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기식(惡氣息)
고덕(古德)이 이르시되 「이 문에 들어와서는 지해(知解)를 두지 말라」 하시고 또 이르시되 「간절히 천착(穿鑿)을 금한다」 하시고 또 이르시되 「지묵(紙墨)에 오를까 두려워 한다」 하셨으니 이로 말미암아 보건대 마갈(摩竭)의 암관(掩關)과 소림(少林)의 면벽(面壁)이 오히려 전적(慱迹)이 부끄럽고 임제의 할과 덕산의 방이 또한 마음을 훔치는 귀신을 면치 못함이어늘 장구(章句)를 찾아서 따내어 어지러운 언설로 사람을 속이며 무리를 미혹시킴이랴.
영리한 이가 삼각산 생기기 전과 한양성 배판하기 전과 선학원 창립하기 전에 알아 가더라도 오히려 허물이 적지 않고 크게 우둔함이어늘 하물며 한강 물소리에 귀를 기우리고 관악산 빛에 눈을 부침이랴.
허허 말세가 되어서 그러한가 불법의 시운이 변천함인가. 소위 본색납자(本色衲子)가 입술을 나불거려 지식을 과장하며 휘호를 일삼아 가지를 당기고 넝쿨을 끌어다가 지분(脂粉)을 발라서 무시겁래의 업식종자를 희롱하여 생사의 뿌리와 싹을 일으킴이랴.
약간 가풍을 드러낼 것 같으면 전선선원(全鮮禪院)에 선중(禪衆)이 한 삼십명ㆍ이십명ㆍ십여명이 함께 모인 것을 모두 낱낱이 한 삼십방망이를 주어서 쫓아 헤쳐버리고 껄껄 웃고 돌아오면 조금쯤 그럴듯 할 것이나 우선 나부터 이 위에 말한 몇 마디 말이 악기식(惡氣息)으로 가추(家醜)를 드날려 대중에게 쏘여 마쳤으니 참으로 이른바 혹 떼려다가 혹 하나 더 붙인 셈이다. 참으로 우습고 우습도다. 피를 토하도록 울어도 소용없으니 입을 다물고 남은 봄을 보내니만 못하리라.
그러나 모든 부처와 조사가 어지러히 말하신 것이 팔이 안으로 굽지 밖으로 굽지 않는다는 말이다. 큰 자비의 원력으로 출현하신 까닭이다. 그러므로 삼각산이 생겨나고 한양성이 배판되고 선학원이 창립되었네. 따라서 소지(小誌)까지 창간되었네. 어서 빠삐 진행하소. 이 위 없는 큰 도를 대중에게 권발하소. 이 몸을 금생에 제도하지 못하면 다시 어느 생에 이 몸을 제도하겠는가?
백천만겁에 만나기 어려운 부처님 법을 만난 김에 부지런히 닦아보세. 동산화상의 자계(自誡)이신 말씀을 보지 못하였는가? 「한낱 허환한 몸이 능히 몇 날이나 사는데 저 부질없는 일을 위하여 무명을 기루는 고」 하셨으니 우리 중생들의 조석으로 용심하는 것을 관찰하여 보면 모두가 성현의 꾸짖으신 바 일이로다.
탐욕과 성냄과 질투 아만과 게으름으로 죄업의 불에 나무섶을 더하며 헐뜯고 칭찬하는 시비와 득실 영욕으로 항상 쓰는 재보로 삼으니 어찌 가련하지 않으리오. 부처와 조사의 성실한 말씀으로 업행(業行)을 조명하고 법계를 깨달아 닦으면 범부 고쳐 성현 됨이 한 생각 사이에 자재하니 나의 지식이 천단(淺短) 하나 대강 들어 말해보세. 탐욕이 일어날 때에 탐심이 나는 근본을 살펴보면 본래 공적(空寂)하여 없는 마음을 제가 스스로 일으켜서 무한한 고통을 받는 것이니 비유하자면 누에가 제 몸속에서 실을 내어 제 몸을 결박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렇게 관찰하여 당장에 한칼로 두 쪽을 내서 다시 상속하지 마시오. 상속하면 범부의 망령스러움을 그대로 사용함이요 억압하여 끊어서 나지 않게 하면 이승(二乘)에 항복함이요 당처가 공적하여 끊음 없이 끊어야 대승(大乘)의 깨달은 지혜요 깨달은 지혜가 둥글게 밝아서 생각마다 어둡지 않으면 탐욕과 애착이 곧 해탈의 진원(眞源)이요 마왕이 곧 호법의 선신이 올 시다.
탐애 질투와 아만 방일이 또한 이와 같아서 마음 마음이 깨달아 파하면 마음 마음이 성불하네. 그러므로 육조대사가 이르시되 「앞생각이 미하면 중생이요 뒷생각이 깨달으면 부처요 앞생각이 경계에 집착하면 중생이요 뒷생각이 경계를 여의면 부처니라」 하셨습니다. 그런즉 부처와 중생이 한 생각 사이에 나의 마음 쓰는 대로 성립되니 이것이 곧 살활자재(殺活自在)의 기권(機權)이다.
이 기권을 잡아 쥐고 나의 수중에 뜻대로 수용하는 동시에야 어찌 보리도를 성취하지 못할까 근심하리오. 마음 마음이 깨달아서 깨달음이 순숙(純熟)하면 자연히 항상 깨닫게 되리니 항상 깨닫기 때문이 대각이요 대각이기에 각사(覺士)올시다.
무연(無緣)의 대자비를 운전하여 유연중생을 제도하면 그 아니 대장부, 천인사, 세존이리요. 그런즉 성불이 마음에 있고 겉모양 치장에 있지 않습니다. 또 지혜로 깨달아 살피는 데 있고 의식으로 널리 힘들여 구하는 데 있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옛 사람이 이르시되 「고기가 뼈를 바꾸어 용이 됨에 그 비늘을 바꾸지 않고 범부가 마음을 돌이켜 부처가 되어도 그 얼굴을 고치지 않는다」 하셨습니다.
그러나 불심은 스스로 뜻을 얻은 뒤에 스스로 도를 이루는 것이요 필경 언어문자에 속하지 아니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뜻을 얻고는 말을 잊는다 하시고 또 마음을 얻으면 세간에 머트러운 말이나 자상한 말이 모두 실상법문이요 입에 잃으면 염화미소(拈花微笑)가 또한 교내진적(敎內陳迹)이라 하셨습니다.
그런즉 위에 제시한 갈등이 교내인가 교외인가, 마음에 얻음인가 입에 잃음인가, 가죽 밑에 피가 있는 이는 급히 정채(精彩)를 붙이시오. 머뭇거리는 사이에 십만팔천리나 멀어짐이 올시다. 그러면 머뭇거리지 않음이 도리어 얻음인가? 주장자로 법상을 한번치고 이르기를 「밤길 걸을 때 흰 것을 밟지 마소. 물이 아니면 돌이 올 시다.」
(『禪苑』 제2호, 1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