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의
이화학적 특성
1)살충제의
작용기작
①신경계의 이해
:
피부의
감각기관→감각신경계→시냅스→중추신경계
②신경기능
저해
⒜신경축색의
전달저해
⒝시냅스 전막의
저해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HE)의 활성
저해→유기인제
⒟아세틸콜린수용체(Ach
receptor)의
저해
③에너지 대사의 저해
:
메틸브로마이드,
클로로피크린 등의
화합물.
TCA회로에
관여
④키틴(chitin)의 생합성 저해
:
연약한 탈피로 건조증에
노출,
치사
⑤호르몬균형의
교란
ex)탈피억제
호르몬(Anti-MH)
: 메소프렌,
유충억제
호르몬(Anti-JH)
: 프리코센
⑥미생물 살충제
:
토양 중의
Bt(Bacillus
thuringiensis)세균의 체내에는
델타-내독소가
있는데,
곤충 중장세포의
ATP합성을 저해하고 장막의
투과성을 변화시켜 체액의 PH와 이온의 변화를
초래함으로써 곤충을 죽게 한다
작용점 |
작용기작 |
주요
농약 계통 |
신경계
Che |
신경전달
물질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성저해 |
유기인계,
카바메이트계 |
시냅스후막 |
신경
자극수용 저해 |
니코티노이드계 |
신경
축색 |
신경
자극전달 교란 |
유기염소계,
피레스로이드계 |
대사계 |
에너지
대사 저해 |
데리스제(로테논) |
키틴
생합성 저해 |
우레아계(디플루벤주론
등) |
호르몬
균형교란 |
유약호르몬(메톡시페노자이드) |
원형질 |
단백질
응고 |
비소제(비산연),
유기수은제 |
호흡기관 |
질식 |
클로르피크린,
메틸브로마이드 |
근육 |
마비 |
데리스제(로테논)
디아미드계(알타코아) |
피부 |
피부
부식,
기계적
호흡 저해 |
기계유유제 |
-살충제
1)살충제의
침입
①살충제의
작용점 :
피부,
원형질,
호흡계,
신경계(살충제의
적절한 작용점)
②살충제의
침입경로별 분류
⒜접촉제
:
해충의
피부나 기공을 통해 침입
지속적
접촉제 |
유기염소계 및 일부
유기인계 살충제는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쉽게
분해되지 않아 환경오염의
원인이 된다 |
비지속적
접촉제 |
피레스로이드계,
니코틴계 및 일부 유기인계
살충제는 속효성이고
잔류성이 짧아 환경오염의
피해가 적다 |
⒝소화중독제(식독제)
: 입을
통해 침입.
잔효성이
길다
⒞침투성
살충제 :
식물의
뿌리,
잎,
줄기처리.
흡즙성
해충에 선택적 작용
⒟훈증제
:
해충의
기문을 통해 침입.
속효성이고
비선택적이다
2)살충제의
작용기작
①신경계의
이해 :
피부의
감각기관→감각신경계→시냅스→중추신경계
*신경전달물질
:
아세틸콜린(Ach,
acethylcholine)
②신경기능
저해
⒜신경축색의
전달저해
⒝시냅스
전막의 저해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HE)의
활성 저해→유기인제
⒟아세틸콜린수용체(Ach
receptor)의
저해
③에너지
대사의 저해 :
메틸브로마이드,
클로로피크린
등의 화합물.
TCA회로에
관여
④키틴(chitin)의
생합성 저해 :
연약한
탈피로 건조증에 노출,
치사
☞곤충생장조절(IGR)계
살충제
:
뷰프로페진,
디플루벤쥬론,
클로르플루아쥬론,
헥사플루뮤론,
테플루벤쥬론,
트리플루뮤론
등
⑤호르몬균형의
교란
ex)탈피억제
호르몬(Anti-MH)
: 메소프렌,
유충억제
호르몬(Anti-JH)
: 프리코센
⑥미생물
살충제 :
토양
중의 Bt(Bacillus
thuringiensis)세균의
체내에는 델타-내독소가
있는데,
곤충
중장세포의 ATP합성을
저해하고 장막의 투과성을 변화시켜 체액의 PH와
이온의 변화를 초래함으로써 곤충을 죽게 한다 →
*작용점에
따른 살충기작과 살충제
신경기능
저해 |
-신경축색의 전달저해
:
DDT, 피레트로이드(pyrethroid)계
-시냅스 전막의 저해
:
BHC나
사이클로디엔(cyclodien)계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촏)의 활성저해
:
유기인계,
카바메이트계 |
아세틸콜린수용체의
저해 |
니코틴,
네레이스톡신,
카탑 |
에너지대사의
저해 |
메틸브로마이드,
클로로피크린,
로테논(rotenone) |
키틴의 생합성
저해 |
뷰프로페진,
디플루벤쥬론,
클로르플루아쥬론
등 |
호르몬 균형의
교란 |
메소프렌,
프리코센 |
미생물
살충제 |
Bt제 |
*작용기관에
따른 살충제
신경독(nerve
poison) |
유기인제,
BHC, 피레트린 |
원형질독(protoplasmic
poison) |
비소제,
유기수은제 |
피부독(skin
poison) |
기계유
유제 |
호흡독(respiratory
poison) |
청산가스 |
근육독(muscle
poison) |
데리스제 |
[출처]농약
이화학적 특성|작성자권기도
2)살균제의
작용기작
①호흡(에너지
대사과정)의
저해
=
구리제,
유기수은제,
유기유황제,
클로로타로닐,
캡탄,
폴펫
등
②단백질 생합성의 저해
:
대부분
항생물질이다
=
합성개시기
저해 |
스트렙토마이신,
가스가마이신 |
펩타이드신장기
저해 |
블라스티시딘-에스 |
합성종료기
저해 |
테누아조닉산 |
합성전과정
저해 |
사이클로헥시마이드 |
③세포막 형성의 저해
:
에르고스테롤(ergosterol)의 생합성
저해제
=디페노코나졸,
디니코나졸,
헥사코나졸,
마이클로뷰타닐,
뉴아리몰,
트리아디메폰 등
④세포벽 형성의 저해
:
병원균의 키틴 생합성
저해에 의한 세포벽 형성 저해제
=폴리옥신,
에디펜포스,
이프로벤포스(IBP)
등
⑤세포분열의 저해
:
세포분열 시 핵의 이동에
관여하는 진균의 미소관 형성을 억제
=베노밀,
티오파네이트메틸,
벤지미다졸계 살균제
⑥숙주식물의 병해저항성
유발
ex)
벼
도열병 예방약제인 트리사이클라졸(tricyclazole)은 벼의 세포벽에 집적되는
멜라닌색소의 합성을 억제하며 도열병균 부착기로부터의 물리적 침입을 억제하므로 벼 자체의 방어능력이 강화되어 도열병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게
된다
⑦인지질 생합성
저해
⑧세포기능저해
⑨멜라닌 색소
저해
-살충제의
작용기작2
①호흡(에너지
대사과정)의
저해
:
SH저해제에
의한 탈수소과정의 저해(살균제)
전자전달
저해,
ATP생성의
저해(살충제,
제초제)
SH저해제 |
생체 내에서
산화‧환원에 관여하는 효소 중
SH기를 가진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거나 산화를 방지함으로써 호흡이 저해되고 결국 병원균이 치사한다.
구리제,
유기수은제,
유기유황제,
클로로타로닐,
캡탄,
폴펫
등 |
전자전달
저해 |
카복신,
메프로닐,
에트리디아졸
등 |
ATP생산
저해제 |
산화적 인산화를 저해하는
것으로 에너지전이 저해제라고도 한다.
→
유기주석제,
펜타클로로페놀(PCP,
사용금지)
등 |
②단백질
생합성의 저해 :
대부분
항생물질이다
합성개시기
저해 |
스트렙토마이신,
가스가마이신 |
펩타이드신장기
저해 |
블라스티시딘-에스 |
합성종료기
저해 |
테누아조닉산 |
합성전과정
저해 |
사이클로헥시마이드 |
③세포막
형성의 저해 :
에르고스테롤(ergosterol)의
생합성 저해제
→디페노코나졸,
디니코나졸,
헥사코나졸,
마이클로뷰타닐,
뉴아리몰,
트리아디메폰
등
④세포벽
형성의 저해 :
병원균의
키틴 생합성 저해에 의한 세포벽 형성 저해제
→폴리옥신,
에디펜포스,
이프로벤포스(IBP)
등
⑤세포분열의
저해 :
세포분열
시 핵의 이동에 관여하는 진균의 미소관 형성을 억제
→
베노밀,
티오파네이트메틸,
벤지미다졸계
살균제
⑥숙주식물의
병해저항성 유발
ex)
벼
도열병 예방약제인 트리사이클라졸(tricyclazole)은
벼의 세포벽에 집적되는 멜라닌색소의 합성을 억제하며 도열병균 부착기로부터의 물리적 침입을 억제하므로 벼 자체의 방어능력이 강화되어 도열병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게 된다
[출처]농약
이화학적 특성|작성자권기도
출처 :
http://blog.daum.net/hyojinchanyang/10
http://blog.daum.net/hyojinchanyang/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