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출가자 교육
1. 경전시험
미얀마에서는 두 종류의 빨리경전 시험이 있다.
국가에서 관리하는 빨리 국가시험과 빨리 사설 시험이다.
빨리 국가시험은 매년 3월에 있으며, 5일에서 7일에 걸쳐 시험이 치러진다.
빨리 사설 시험의 경우는 승려와 재가자가 중심이 된 감독 단체가
만달레이와 양곤에 있어서 시험의 진행을 감독한다.
정부에서 주도하는 법사 시험보다 문제의 난이도와 연령 제한에서 더욱 엄하다.
정부 주도의 법사 시험의 경우는 연령의 제한이 없으나,
양곤에서 실시되는 빨리 사설 시험은 만 30세 이하의 연령 제한과
출가(사미포함)한지 10년 이상 된 비구여야 한다.
만달레이의 빨리 사설 시험의 경우는 연령 27세 이하의 연령 제한과
출가한지 10년 이상 된 비구여야 한다.
시험과목은 빨리 국가시험과 같으나, 난이도가 높으며,
양곤의 시험보다도 만달레이의 시험이 더욱 어렵다고 한다.
정부 주최의 빨리 국가시험의 법사 과정을 합격하면,
담마짜리야(Dhammācariya)라는 칭호를 받으며,
빨리 사설 시험의 합격자에게는 비왐사(Bhivaṃsa) 칭호가 주어진다.
미얀마의 승려의 이름 뒤의 ‘담마짜리야’ 또는 ‘비왐사’라는 칭호는
그 승려의 빨리경전에 대한 공인 실력을 나타내는 존칭이다.
위의 빨리 경전시험 외에 정부에서 주최하는 삼장호지(三藏護持) 시험이 있다.
이른바 삼장법사 선발시험으로 앞의 두 빨리 시험보다 더욱 어렵다고 한다.
2. 승려 교육
미얀마의 승려 교육 기관은 크게 사설 교육 기관인 마하간다용(Mahāgandayong, 전문강원)과
국립 불교대학(State Pariyatti Sāsana University)으로 대표된다.
마하간다용은 전국의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국립 불교대학은 만달레이와 양곤의 두 도시에 설치되어 있다.
전문 강원에서는 빨리 국가시험을 중심으로 교육이 실시되고 있으며,
유명한 곳으로는 아마라뿌라(Amarapura) 마하간다용, 양곤(Yangon) 마하간다용,
만달레이(Mandaray) 마하간다용, 챠우세(Kyawsee) 마하간다용,
베이(Beit) 마하간다용, 매묘(Maymyo) 마하간다용 등이다.
이 가운데 아마라뿌라 마하간다용의 역사가 가장 오래되었다.
양곤의 불교대학은 1986년에 창설되었고 만달레이의 불교대학은 조금 먼저 설립되었다.
카바예(Kaba-Aye)에 위치하고 있는 본 대학은 사미와 비구만을 위한 승가대학으로
미얀마 승려의 경우는 빨리 국가시험의 고급 과정(Pathamagyi)을 통과한 승려에게만
입학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며, 대학의 수용 능력과 응시자의 실력에 의해서
90명 정도가 매년 입학하며, 입학 당시의 평균 연령은 25세라고 한다.
교육 내용은 경․율․론의 삼장, 불교사, 빨리 문법, 미얀마어, 미얀마 문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비 및 일체 일상생활에 필요한 용품은 종교성에서 지급된다.
미얀마 승려가 불교대학을 졸업하면 법사(Dhammācariya) 자격이 주어진다.
외국인의 경우는 테라와다 불교 특별과정의 학위가 주어진다.
미얀마의 승려는 4년간의 대학원 과정에 진학할 수 있다.
대학원을 졸업하면 석사 학위에 해당하는
마하 담마짜리야(Mahā Dhammācariya, 大法師)의 자격을 얻는다.
참고 도서
正圓 (김재성), 2. 태국과 미얀마 불교의 교학체계와 수행체계 (세계 승가공동체의 교학체계와 수행체계, 대한불교 조계종 교육원, 사단법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圖書出版 伽山文庫, 1997.)
▶ 상가 일정
1. 메따승원 테라와다 상가 및 수행공동체 추진
한국에 테라와다 상가가 뿌리내리지 못하다 보니
테라와다 빅쿠 뿐만이 아니라 남방에서 출가를 한 여성 수행자(샤알레이),
테라와다 불교를 따르는 많은 수행자들도
한국에 장기간 머물며 수행할 곳이 없어
기후, 음식 등이 맞지 않는 머나먼 타국에서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으며 수행하고 있습니다.
남방의 불자들은 마을에 빅쿠들이 모여 사는 승원이 생기면
공덕을 쌓을 기회가 생긴 것에 기뻐하며
상가가 유지될 수 있도록 여러가지 공덕을 행합니다.
이러한 풍토가 한국에는 아직 자리 잡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의 테라와다 빅쿠들은 남방의 빅쿠들처럼
상가를 이루며 함께 지내지 못하고
정기법회나 집중수행을 생계수단으로 혼자 지내며 머물거나
타지에서 여기 저기 떠돌며 지내고 있습니다.
메따승원은 여러가지 한국의 어려운 실정에도
부처님 당시와 남방의 승원처럼
언제든지 출가자와 수행자가 와서
평안히 머물며 수행할 수 있는
상가(승가) 공동체 설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불자들의 상가에 대한 순수한 공덕과
친견 및 열성만으로 유지되는 여법한 상가가
이 땅에도 뿌리내릴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이 땅에서 테라와다 빅쿠계(구족계)를 받을 수 있고
테라와다 출가자와 수행자가 언제든지 평안히 머물 수 있는
청정한 테라와다 상가가 뿌리내기를 기원합니다.
2. 메따승원 테라와다 상가 운영 방식
빅쿠들이여, 빅쿠들이 정기적으로 모이고, 자주 모이면
빅쿠들은 퇴보하지 않고 향상으로 나아갈 것이다.
빅쿠들이여, 빅쿠들이 화합하여 모이고,
화합하여 해산하고,
화합하여 상가의 일을 결정하면
빅쿠들은 퇴보하지 않고 향상으로 나아갈 것이다. - 대반열반경 -
상가(승가)의 주요 안건은 4명 이상의
*나야까(nāyaka, 운영자, 이사) 빅쿠들의 협의를 거쳐
모든 빅쿠가 한 명도 빠지지 않고 참여하는
정기모임(포살 등)에서 *깜마와짜 의식을 통하여
상가 전체 빅쿠의 만장일치의 동의로 승인을 얻습니다.
* 나야까 빅쿠(nāyaka bhikkhu) : 4명 이상의 빅쿠로 구성된 상가를 운영하는 주요 빅쿠
* 깜마와짜(kammavācā) : 갈마의규, 상가에 승인을 구하는 말
상가는 율장에 의거하여 상가의 빅쿠가 직접 운영을 해야 하지만
빅쿠는 일체 금전을 소유할 수 없기 때문에 재정 지출과 관련된 사항은
상가의 합의에 의해 최종 승인이 이루어지면 재가자가 집행합니다.
선원장이나 개인이 운영하는 개인 사찰과는 달리
상가는 어느 개인의 소유가 아님으로
개인이나 소수의 인원에 의해 상가가 좌지우지 되고
절이 특정인의 소유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야까(운영자, 이사) 빅쿠들의 임기를 정하고
상가 빅쿠의 만장일치의 동의에 의해 선출됩니다.
특히 상가에 보시된 재산은 개인의 재산이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나야까 빅쿠들의 협의와
상가의 합의를 거쳐 집행합니다.
상가는 철저하게 자율보시로 운영이 되며
율장에 의거하여 절 재정을 목적으로 수행비나 숙식비를 받거나
금전을 대가로 어떤 의식이나 행사를 하지 않습니다.
메따승원의 상가는
1) 상가에서 승인한 것을 잘 준수하고
2) 상가가 법과 율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며
3) 상가의 전통과 청정함을 유지하고
4) 상가의 세속화를 막고
5) 상가의 운영에 세간의 비방을 받을 만한 허물이 생기지 않도록
법과 율에 근거하여 상가의 전통대로 운영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뿍갈라,(Puggalā,) : 빅쿠 1인 거주
▶ 가나(Gaṇa) : 빅쿠 2~3인 거주
▶ 상가(Saṅgha) : 빅쿠 4인 이상 거주
▶ 5명 이상의 상가(빤자왁가 상가, Pañcavagga saṅga) 율장 대품 Mv.IX.4.1
변방인 우리나라는 빅쿠가 5명 이상이 되면 상가 소유의 승원에
시마를 설정하여 빅쿠계를 줄 수 있습니다.
* 변방 : 갠지스강 유역 이외의 지역
* 시마 : 빅쿠계를 줄 수 있는 계단
▶ 10명의 상가(다사왁가 상가, Dasavagga saṅga) 율장 대품 Mv.IX.4.1
1. 복권절차를 제외한 깜마를행할 수 있습니다.
2. 중앙구족계를행할 수 있습니다.
3. 즉, 중앙구족계, 변방 구족계, 자자의식, 포살, 우안거, 까티나, 별거 처분, 재별거 처분, 마낫따(6일 별주) 처분 등을 행할 수 있습니다.
▶ 20명의 상가(위사띠왁가 상가, Vīsativagga saṅga) 율장 대품 Mv.IX.4.1
1. 상가디세사(승잔죄) 복권절차(압바나 깜마)를 행할 수 있습니다.
2. 모든 깜마가 가능합니다.
1. 메따승원 우편물 및 택배 주소 안내
메따승원은 산간에 위치해 있어 우편물이나 택배는 아래 주소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택배 주소 : 경주시 내남면 박달로 369-21 불광사 수마나스님 앞(☎ 010-4074-0639)
2. 메따승원 위치 및 네비게이션 안내
▶ 메따승원 위치 : 경주시 내남면 박달리 953
메따승원이 네이버, 다음(카카오)에 등록되었습니다.
자동차를 이용하시는 분은 스마트폰에 네이버 네비나, 카카오 네비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신 후 '메따승원'을 검색하여 네비게이션을 따라 오시면 됩니다.
▶ 밴드 주소 https://band.us/@mettasangha
메따승원은 불자의 목적인 닙바나(열반)를 성취하기 위해 마을에서 떨어진 숲속에서
수행에 매진하는 아란냐(arañña) 수행 전통의 터전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붓다사-사낭 찌랑 띳타뚜!
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머물기를!
사-두 사-두 사-두
sādhu! sādhu! sādhu!
메따승원
☎ 010-4074-0639
첫댓글 _()()()_
사-두! 사-두! 사-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