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일자; 2007년02월10일
산행코스; 영도구 종합 사회복지관~복천사~백련사 갈림길~조봉~백련사 갈림길~산신제터
~헬기장~조봉,자봉 안부~백련사 갈림길~목장원~75광장
이번산행은 2007년01월14일 부산영도 봉래산(394.5m) 산으로 바다로 (조봉~자봉~손봉)
능선코스에 이은 정상인(조봉)을 한바퀴 도는 코스이다.

봉래산은 원래 신선이 살고 불로초와 불사의 영약이 있다는 중국의 상상 속의 영산. 영도의 봉래산도
그 만큼 신령스러움이 담겨 있다는 뜻이다. 현실적으론 태풍때 남항과 북항의 1차 저지선이기도 해
부산으로선 고마운 산이기도 하다.
한데 일제강점기때 일본은 봉래산의 기세를 꺾어놓기 위해 '목이 마른 산'이란 의미의 고갈산(沽渴山)
으로 격하해 불렀다. 심지어 '공갈산'이란 웃지못할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다행히 최근 우리산이름 되찾기 운동의 일환으로 인해 봉래산으로 정착돼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영선 윗로타리에서 마을버스 2번을 타고 영도구 종합 사회복지관 입구에서 하차한다.


복천사까지 안내표시판이 잘 나와있어 별 여려움없이 들머리를 ?O을수 있다.


산길은 복천사 안내도 우측 철망사이로 나있다.

잠시 복천사 경내를 구경하고

영도는 예로부터 말(馬)과 인연이 많은 곳이다. 목마장으로 유명해 그림자 조차 따라오지 못할 정도로
빨리 달리는 명마, 즉 절영 명마를 생산한 섬으로 절영도가 줄어져 영도란 이름이 나왔다.

원래 봉래산이란 동쪽바다 한 가운데 있어서 신선이 살고 불로초와 불사약이 있다는 상상속의 영산이다.
봉황이 날아드는 산이라는 의미로 영도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간이체육 시설이 있는 약수터에서 목을 축이고 돌계단으로 오른다.


연이어 사당이 나오는데 동네분들이 말하길 바위에 부각된 입상은 시멘트로 만들었다 한다.



봉래산을 일제시대에는 고갈산으로 불렀다. 목이 마른 산 혹은 말라서 없어지는 산이란 뜻이다. 일본이
산의 기세를 꺾어 한반도 점령의 교두보로 삼기 위해서였다. 우리의 옛 이름인 봉래산으로 불러야겠다.

봉래산 정상에는 할배바위가 있다. 그래서 조봉(祖峰)이라고도 불린다. 좀더 시원한 조망을 볼 요량으로
무심코 올랐다가는 “당장 내려오세요”라는 핀잔을 듣기 일쑤다. 영도 사람들이 수호신처럼 경외감을 갖
는 바위이기 때문이다.

손수건으로 할배바위를 딱으시는 영도 어르신과 절을하는 아주머니.


영도의 한가운데 우뚝 솟은 봉래산에 서면 부산이 진정 항구도시라는 사실을 실감한다. 영도다리를 중심
으로 왼쪽은 자갈치 및 공동어시장을 보듬은 남항이 있고, 오른쪽은 수출역군으로 상징되는 갠트리크레
인이 일렬로 정렬된 북항의 컨테이너부두가 한 눈에 조망된다. 부산의 상징인 오륙도와 이기대는 물론,
저멀리 가덕도와 거제도도 확인된다.

산이 주는 즐거움 가운데 하나는 일상으로 부터의 탈출을 허용한다는 것. 한 번쯤 자신이 서 있는 자리에
서 한발 물러서 돌아보게 하는 마력을 산은 갖고 있다.

정상에서 다시내려와 조봉주위를 한바귀 돌 요량으로 산제당 방향으로 길을 잡는다.

봉래산은 금정산 백양산 장산 등 부산의 유명한 산에 비해 많이 알려지지 않았으면서도 섬이란 특성이
빚어낸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는 곳이다.

산신제터. 담벼락도 제법 튼튼하게 만든 내부에는 과거 샘터의 흔적이 남아있다.


헬기장 그리고 체육공원엔 화장실 시설도 있다.

봉래산 산행은 낮 12시 이전에 산불감시초소를 통과해야 한다. 산불예방차원에서 경방원들이 입구에서
출입을 통제하기 때문이다.

정상 진행방향은 우측 시멘트길. 시들시들한 산죽을 따라 KT중계소와 KBS 및 MBC 송신소를 잇따라
지난다.


조봉정상 오름길을 지나 조봉에서 자봉으로 넘어가는 안부에서 복천사 삼거리로 트래퍼스하여 목장원
으로 하산길을 잡는다.


母泉 약수터에서 목을 축이고,

함지골 제2체육공원을 지나..


임도를 따라 내려가면..

손봉에서 내려오는 임도길과 만난다.


목장원을 지나..

도로를 건너면 75광장이다.


팔각정 전망대에서 바라본 목장원과 봉래산 손봉이다.



해안선을 따라 난 절영해안 산책로.

중리해변 해녀촌.

근간 산들님과의 산행에 5학년 18반인 큰동서 형님과 나들이 산행을 못해 뭇내 마음 아팠는데
모처럼 큰동서형님과 함께한 이번 봉래산 코스는 섬 산에서 누릴 수 있는 모든 호사를 누릴수있고
산행거리도 6km 남짓이라 가족이나 산행초보자에게 권하고픈 코스이기도 하다.
첫댓글 동서님과 좋은 시간 보내셨네요... 잘 보았읍니다...
네..형님 맨날 남(?)만 데려가지말고 같이 가자고 하시는걸 봉래산을 함께 다녀오니 마음의 부담은 지울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대장님께서는 가족산행으로 섬산행을 하셨군요 바다와 어우러진 산의모습이 색다른 감흥이 있슴니다 저는 금정산옆자락 영락공원에 아버님뵙고 올라 왔슴니다 워낙 먼길이라 어제오후 내려가 코모도에서 일박하고 오늘 종일 올라 왔네요 그래서 오늘은 산행 쉬었슴니다...
저희 부모님은 서울에 계십니다.살아생전 잘 모셔야 할텐데 거리가 멀다는 핑게로 잘 찾아 뵙지 못하고 있습니다.님처럼 산행 한번 쉬면 되는일을..암튼,가까이 오셨는데..뵙질 못해 아쉬움이 남습니다.
주말에 즐거운 산행기 잘 보았습니다,,,수고 하셨습니다,
산행 차량 도우미하고 방콕하면서 남의 산행기 읽다보니 우~~환장(?)하겠죠..그래도 이번 기회에 발목관리 단단히 하세요..영알 환종주는 기대하는이가 많습니다.^^*
영도 고갈산 산신령되었네요
그러게요..큰동서형님이 가고프다니 다녀왔습니다.^^*
2대장님 연이어 코스를 달리해 봉래산 다녀오셨군요. 절영해안로도 누비시교^^ 말씀처럼 참 아름다운 전경을 맘껏 조망할 수 있어 참 좋은 산인 것 같습니다. 즐감했습니다.
바쁘신것 같아 전화 못드렸습니다.조만간 같이 한번 산행해야죠..^^*
예, 설쇠고 제가 전화 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