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개지맥2구간
2025년1월26일 일요일
자개지맥2구간 산줄기이어걷기 게임에 도전.2구간으로 게임 완주할려고 계획은 세워는대 띁대로 될널지 출발은 해봐야지.
게임경로는?
삼거리현(935번 지방도로)-281.1봉-마근대미재-삽재(36번 국도 자동차전용도로 구도로)-솔고개(영동선 철도)-약수봉269-명학봉278-용상1리 배해버스정거장 (935번 지방도)-272봉-5번 국도-유릉산 갈림길-갓근이재(신방로)-187.4봉-중앙선 철도-서천/내성천 합류브(무섬교)
출발:삼거리현(935번지방도로 대마산 목장)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의상로683,영주시 단산면 동원리
도착:내성천/서천 합류브.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승문2리(무섬교 수도리무섬마을.외나무다리)
도상거리 30km 10:20분
자개지맥 자개봉정상
야심한 새벽 자개지맥 2구간 산줄기이어걷기 게임을 하기위해 삼거리현에 도착해 게임준비를한다.오늘은 거리가 좀길기때문에 게임작전을 계획에 맛춰 게임을 잘풀어가야만이 정해진시간에 게임을 맛칠수있기때문 정신통일해야한다.
게임출발합니다.
지방도 제935호선
지방도 제935호선은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중평삼거리와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영춘사거리를 잇는
경상북도의 지방도이다.
임동 ~ 영춘선
길안 ~ 영춘선
지방도 제935호선
총연장 120.576km[1]
기점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주요
경유지 경상북도 안동시
경상북도 봉화군
경상북도 영주시
충청북도 단양군
종점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동쪽으로 여명이 밝아오지만 산림에 발거름은 바뿌다,
벌목지 주변 풍경이 보여 소백산 천문대 비로봉 등 산줄기 풍경을 볼수있다,
소백산 비로봉
마근대미재 가벼운 발거름으로 지나고,?
영동선 철길옆 우축으로 우회 건널목 있읍니다,
영동선 철도
영동선(嶺東線)은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역과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동해역을 연결하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이다.
대부분의 구간이 1955년에 개통되었으며, 1962년에 완전히 개통되었다. 영주역에서 경북선, 중앙선과 만나고,
동백산역에서 태백선과 만난다. 동해역에서 향후 동해선과도 접속될 예정이다.
종류 간선 철도
상태 영업 중
기점 영주역
(경상북도 영주시)
종점 동해역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영동선 건널목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6호선 (보령 ~ 울진선, 國道第三十六號 保寧蔚珍線)은 충청남도 보령시 대천동 대천항에서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울진북부 교차로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충청북도 청주시부터 충청북도 충주시까지의 구간이
신호도 많고 출·퇴근 시간에 혼잡해 극심한 정체를 빚음에 따라 기존 국도를 대체하는 자동차 전용도로인 충청내륙
고속화도로를 건설해 2024년부터 부분 개통할 계획이며, 2013년 12월 30일에 이 중 첫 번째 구간인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에서 청원구 북이면까지의 13.4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건설해 개통하여 기존 구간을 대체하여 국도로
지정되었다.
보령 ~ 울진선
국도 제36호선
총연장 388.2 km
기점 충청남도 보령시 신흑동
주요
경유지 충청남도 보령시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남도 공주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 청주시
충청북도 증평군
충청북도 음성군
충청북도 충주시
충청북도 제천시
충청북도 단양군
경상북도 영주시
경상북도 봉화군
경상북도 울진군
종점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국도36호선 옛도로에는 삽재 버스정거장 있고 정이넘치는 옛길입니다,
임삼경작지를 지나왔내요,
약수봉 영주시 주민들 산책길로 등산로가 잘정비되어있다,
출렁다리도 지나고,
명학봉 정상에는 작고 예뿐 돌탑도 있내요,
용상1리 배해버스 정거장(935번 지방도)
지방도 제935호선
지방도 제935호선은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중평삼거리와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영춘사거리를 잇는
경상북도의 지방도이다.
임동 ~ 영춘선
길안 ~ 영춘선
지방도 제935호선
총연장 120.576km[1]
기점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주요
경유지 경상북도 안동시
경상북도 봉화군
경상북도 영주시
충청북도 단양군
종점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국도 5호선이 앞을 막내,
국도 제 5호선
국도 제5호선 (통영 ~ 중강진선, 國道第五號 統營中江鎭線)은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
미륵도와 자강도 자성군 중강면을 잇는 총 연장 1252km의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한반도 국도 중 거리가 가장 긴 노선이다.
통영~중강진선
총연장:1.252km
남측구간:617.9km
기점: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 미륵도,
종점:함경남도 자강도 자성군 중강면
국도5호선 옛길이 옆으로 지나감니다,
5호선 지하터널로 횡단해 지맥을 계속 이어갑니다,
송전 철탑도 지나고,
이곳으로 중앙선 옛 철길이 지하터널로 지나는 곳으로 지도에 표기되어 있내요,
태양열 발전소 뒤쪽으로 가는대 잠목저항이 엄청남니다,
무덤인대 산에서보는 일반무덤에 비하면 5배이상 크게보인다.
나무사이로 보는 중앙선 철길넘어 무섬교가 보이고 오늘에 게임 끝지점이 보인다,
중앙선 철도
중앙선(中央線)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의 청량리역과 경상북도 경주시의 모량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
노선이다. 경부선에 이은 대한민국 제2종관선으로, 일제강점기 한반도와 만주 등의 지하자원 수탈과 여객·화물의
원활한 수송을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좌측통행이다.
종류 간선철도
상태 영업 중
기점 청량리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도담역
(충청북도 단양군)
종점 도담역
(충청북도 단양군)
모량역
(경상북도 경주시)
중앙선 철도 교량
무섬교 도착,
내성천
내성천(乃城川)은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오전리의 선달산(1,236m)에서 발원하여 남류 및 남서류하여 영주시,
예천군을 지나 문경시 영순면 달지리에서 낙동강에 합류하는 하천. 내성천은 낙동강 지류의 하나로, 본류
길이는 110.69km, 유역 면적은 1,815.28km2이며, 금천(錦川)·한천(漢川)·서천(西川)·남원천(南院川)·단산천(丹山川)·
낙화암천(落花巖川)과 같은 지류로 이루어져 있다.
자개지맥2구간 산줄기이어걷기 게임을 이곳 무섬마을 외니무다리에서 끝내며 자개지맥 전구간48km 산줄기이어걷기 게임을 마침니다.
합수점에서 되도라보는 자개지맥 산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