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치박공 : 일명 합각박공이라고도 하며 합각의 양쪽머리에 있는 "팔"자 모
양으로 붙인 널빤지.
격자문 : 가는 문살을 가로·세로로 격이지게 짠 문.
고설삼문 : 정문이 좌우 협문보다 높게 설치된 삼문을 말하며 맞배지붕으로
된 고설삼문을 솟을 삼문이라고 한다.
고주 : 평기둥 보다 높게된 기둥으로서 보통 5량구조에서 부터 나타나며 건
물의 변주보다 높게 서서 동자주를 겸하여 종보를 떠받치고 있다.
고창 : 창문 윗쪽 문윗틀위에 있는 교살로 되어 있는 낮은 창. 예전에는 대
개 교살창으로 만들었으므로 교창이라고도 함.
골추녀 : 건물구석 지붕의 회첨골 밑에 대어 서까래를 받는 추녀. 일면 회첩
춘설라고도 함.
공간포 : 다포계양식에 있어서 기둥과 기둥사이의 평방위에 짜올려 놓은 공
포.
공포 : 주두, 소누, 첩차 등이 결구되어 처마끝의 하중을 떠받게 한 구조물.
굴도리 : 한식 목구조체에서 단면이 둥글게 된 도리.
굽받침 : 소로나 주두의 밑 부분에 받침을 돋히거나 디밀어 받친 부분.
귀기둥 : 건물의 모퉁이나 구석에 서는 기둥. 일명 우주라고도 함.
귀두 : 용마루 및 추녀마루 끝에 대는 귀신머리형의 장식기와.
귀솟음 : 건물의 우주를 어간 양편 평주보다 높게하는 것.
극락전 : 아미타여래상을 안치한 불전
금강문 : 문의 좌우 양측에 금강역사상을 안치한 절의 삼문.
납도리 : 한식목조구조에서 단면이 사각형인 도리.
납도리집 : 솔 받침과 평도리로써 된 집
단연 : 종도리에서 중도리 사이에 걸쳐 산자나 지붕널을 받은 짧은 서까래.
닷집 : 궁전, 사찰 등의 보좌 위에 짜서 단 방형의 장식(낙양이나 포작형태
의)으로 씌운 옥개.
당간지주 : 사찰앞에 세우는 당번을 달기 위한 간주인 당간을 받쳐 세우기
위한 지주.
대공 : 대량이나 종량위에서 그 윗부재인 마루대나 중도리를 받는 짧은기둥
이나 두꺼운 널로 만든 것.
대들보 : 일반적으로 대청 중간에 걸린 큰보를 일컬으며 기둥 상부에 얹힌
큰 지붕보이다.
대웅전 : 불사전체의 주 불전인 당에 해당하며, 사바세계의 석가모니 계신곳
을 나타낸다.
도리 : 보의 직각방향으로 걸어 서까래를 받아 처마 지붕을 꾸미는 횡재.
도편수 : 공장의 두목인 편수 중에서의 우두머리.
동자주 : 한식 목조구조에서 대량위에 세워 중도리와 종보를 받는 짧은 기
둥.
두공 : 주두 위에 평방방향으로 가로끼여 주심도리를 받치고 있는 맨밑의 첨
차.
막새 : 처마끝에 덮는 와당(비흘림판)이 숫기와이며 와당이 달린 암기와는
내림새라 한 다.
망와 : 망새기와 지붕마루 끝에 얹은 우뚝하게 생긴 암막새.
민도리집 : 도리와 장설로서만 된 집.
박공널 : 맛배지붕의 측면에 팔자형으로 붙인 두터운 널판지.
방전 : 진흙을 정4각형으로 빚어 구운 검정색의 점토제품. 바닥이나 벽 등에
사용.
뺄목 : 횡재가 기둥을 뚫고 나온 부분.
벽선 : 벽중간에 세운 문설주.
변탕 : 대패질을 할 적에 깍아낼 부분에 대한 표시를 해두기 위해 나무 모서
리를 밀적에 쓰는 대패. 보통 대패날이 양쪽에 두개가 있다.
보 : 위에서 오는 하중을 받아 수직한 기둥이나 벽체에 전달하기 위한 수평
재. 이러한 량의 종류에는 대량, 중종보, 종보, 홍예보, 우미량, 퇴보 등이 있
다.
보아지 : 기둥머리 또는 주두에 끼어 보의 짜임새를 보강하기 위해 가로 끼
운 조각된 부재.
복화반 : 화반의 모양이 아래쪽이 넓고 윗쪽은 좁은 것.
부연 : 처마서까래 끝위에 덧대는 네모진 짧은 서까래 처마를 위로 들리게
하는 역할을 함.
분합문 : 대청이나 마루방 앞에 드리는 네쪽의 긴 창살문.
사래 : 추녀끝에 덧달아 부연과 조로를 받치는 네모난 부재.
산자 : 지붕서까래 위에 앙토하고 기와를 잇기위해 싸리깨비 장작 따위를 가
는 새끼로 꼬아 엮어 맨 것.
살미 : 공포 부재인 쇠서가 중첩된 것으로 첨차에 직교되며 외부는 쇠서형으
로 조각되고 내부는 교두형이나 초엽, 연화문 등을 새긴 것.
서까래 : 용마루, 중도리, 처마도리 등의 도리에 걸쳐서 산자나 지붕널을 받
치고 있는 경사재.
선자서까래 : 처마 모퉁이의 추녀 양옆에 부채살과 같이 방사형으로 배치한
귀서까래.
소로 : 장혀나 공포재인 첨차 행공 등을 받치며 주두와 같은 모양을 하고 있
으나 그 보다 작은 부재.
솟을대문 : 가운데 지붕이 좌우칸이나 행랑체의 지붕보다 높게 설치한 대문.
솟을대공 : 마루대공의 일종으로서 팔자형으로 두 부재를 맞 물려 짠 대공.
수서 : 쇠시의 일종으로 우설 끝이 아래로 삐죽하게 쳐진꼴로 된것.
쇠서 : 다포계목조 건축 공포에 있어서 보 방향 첨차에 직교하여 끝이 소의
혀모양 형태를 취하고 있는 살미의 끝 부재. 앙설과 수설을 통털어
쇠서라고 함.
신방 : 일각대문 등에 있어 기둥 하단부에 가로댄 베개목.
안쓸림 : 기둥을 세울시 시각착시 현상을 줄이기 위해 기둥의 상부를 약간
안쪽으로 쏠리게 세우는 것.
안초공 : 기둥머리에 얹혀서 기둥 상부의 공포를 받는 초각한 반.
앙서 : 쇠서의 끝이 위로 삐죽하게 솟은 것.
앙시도 : 건물이나 사물의 수평부분을 올려다 보고 나타낸 평면도.
양성 : 지붕마루 전체의 양면을 회반죽 따위로 감싸 바른 것.
어간 : 궁전이나 사찰 등의 권위 건축에 있어 양쪽 칸보다 큰 가운데의 기둥
과 기둥사이의 간.
연등천장 : 연목 및 연골이 그대로 들어난 부분을 단청한 천장.
완자무늬문 : 문짝의 살대가 만자무늬의 형으로된 문.
외목도리 : 기둥 바깥쪽에 걸리거나 포작외부에 얹힌 도리.
용마루 : 건물의 지붕 중앙에 높이 있는 주된 마루
우물마루 : 한식건축에 있어 동귀틀과 장귀틀을 짜고 그 틀에 장청판이나 단
청판을 끼운것.
우물천장 : 반자살을 바둑판처럼 정자형으로 짜고 그 격자위에 넓은 널을 덮
은 천장.
우미량 : 도리와 보에 걸처대어 동자기둥을 받거나 처마도리나 동자기둥에
걸쳐 그 안 부분은 중도리 역할을 하는 쇠꼬리 모양으로 휜 보
이방 : 귀평방 머리위에 얹쳐 공포의 귀한대(귀기둥 위에서 뻗혀 내민 촛가
지)의 귀공포를 받치는 나무판.
익공 : 처마도리나 창방·보아지 등에 초새김하여 끝이 쇠서 모양을 한 장식
적인 형태로 주심포와 다포의 양식이 혼용된 구조재.
인방 : 기둥과 기둥사이의 문 위나 아래 및 교창위에 걸쳐 끼운 횡재.
일각대문 : 좌우에 기둥 하나씩을 세워 지붕을 얹은 대문.
자귀 : 나무를 깎을 때 쓰는 도구로 나무 자루에 부리가 크고 길다란 무거운
쇠날을 꽂아 곡면과 능면을 깎고 다듬을 때 사용하는 도구.
장연 : 중도리에서 처마끝까지 걸쳐 긴 서까래.
장지문 : 문살에 창호지를 발라 반투명하게 한 문.
장혀 : 도리의 보조재로서 단면이 장방형으로 폭보다 운두가 높은 가로재.
장화반 : 이익공집에서 창방과 장혀사이의 긴 널에 여러 개의 화반을 새긴
것.
접시받침 : 공간포 등을 받치는 사각재인 소로.
제공 : 공포에 있어서 첨차와 살미가 층층히 쌓여 올라간 각 부분.
조로 : 추녀, 사래와 귀서까래에 있어 휘어 오른 평고대.
종보 : 지붕틀에 있어 맨 위에 있는 보로서 동자기둥에 받쳐있거나 오량가에
있어서 고주에 의해 받쳐져 상부로는 대공을 받치고 있는 보.
주두 : 기둥위에 얹혀 공포를 받치고 있는 사각재.
주심도리 : 주심 위에 가로 얹힌 도리.
주심포 : 기둥상부에만 사각제의 주두를 올려 놓고 그 위에 공포를 짜아 올
라가는 단순한 형식
지네철 : 방공판이 용마루에서 마주치는 곳에 좌우 박공판을 연결하여 고정
하기 위해 장식적인 철물.
지붕마루 : 전후 지붕면이 꼭대기에서 마주치는 곳에 높이 쌓은 턱.
착고 : 적새 밑의 기와골을 막는 숫기와.
창방 : 기둥머리에 옆으로 낀 횡재로 화반·공포등을 받는 가로재로서 평방
을 겹쳐댈 때도 있다.
차양 : 햇볕을 가리기 위하여 벽에서 내밀어 꾸민 폭이 좁은 지붕.
처마서까래 : 처마도리와 중도리에 걸어 처마도리 바깥으로 길게 내민 서까
래.
첨차 : 주두 또는 소로 위에 도리 방향으로 얹혀있는 짤막한 말굽 형태의 공
포부재.
청판 : 마루를 까는데 쓰이는 네모지고 두툼한 짧거나 긴 나무판, 단청판,
장청판.
초가지 : 공포의 내외에서 산륵끝이 초각된 것으로 도리방향에 직교하여 거
는 익공·쇠서 에 초엽무늬를 새긴 것.
추녀 : 모임지붕의 귀마루를 받치는 대각선으로 거는 경사재로 양옆에 귀서
까래와 선자 서까래가 붙음.
출목 : 공포에서 첨차가 주심으로 부터 돌출되어 외목도리를 받치는 것.
취두 : 용마루 양 상단에 짐승머리의 장식으로 권위 건축에 많이 사용된다.
탕 : 나무의 모서리나 표면에 깊은 턱이나 골을 밀어 깎는 대패의 일종.
토수 : 추녀, 사래 끝에 끼워 장식하는 용두형이나 귀두형의 기와.
퇴량 : 고주가 있을 때나 퇴간이 달릴 경우 그 위에 걸려 있는 짧은 량으로
써 대들보보다 한단 낮게 걸리는 것이 보통이다.
판대공 : 여러쪽의 두꺼운 나무판을 중첩하여 만든 태공으로 일반적으로 조
각하지 않은 사다리꼴 모양이며 종량 위에 얹혀 종도리를 받음.
평고대 : 처마서까래 끝을 연결하고 부연 끝을 아무리는 단면이 사각재인 긴
가로재. 이맥이, 초맥이.
평방 : 공간포나 공포 등을 받기위해 평주위에 건너지른 창방위의 가로재.
주로 다포계 건축에서 나타남.
포대공 : 공포처럼 짜아 만든 대공으로서 중보 받침에 주로 사용되며 화반대
공과 복합되어 많이 사용된다.
행공 : 주심포에 있어 외목도리와 장혀를 받치는 첨차.
현어 : 박공판이 마주치는 이자 부분 꼭대기 하부에 다는 물고기 및 조화체의 장식.
협칸 : 어간의 좌우 양측에 있는 기둥과 기둥사이의 간.
화반 : 창방이나 문인방의에 얹혀 도리·장여를 받는 초새김한 받침.
홍살문 : 릉·원·향교 등에 들어 가는 어귀에 세운 지붕이 없는
붉은 살을워댄 두기둥.
홍예보 : 수평으로 이루워진 보와는 달리 아아치 모양으로 구보러진 보. 모
양이 무지개 같다고 홍량이라 하나 층이 다른 보의 연결 또는 회랑이나
퇴간의보 등에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