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낙타봉에서 본 팔공산과 주변의 산군들
경산 하양 환종주 산행전도 [장군산~초례봉~낙타봉~환성산~무학산]
트랭글 운동표 [운동정보,획득배지]
트랭글 운동표 [운동상세분석]
위성지도 [네이버]
트랭글 운동표 [평속,경사도]
트랭글 운동표 [속도,고도]
당일날씨상황 [네이버]
램블러 운동표
램블러 위성지도 [네이버]
08;21 하양역[대구지하철 1호선];2024년12월21일 대구지하철 1호선이 하양역까지 연장개통되어 하양환종주 산행이 쉽게 되었습니다. 지하철 내리면 바로 산행을 시작할수가 있습니다. 2018년에 하양환종주 할때는 지하철과 버스 또는 택시를 타고 이동을 했었는데 이번에는 편리하게 이동할수 있었습니다.
날이 조금은 쌀쌀하다고 느낄수는 있겠지만 산행하기에는 더없이 좋은 날입니다. 산행할때 쯤이면 몸에 열이나 추운것도 잊어버릴수가 있을것입니다. 대원들과 수인사를 하고 임도따라 대구가톨릭대학 방면으로 이동을 합니다.
08;26 대구가톨릭대학교;하양역에서 대학교 정문까지 도로따라 진행을 합니다. 들머리는 대학교 안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학교정문 앞에서 사진을 찍으니 학생들이 의아하게 보고 지나갑니다.
학교 내부로 쭉 가로질러 진행합니다. 학교 뒷편까지 가다보면 들머리가 우측에 보입니다.
08;58 본격적인 들머리가 공사로 인해 마루금이 절개되어 내려섰다가 건너서 올라서야 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등산하다보면 자주 있는 일입니다.
09;10 이정표 1[ ↑ 정상, ← 부호리,경일대/2.394km] 3.22km
09;18 이정표 2[ ↑ 정상,제1체육시설, ← 제2체육시설/0.38km] 3.60km
09;20 장군산[해발312m/0.18km] 3.78km
살짝 올라서자 제일 먼저 장군산을 만납니다. 정상이라고 하기엔 애매하지만 정상에 도착하면 웬지 힘이납니다.
찍어주는이가 없어 카메라를 세워놓고 자동으로 찍었더니 좀 삐딱하지만 대원들만 들어가면 더없이 좋은 사진입니다.
09;49 삼각점봉[해발419.2m/1.33km] 5.11km
바닥에 삼각점만 있어 자칫 못보고 지나칠수 있습니다.
10;31 이정표 3[ → 환성산3.6km, ← 동구 내곡리3.8km, ↓ 카톨릭대 방면5.0km/2.20km] 7.31km
10;41 환성산까지는 오르내림을 계속합니다. 된비알은 가뿐숨을 몰아쉬며 올라섭니다.
10;57 초례봉갈림길[이정표 4/ ↑ 초례산정상0.8km, ← 내곡동1.9km, ↓ 환성상2.6km/1.38km] 8.69km
11;02 이정표 5[ ↑ 초례산정상0.6km, ← 숙천동4km, ↓ 환성산2.8km/0.25km] 8.94km
11;10 이정표 6[ ↑ 초례산정상0.3km, → 산림욕장(매여동)2.0km, ↓ 낙타봉(새미기재,환성산)1.5km/0.38km] 9.32km
11;16 삼각점[대구 313 1982 재설/0.17km] 9.57km
11;22 초례봉[해발635.7m/0.08km] 9.65km
♣초례봉[해발635.7m];대구광역시 동구 내곡동과 경북 경산시 하양읍 남하리에 걸쳐있는 산입니다. 고려태조 왕건이 견훤에게 패한뒤 '다음 전투에서는 꼭 이기게 해달라'며 이 산에 올라 제사를 지냈다 하여 "초례산"이라 이름지었다.
간만에 초레봉에 올라서서 대원들과 단체사진을 남깁니다. 2018년에 환종주할때는 초례봉을 패스하고 바로 진행하였는데 올해는 초례봉을 왕복 1.6km 하기로 하고 초례봉까지 왔습니다. 정상을 찍었으니 다시 0.8km를 되돌아가서 낙타봉으로 올라서야 합니다.
11;44 헬기장[이정표 7-1/ ← 매여동 산림욕장(치유와 체험의 숲)1.8km, → 산림욕장(내곡동방면)1.6km, ↓ 초례산0.3km/0.32km] 9.89km
11;46 이정표 6-1[ ↑ 낙타봉(새미기재,환성산)1.5km, ← 산림욕장(매여동)2.0km, ↓ 초례산정상0.3km/0.07km] 9.96km
11;51 이정표 5-1[ ↑ 환성산2.8km, → 숙천동4km, ↓ 초례산정상0.6km/0.34km] 10.3km
11;56 초례봉갈림길[이정표 4-1/ ↑ 환성산2.6km, → 내곡동1.9km, ↓ 초례산정상0.8km/0.3km] 10.6km
12;05 이정표 8[ ← 환성산2.3km, ↑ 대곡리1.5km, ↓ 초례산정상1.1km/0.3km] 10.9km
12;15 낙타봉[해발656m/0.3km] 11.2km
♣낙타봉[駱駝峰/해발656m];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대곡리와 대구광역시 동구 매여동에 걸쳐 위치하고 있는 산이다. 봉우리의 모양이 마치 낙타 등의 육봉과 같이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낙타봉은 중생대 백악기에 관입한 경상누층군의 불국사층군 화강암에 속하는 팔공산화강암이 기반암이다. 유색광물인 흑운모와 각섬석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흑운모화강암 및 각섬석흑운모화강암이 주를 이룬다. 낙타봉 정상은 기반암이 노출되어 형성된 토르 지형이다. 낙타봉의 서쪽에는 율하천이 발원하여 남쪽으로 흐르고, 낙타봉의 동쪽에는 조곡천의 지류인 대곡천이 흐른다. 낙타봉 일대는 암석으로 이루어져 능선부에는 식생이 거의 없다. 다만 서쪽 사면에는 활엽수가 우세하고 동쪽 사면에는 소나무와 활엽수가 섞인 혼합림이 주로 분포한다. 낙타봉은 팔공산맥의 남동쪽 줄기인 환성산과 초례봉 사이에 위치한 암석 봉우리이다. 낙타봉의 북쪽 능선에는 경산시 하양읍과 대구광역시 동구를 연결하는 성령이 있다. 산행은 팔공산 종주를 할 경우 초례봉~낙타봉~성령~환성산~능성고개 코스를 이용하면 되고, 낙타봉만 산행할 경우 환성사에서 출발하여 팔공산 주능선~환성산~성령~낙타봉~하양읍 대곡리 코스를 이용하면 된다.
한참을 올라선 마루금을 낙타봉 정상에서 잠시 쉬어간다. 땀도 식히고 조망도 둘러보다 점심시간이 다되어 아래로 내려서 점심을 해결합니다.
13;09 이정표 9[ → 환성산1.7km, ← 매여동1.5km, ↓ 초례산정상1.7km/0.3km] 11.6km
13;29 이정표 10[ → 환성산1.0km, ↑ 대암봉6.2km, ↓ 초례산2.4km/0.9km] 12.5km
13;36 새미기재[한천성령/해발534m/이정표 11/ ← 대구 동구 평광동, → 경산 하양(대곡리)/0.2km] 12.7km
♣새미기재[성령,한천성령,새뫼기재/해발534m];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과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사이에 위치한 고개이다. 새미기재는 『조선지형도』에 ‘한천성령(寒泉城嶺)’으로 기록되어있다. 새미기재는 팔공산[1,192.9m]에서 남동쪽으로 뻗어나와 대구광역시 동구와 경상북도 경산시의 경계를 이루는 산줄기 도중에 고도가 낮아지는 안부에 위치한 고개이다. 이 산줄기는 팔공산맥에 해당한다. 팔공산맥 중 새미기재 주변 봉우리로는 북쪽의 환성산[811m]와 남쪽의 초례봉[635.7m]이 있다. 대구광역시 동구에 속한 서쪽은 불로천 유역에 해당하며 경상북도 경산시에 속한 동쪽은 조산천 유역에 해당한다. 두 하천 모두 금호강의 지류이다. 기반암은 팔공산의 산체를 이루는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흑운모화강암이 주를 이룬다. 새미기재는 삼국시대부터 대구와 하양을 연결하는 주요 교통로였으며,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 주민들이 하양장에 가거나 경산시 하양읍 주민들이 대구 불로장에 갈 때 넘나들던 고개였다. 현재는 동구 평광동과 대구 시가지를 연결하는 도로가 발달하고 대구 불로 5일장이 상설시장으로 변화하는 등 평광동과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간의 왕래가 줄어들어 교통 상의 중요성이 떨어졌다. 옛 길은 자전거나 도보로 이용 가능한 탐방로로 변화하였으며, 왕복 1차로의 차량용 도로가 새로 개설되었다.
언제나 산행에 선두를 달리고 계시는 아리수님
13;50 이정표 12[ → 환성산0.4km, ↓ 초례봉3km/0.5km] 13.2km
환성산 올라서기전에 삼각점이 먼저 있습니다. 삼각점을 확인하고 정상석으로 진행합니다.
14;05 환성산[감투봉/해발811.3m/삼각점/대구 311 1982 재설/이정표 13/ ← 관봉(갓바위)5.8km,↑ 환성사2.9km, ↓ 초례봉3.4km/0.5km] 13.7km
산도 잘타고 흥도 많고 성격도 좋으신 연두님
간만에 산행에 참석한 포도밭아가쒸[진숙]님의 산행도 여전하며 앞으로도 자주 참석하길 바랍니다.
♣환성산[環城山/해발811.3m]; 경산시 하양읍 대곡리·사기리와 대구광역시 동구 진인동·평광동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산이다. 환성산은 초례산[648.6m]과 함께 팔공산의 가장 남쪽을 이루는 산지이다. 환성산의 북쪽은 관봉[852.9m]으로 이어지고, 동쪽은 무학산[588.4m]과 연결된다. 환성산의 정상부는 기반암이 노출된 토르지형인데, 바위의 모양이 감투처럼 생겼다 하여 감투봉이라고도 불린다. 환성산은 동쪽의 무학산과 북쪽의 팔공산을 끌어당기는 고리 역할을 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한편,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신라 헌덕왕(憲德王)의 왕자인 심지왕사(心地王師)가 환성사(環城寺)를 이곳에 창건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에 주변의 산들이 사찰을 성처럼 둥글게 둘러싸고 있어 ‘환성산’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환성산 부근의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에 관입한 경상누층군 불국사층군화강암에 속하는 팔공산 화강암이 기반암인데, 유색광물인 흑운모와 각섬석 등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흑운모화강암 및 각섬석흑운모화강암이 주를 이룬다. 환성산의 정상에는 기반암이 노출되어 형성된 토르 지형이 나타나며, 사각기둥 형태의 바위는 마치 감투처럼 생겼다. 산지의 남쪽 사면은 경사가 매우 급하고, 북쪽 사면은 상대적으로 완만한 편이다. 환성산의 북동쪽에는 불굴사골을 흐르는 하천이 능성재에서 발원한 박사천으로 흘러들고, 동쪽에는 환성사골을 흐르는 하천이 동으로 흐르다가 남동쪽에서 조산천에 합류한다. 그리고 환성산의 서쪽은 대구광역시로 흐르는 불로천의 발원지를 이룬다. [현황] 환성산의 북서쪽 기슭에는 도림사가 있으며, 동쪽 기슭에는 환성사와 불굴사 등이 있다. 환성산 등산로는 환성사에서 산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환성사에서 출발하여 북쪽 방향으로 산행을 시작하면 능선에 이르고, 북서쪽으로 능선 길을 가다가 대구광역시와의 경계에서 남서쪽으로 향하면 환성산에 이른다. 환성산 정상에서는 동서로 펼쳐진 팔공산의 능선을 조망할 수 있다. 환성산에서 하산하는 길은 동쪽으로 향하면 환성사로 돌아오게 되고, 남쪽으로 향하면 낙타봉을 거쳐 하양읍 대곡리로 내려오거나 초례봉으로 향하게 된다.
진행중 가장높은 환성산까지 올라왔습니다. 환성산을 환장산이라고 부르는데는 그만큼 힘이들기 때문이라고 다들 그렇게 부릅니다.
14;14 이정표 14[ ↑ 관봉(갓바위)5.7km, ← 인산마을3.4km, ↓ 환성산0.1km/0.1km] 13.8km
14;30 환성재[이정표 15/ ↑ 관봉(갓바위)4.9km, ← 도림사1.3km, ↓ 환성산0.9km/0.9km] 14.7km
14;35 무학산갈림길[이정표 16/ ↑ 무학산4.3km, ↓ 관봉(갓바위)4.8km/0.2km] 14.9km
여기서 좌측으로는 팔공산 주능인 관봉으로 가지만 오늘은 무학산으로 진행합니다.
15;45 진행방향 좌측으로 떨어지면 불굴사로 탈출할수 있습니다.
15;53 무학산[해발574.5m/산불감시초소(유인)/4.6km] 19.5km
환성산에서 무학산까지의 등로는 편안하여 진행속도가 상당히 빠른편입니다. 무학산 정상의 산불감시대원과 오고가는 정이가는 대화를 한참을 하다가 하산을 합니다. 내려서는 길이 좀 헷갈릴수도 있지만 도로에 내려서면 거기서 거기라 쭉 내려서면 됩니다.
대원들과 진행중 마지막 정상에서 산불감시대원의 도움으로 단체사진을 남깁니다. 다들 준족들입니다.
17;05 도로로 내려서기 전입니다. 빠른속도로 내려왔습니다.
17;20 도로로 내려서서 하양역으로 진행중 경산하양교회는 2018년이나 지금이나 그대로 있습니다.
17;32 대구가톨릭대학교를 지나갑니다. 하양역이 얼마남지 않았습니다.
17;42 하양역까지 도착을 합니다. 아침에 출발할때와 같은 장소입니다. 이제 산행을 마무리합니다. 간단히 하산식하고 오늘 하루의 산행을 종료합니다.
하산식도 하고 지하철타니 따뜻함이 추운기운을 녹여주니 졸음이 쏟아집니다. 함께하신분들 안전하게 귀가하시길 바랍니다. 다음산행에 뵈요..
2025년02월15일
*산행지;경산 하양환종주[장군산~초례봉~낙타봉~환성산~무학산]
*산행거리;26.6km
*산행시간;09시간21분[휴식시간 01시간22분 포함]
*날씨;흐림
*기온;-3.6℃~12℃
*사용GPS;TRANGGLE,Ramblr
*특이사항;①2018년12월에 이어 두번째진행 ②지하철1호선[하양역] 하차후 산행진행 ③참여인원 5명
*산행코스;하양역~장군산~초례봉~낙타봉~초례봉~낙타봉~환성산~무학산~하양역
08;21 하양역[대구지하철 1호선]
[경북 경산시 하양읍 하양역길 1]
[경북 경산시 하양읍 금락리 133-43번지]
08;26 대구가톨릭대학교[0.826km]
09;10 이정표 1[ ↑ 정상, ← 부호리,경일대/2.394km] 3.22km
09;18 이정표 2[ ↑ 정상,제1체육시설, ← 제2체육시설/0.38km] 3.60km
09;20 장군산[해발312m/0.18km] 3.78km
09;49 삼각점봉[해발419.2m/1.33km] 5.11km
10;31 이정표 3[ → 환성산3.6km, ← 동구 내곡리3.8km, ↓ 카톨릭대 방면5.0km/2.20km] 7.31km
10;57 초례봉갈림길[이정표 4/ ↑ 초례산정상0.8km, ← 내곡동1.9km, ↓ 환성상2.6km/1.38km] 8.69km
11;02 이정표 5[ ↑ 초례산정상0.6km, ← 숙천동4km, ↓ 환성산2.8km/0.25km] 8.94km
11;10 이정표 6[ ↑ 초례산정상0.3km, → 산림욕장(매여동)2.0km, ↓ 낙타봉(새미기재,환성산)1.5km/0.38km] 9.32km
11;12 헬기장[이정표 7/ → 초례산0.3km, ↑ 산림욕장(내곡동방면)1.6km, ↓ 매여동 산림욕장(지식과 체험의 숲)1.8km/0.08km] 9.40km
11;16 삼각점[대구 313 1982 재설/0.17km] 9.57km
11;22 초례봉[해발635.7m/0.08km] 9.65km
11;44 헬기장[이정표 7-1/ ← 매여동 산림욕장(치유와 체험의 숲)1.8km, → 산림욕장(내곡동방면)1.6km, ↓ 초례산0.3km/0.32km] 9.89km
11;46 이정표 6-1[ ↑ 낙타봉(새미기재,환성산)1.5km, ← 산림욕장(매여동)2.0km, ↓ 초례산정상0.3km/0.07km] 9.96km
11;51 이정표 5-1[ ↑ 환성산2.8km, → 숙천동4km, ↓ 초례산정상0.6km/0.34km] 10.3km
11;56 초례봉갈림길[이정표 4-1/ ↑ 환성산2.6km, → 내곡동1.9km, ↓ 초례산정상0.8km/0.3km] 10.6km
12;05 이정표 8[ ← 환성산2.3km, ↑ 대곡리1.5km, ↓ 초례산정상1.1km/0.3km] 10.9km
12;15 낙타봉[해발656m/0.3km] 11.2km
12;24 중 식[0.1km] 11.3km
13;01 중식후 출발
13;09 이정표 9[ → 환성산1.7km, ← 매여동1.5km, ↓ 초례산정상1.7km/0.3km] 11.6km
13;29 이정표 10[ → 환성산1.0km, ↑ 대암봉6.2km, ↓ 초례산2.4km/0.9km] 12.5km
13;36 새미기재[한천성령/해발534m/이정표 11/ ← 대구 동구 평광동, → 경산 하양(대곡리)/0.2km] 12.7km
13;50 이정표 12[ → 환성산0.4km, ↓ 초례봉3km/0.5km] 13.2km
14;05 환성산[감투봉/해발811.3m/삼각점/대구 311 1982 재설/이정표 13/ ← 관봉(갓바위)5.8km,↑ 환성사2.9km, ↓ 초례봉3.4km/0.5km] 13.7km
14;14 이정표 14[ ↑ 관봉(갓바위)5.7km, ← 인산마을3.4km, ↓ 환성산0.1km/0.1km] 13.8km
14;30 환성재[이정표 15/ ↑ 관봉(갓바위)4.9km, ← 도림사1.3km, ↓ 환성산0.9km/0.9km] 14.7km
14;35 무학산갈림길[이정표 16/ ↑ 무학산4.3km, ↓ 관봉(갓바위)4.8km/0.2km] 14.9km
15;53 무학산[해발574.5m/산불감시초소(유인)/4.6km] 19.5km
17;20 경산하양교회[5.3km] 24.8km
17;32 대구가톨릭대학교[0.9km] 25.7km
17;42 하양역[대구지하철 1호선]
[경북 경산시 하양읍 하양역길 1]
[경북 경산시 하양읍 금락리 133-43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