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생의 의식
<126>
1.儀式(의식) : ①어떤 행사(行事)를 치르는 법식(法式) ②또는, 정(定)해진 방식(方式)에 따라 치르는 행사(行事) ③공사(公事), 불사(佛事), 신사(神事), 경조(慶弔) 등(等)이 있을 때 행(行)하는 예법(禮法)
2.上座(상좌) : ①윗자리 또는 높은 자리. 고좌(高座) ②절의 주지(住持), 강사(講師), 선사(禪師), 원로(元老)들 이 앉는 자리
3.滿月(만월) : 보름달. 가장 완전(完全)하게 둥근 달
4.銀環(은환) : 은가락지. 은으로 만든 고리
<127>
5.周代(주대)
6.筮賓(서빈)
7.皮弁(피변) : ①임금이 평상시 조회 때 쓰는 관(冠). 녹비로 만들고 금량(金梁)을 닮 ②녹비로 둥글게 비죽이 만들고 끝에 꼭지를 단 관(冠). 벼슬아치가 조정(朝廷)에 출사(出仕)할 때에나 가관(加冠)의 예(禮)를 지낼 때에 씀
<128>
8.爵弁(작변)
9.字(자)
10.笄禮(계례)
11.春秋(춘추)시대 : 중국(中國) 주(周)나라의 東遷(동천)으로부터 진(晉)나라의 大夫(대부) 한(韓)ㆍ위(魏)ㆍ조(趙) 삼씨(三氏)의 독립(獨立)까지 약 320 년간의 시대(時代)
12.嫡(적) : ㉠정실(正室), 본처(本妻) ㉡본마누라 ㉢본처가 낳은 아들 ㉣맏아들 ㉤대를 이을 사람
<129>
13.朠(영)
14.歸(귀) : ㉠돌아가다 ㉡돌아오다 ㉢따르다 ㉣붙좇다(존경하거나 섬겨 따르다) ㉤맡기다 ㉥마치다 ㉦시집가다 ㉧편들다
15.嫁(가) : ㉠시집가다(媤---) ㉡시집보내다 ㉢떠넘기다 ㉣가다, 향하여 가다 ㉤시집(媤-)
16.娶(취) : ㉠장가들다 ㉡아내를 맞다 ⓐ중매들다 (서)
17.定親(정친)
18.媒人(매인)
19.說親(설친)
<130>
20.納采(납채) : 신랑(新郞) 집에서 신부집(新婦-)에 혼인(婚姻)을 구(求)하는 의례(儀禮). 이제는 납폐(納幣)와 같은 뜻으로 씀
21.問名(문명) : 혼인(婚姻)을 청할 때 새색시가 될 여자(女子)와 그 집안에 관(關)하여 묻는 일
22. 納吉(납길) : 신랑(新郞) 집에서 혼인(婚姻)날을 받아 신부(新婦) 집에 알림
23. 納徵(납징) : ①혼인(婚姻) 때 신랑(新郞) 집에서 신부집(新婦-)으로 보내는 폐백. 흔히 푸른 비단(緋緞)과 붉은 비단(緋緞)을 보냄 ②또는, 그 비단(緋緞)
24.請期(청기) : 육례의 하나, 혼인(婚姻)할 때에 신랑집(新郞-)에서 택일을 하여 그 가부를 묻는 편지(便紙)를 신부집(新婦-)으로 보냄
25.吉日(길일) : ①좋은 날. 길한 날. 가신(佳辰) ②매월 음력(陰曆) '초하룻날'을 달리 이르는 말
26.親迎(친영) : ①친히 맞이함 ②육례(六禮)의 하나. 신랑이 신부네(新婦-) 집에 가서 신부(新婦)를 직접(直接) 맞음, 또는 그 의식(儀式)
27.樂人(악인)
28.合卺(합근)
29.親房(친방) : 안방
30.宋大(송대)
<131>
31.鬧房(요방)
32.族(족)
33.親行(친행)
34.禮記(예기)
35.休書(휴서) : 이혼(離婚)의 증서(證書)
36.喪(상)
37.婚需(혼수) : ①혼인(婚姻)에 쓰이는 물품(物品) ②혼인(婚姻)에 드는 씀씀이
<132>
38.位牌(위패) : 단(壇)ㆍ묘(廟)ㆍ원(院)ㆍ절 등(等)에 모시는 신주(神主)의 이름을 적은 나무패. 목주(木主). 영위(靈位). 위판(位版)
39.屬纊(속광) : (옛날 중국(中國)에서 사람이 죽어갈 무렵에 고운 솜을 코나 입에 대어 호흡(呼吸)의 기운(氣運)을 검사(檢査)했던 데서)임종(臨終)을 달리 이르는 말
40.招魂(초혼) : ①혼을 부름 ②사람이 죽었을 때, 그 사람이 생시에 입던 저고리를 왼손에 들고 오른손은 허리에 대어 지붕에 올라서거나 마당에서 북쪽을 향(向)해 「아무 동네 아무개 復(복)」이라고 세 번 부르는 일
41.復(부)
42.楚辭(초사) :중국(中國) 전국(戰國) 시대(時代)의 屈原(굴원) 宋玉(송옥) 등(等)에 의(依)하여 시작(始作)된 초(楚)의 운문(韻文), 또는 운문(韻文)을 편집(編輯)한 책 이름. 대부분(大部分) 어구가 길며, 신화(神話), 전설(傳說)이 많이 들어 있고, 풍부(豊富)한 상상(想像)을 볼 수 있음.
43.詩(시)
44.氣(기)
45.小殮(소렴) :시체(屍體)이 새로 지은 옷을 입히고 이불로 쌈
46.棺(관)
47.大殮(대렴)
48.殯(빈)
49.死者(사자) :죽은 사람
50.下棺(하관) :(주검을 묻기 위(爲)하여)관(棺)을 광중(壙中)에 내림
51.靈柩臺(영구대)
52.親疎(친소) :'친하여 가까움'과 '친하지 못하여 버성김'을 아울러 이르는 말
53.紼(불)
54.挽歌(만가)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시가(詩歌). 영결노래
55.古代詩(고대시)
56.陶淵明 時(도연명 시) :도연명→(365~427) 중국(中國) 진(晋)나라의 시인(詩人). 이름은 潛(잠)
57.挽聯(만연)
58.殷代(은대)
<133>
59.殉葬(순장) :죽은 사람과 가까웠던 사람이나 동물(動物)을 딸려 함께 묻는 일
60.俑(용) :목우(木偶: 나무로 만든 사람 형상) 허수아비,아프다
61.牛馬(우마)
62.冥器(명기) :죽은 이의 명복을 빌려고 제물(祭物)을 담아 태우는 종이 그릇
63.縮小物(축소물)
64.童男(동남)
65.童女(동녀)
66.小像(소상) :①작은 상(像) ②조그만 초상(肖像)
67.金山(금산) :금광(金鑛)
68.銀山(은산) :은광(銀鑛)
69.紙錢(지전)
70.外官(외관)
71.封墳(봉분) :흙을 쌓아 올려 무덤을 만듦. 봉묘(封墓). 봉분을 만듬
72.後周(후주) :중국(中國) 5대(五代) 맨 마지막 왕조(王朝). 곽 위가 후한(後漢)을 없애고 대량(大量)에 도읍(都邑)하고 세운 나라로 송(宋)나라에게 망(亡)하였음. (951∼960). 중국(中國)의 남북조(南北朝) 때에 북위가 동서(東西)로 분열(分裂)한 뒤, 서위의 우 문각이 세운 나라. 서울은 장안, 5대 26년 만에 수(隋)나라에게 망(亡)하였음. (556∼581). 북주(北周)
73.前漢(전한) :중국(中國) 왕조(王朝)의 하나 고조(高祖) 유방(劉邦)이 진(秦)이 붕괴(崩壞)된 뒤, 항우(項羽)를 쓰러뜨리고 장안(長安)에서 제위(帝位)에 오르고부터 왕망(王莽)에게 찬탈(纂奪)되기까지의 한(漢)나라의 칭호(稱號)
74.佛僧(불승) :절에서 살면서 불도(佛道)를 닦고 실천(實踐)하며 포교하는 사람. 본래(本來)는 그러한 단체(團體)를 일컫던 말임
75.喪服(상복) :상중(喪中)에 있는 상제(喪制)나 복인(服人)이 입던 예복(禮服). 성긴 마포(麻布)로 짓되, 그냥 호거나 혹은 재단(裁斷)만 하고 바느질을 곱게 하지 않음
76.孝服(효복) :상중에 있는 상제(常制)나 복인이 입는 예복(禮服)
77.穿孝(천효)
78.喪(상)
<134>
79.斬衰(참최) :오복(五服)의 하나. 아버지나 할아버지의 상(喪)에 입음
80.長子
81.齋衰(재최)
82.杖期(장기)
83.大功(대공) :오복(五服)의 하나. 대공친(大功親)의 상사(喪事)에 9개월 동안 입는 복제(服制).
84.小功 :①5복(服)의 하나. 소공친(小功親)의 상사(喪事)에 다섯 달 동안 입는 복제(服制). 가는 베로 지음 ②작은 공(功). 조그마한 공로(功勞)
85.思麻(사마)
86.儀禮(의례)
<135>
87.明代(명대) :한족(漢族)이 몽골족이 세운 원(元)나라를 멸망시키고 세운 통일왕조(1368∼1644).
88.長子(장자) :맏아들
89.同姓(동성) :같은 성(姓).
<136>
90.火葬(화장) :죽은 사람을 불에 살라 장사(葬事)지냄. 불교식(佛敎式) 장사(葬事)의 하나. 화장(火葬), 수장, 임장, 토장의 네 가지가 있는 데, 화장(火葬)이 주가 됨
91.黃泉(황천) :사람이 죽어서 간다는 곳. 저승
92.孔子(공자) :중국 고대의 사상가, 유교의 시조. 최고의 덕을 인이라고 봄.
93.不可知論(불가지론) :사물(事物)의 본질(本質)이나 궁극적(窮極的) 실재(實在)의 참모습은 사람의 경험(經驗)으로는 결코 인식(認識)할 수 없다는 이론(理論)
94.漢代(한대) :진(秦)에 이어지는 중국의 통일왕조(BC 202∼AD 220).
95.東岳(동악) :중국(中國) 오악의 하나인 태산(泰山)을 달리 이르는 말
96.四川省(사천성) :중국(中國) 중부(中部), 양자강(揚子江) 상류(上流)의 사천 분지(盆地)와 티벳 고원(高原) 동부(東部)를 차지하는 성.
97.酆都(풍도)
98.善行(선행) :착하고 어진 행실(行實)
99.金橋(금교)
100.銀橋(은교)
101.孟娘娘(맹낭낭)
102.四肢(사지)
<137>
103.閻羅(염라) :염라(閻羅) 대왕(大王)
104.判官(판관)
105.警官(경관)
106.馬面(마면) :말의 이마나 얼굴에 씌우던 꾸미개
107.牛頭(우두) :소의 머리
108.地藏王(지장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