통
2017년 1월 25일 : 연천 ~ 신탄리간 도로(연천군 연천읍 동막리 ~ 신서면 도신리)
8.1 km 구간 개통[84], 성남 ~ 장호원 도로 5공구 백사 교차로 ~ 부발 교차로
(이천시 백사면 모전리 ~ 부발읍 죽당리) 6.1 km 구간 개통
2017년 5월 1일 : 연천 ~ 신탄리간 도로(연천군 신서면 도신리) 2.7 km 구간 개통
2017년 8월 14일 : 연천 ~ 신탄리간 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연천군 연천읍
동막리 ~ 신서면 도신리 9.0 km 구간 폐지
2017년 9월 8일 : 성남 ~ 장호원 도로 1공구 여수 교차로 ~ 대원 교차로(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 도촌동) 2.8 km 구간 개통
2017년 12월 31일 : 성남 ~ 장호원 도로 3 ~ 4공구 초월 나들목 ~ 백사
교차로(광주시 초월읍 선동리 ~ 이천시 백사면 모전리) 15.1 km 구간과 5공구
부발 교차로 ~ 응암 교차로(이천시 부발읍 죽당리 ~ 응암리) 6.4 km 구간 개통
및 기존 광주시 초월읍 대쌍령리 ~ 이천시 부발읍 죽당리 30 km 구간 폐지
2018년 5월 23일 : 성남 ~ 장호원 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 ~ 갈현동 6.0 km 구간 폐지
2018년 7월 5일 : 상패 ~ 청산 도로 동두천 나들목 ~ 소요산 나들목(동두천시
상패동 ~ 안흥동) 3.1 km 구간 개통
2018년 11월 1일 : 장암고가교(의정부시 장암동 ~ 신곡동) 1.0 km 구간
동두천방향 개통
2020년 1월 9일 : 남해군 삼동면 동천리 540m 구간 개량 개통[93], 기존 구간 폐지
2020년 12월 21일 : 송정1, 물건3지구 위험도로(남해군 미조면 송정리) 250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300m 구간 폐지
주요 경유지
대한민국 구간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 · 삼동면 · 창선면) - 사천시 (늑도동 · 대방동 · 실안동 · 송포동 ·
신벽동 · 녹룡동 · 용현면 · 사남면 · 사천읍 · 축동면) - 진주시 (정촌면 · 내동면 ·
평거동 · 이현동 · 판문동 · 명석면) - 산청군 (신안면 · 산청읍 · 오부면 · 생초면) -
함양군 (수동면 · 안의면) - 거창군 (마리면 · 거창읍 · 주상면 · 웅양면)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 · 지례면 · 구성면 · 양천동 · 감천면 · 덕곡동 · 농소면 · 율곡동 ·
남면 · 개령면 · 어모면) - 상주시 (공성면 · 청리면 · 양촌동 · 지천동 · 가장동 ·
신봉동 · 만산동 · 죽정동 · 초산동 · 부원동 · 초산동 · 사벌국면 · 외서면 · 사벌국면 ·
공검면 · 이안면 · 함창읍) - 문경시 모전동 - 상주시 함창읍 - 문경시 (공평동 ·
유곡동 · 불정동 · 호계면 · 불정동 · 마성면 · 문경읍)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 충주시 (수안보면 · 살미면 · 풍동 · 가주동 · 용관동 · 용동동 ·
대소원면 · 주덕읍 · 신니면) - 음성군 (생극면 · 감곡면)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 설성면) - 여주시 가남읍 - 이천시 (대월면 · 부발읍 · 대월면 ·
부발읍 · 쌍령동 · 역동 · 장지동 · 관고동 · 사음동 · 신둔면) - 광주시 (곤지암읍 ·
초월읍 · 쌍령동 · 역동 · 장지동 · 중대동 · 삼동) -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 촌동 ·
하대원동 · 여수동 · 성남동) - 수정구 (수진동 · 태평동 · 복정동))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 · 문정동 · 가락동 · 송파동 · 신천동) - 잠실대교 - 광진구 (자양동 ·
구의동 · 중곡동) - 중랑구 (면목동 · 상봉동 · 중화동 · 묵동) - 노원구 (공릉동 ·
하계동 · 중계동 · 상계동) - 도봉구 도봉동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 의정부동 · 가능동 · 녹양동) - 양주시 (남방동 · 마전동 · 산북동 ·
덕계동 · 회정동 · 봉양동) - 동두천시 (송내동 · 지행동 · 생연동 · 보산동 · 동두천동 ·
봉암동 · 하봉암동) - 연천군 (청산면 · 전곡읍 · 연천읍 · 신서면)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 동송읍)
현재 대한민국에서 확인된 종점구간과 접근이 가능한 구간은 철원군 철원읍 홍원리
월정리역[97] 까지이다.
DMZ 이후(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간
강원도
평강군 평강읍 - 이천군 이천면
황해도
신계군 신계면 - 곡산군 곡산면
평안남도
양덕군 양덕읍 - 맹산군 맹산면 - 영원군 영원면
평안북도
희천군 희천읍 - 초산군 초산면
동원대로 오는 버스노선이다.서울에서 오는 광역 버스노선이 많다.
동원대 뒤 언덕에서 곤지암 방향으로 탁트여 보기에도 시원하게 보인다.
동원대로 진입 하지말고 우회하라는 이정목 같다.우회하면 임도와 맡닷는다.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봉현리 산117-2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지석리 산34.
도예촌 이천시 장호원읍 등이 발아래 펼쳐진다.
군부대가 있는 곳인가 포탄 불발탄 경고 안내판이다.
사진 양이 많아 2-2로 이어짐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