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원전 1세기의 고조선인 단군조선은 열국시대였다.
단군조선은 삼조선 체계였다.
① 만주지역과 한반도는 단군이 통치하던 진(辰 : 천자 진, 신)조선(진한),
진조선의 변방을 수호하던 하북성 동부, 산동성, 강소성의 번(발) 조선(번한), 하북성,산서성, 섬서성 북쪽은 사막 초원지대의 기마부족 인 막(마) 조선(마한)이 있었다.
② 아사달 시대에는 대(大) 삼한으로 진한, 번한, 사막 초원지대 기마부족인 마한이었고,
③ 백악산 아사달 시대에는 진조선, 번조선, 사막초원 지대의 막조선이었다.
※주) 삼조선인 진조선(진한), 번조선(번한), 막조선(마한)인 대大 삼한과 한나라 시대에 중국 산동성 강소성에 있었던 소(小) 삼한(三韓)의
진한, 마한, 변한(변진)과는 구별이 필요하다.
1) 진조선(중국 북부와 만주, 한반도)에는
중국 북부와 만주 지역에는 북부여, 동부여, 졸본부여(고구려), 동옥저, 북옥저, 읍루 등이 있었고, 한반도 지역에는 서라벌(신라), 최씨
낙랑국(평양), 한씨조선(중마한) 등이 있었고, 서기 1세기에는 가락국(가야)이 생겼다.
2) 번조선(중국 동부 지역)에는 예, 마한, 진한, 변진, 왜 등이 있었고
3) 사막의 초원지대 막조선(산서성, 섬서성 북쪽)에는 오환, 선비, 누번, 임호가 있었다.
※주) 번조선의 중국 동부의 변진은 임나가야가 되었고, 중국 동부의 마한은 십제에서 한성백제로 발전하였다.
■ 후한서와 삼국지 동이열전의 나라 위치와 생활 방식은 기원전 1세기 상황으로 판단된다.
1) 삼국지 위서동이전의 예濊조의
'東窮大海(동궁대해),今朝鮮之東皆其地也(금조선지동개기지야) : 동쪽으로는 大海에 닿았으니, 오늘날 朝鮮의 동쪽이 모두 그 지역
이다.'에서 今朝鮮(오늘날 조선)을 주목한다.
위만조선이 기원전 108년에 망했고 한사군이 설치되었기에 서기 2~3세기에는 조선은 없었다.
따라서 오늘날 조선이라고 한것은 기원전 100년 전후의 문헌을 참고해서 작성했다고 본다.
기원전 100년경의 문헌을 참고해서 삼국지 위지 동이전 내용을 작성했으며,
후한서도 삼국지 내용을 참고해서 작성했다고 판단된다
2) 서기 2~3세기 고구려와 백제는 국가 기틀이 마련된 시기인데
후한서나 삼국지 동이열전의 내용은 부족형태의 미개한 생활을 하고 있다고 기술되었다.
따라서 후한서나 삼국지 동이열전의 나라 위치와 설명은 기원전 100년 경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 중국 고대정사에 나타난 BC 1세기의 고조선 열국지도
1) 삼국지 위서동이전, 후한서 동이열전, 사기의 화식열전에 나와 있는 고조선 열국위치는 모두 상대적인 위치다.
고구려 동쪽에 동옥저가 있고 예의 남쪽에 한이 있다 형태로 정확한 위치를 알수가 없다.
2) 그런데 한서 무제기와 사기 평준서에 예濊의 위치를 하북성 창주시로 특정할 수 있는 내용이 있다.
예(濊)가 하북성 창주시이니 예濊를 중심으로 고조선 열국의 위치를 비정해야 한다.
- 한서 무제기에 예濊의 임금 남여가 항복하여 창해군을 설치하였다고 되어 있고.
사기 평준서에 조선을 멸하고자 창해군을 설치하니 연과 제사이가 소란스러웠다고 하니,
연과 제사이인 창주시를 예(濊)로 비정하였고 창주시가 예(濊)인 것이 확실하다
■ 고조선 열국 지도 작성에 참고한 문헌과 내용
1) 삼국지 위서동이전
예(濊)는 남쪽으로는 진한(辰韓)과, 북쪽으로는 고구려(高句麗). 옥저(沃沮)와 접하였고, 동쪽으로는 대해(大海)에 닿았으니, 오늘날
조선(朝鮮)의 동쪽이 모두 그 지역이다. 호수(戶數)는 2만이다.
한(韓)은 대방(帶方)의 남쪽에 있는데, 동쪽과 서쪽은 바다로 한계를 삼고, 남쪽은 왜(倭)와 접경하니, 면적이 사방 4천리 쯤 된다.
[韓에는] 세 종족이 있으니, 하나는 마한(馬韓), 둘째는 진한(辰韓), 세째는 변한(弁韓)인데, 馬韓은 [三韓 中에서] 서쪽에 위치하였다.
진한(辰韓)은 마한(馬韓)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변진(弁辰)은 진한(辰韓) 사람들과 뒤섞여 살며 성곽(城郭)도 있다.
그 중에서 독로국(瀆盧國)은 왜(倭)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부여(夫餘)는 장성(長城)의 북쪽에 있는데, 현도(玄菟)에서 천 리쯤 떨어져
있다.
남쪽은 고구려(高句驪)와, 동쪽은 읍루(挹婁)와, 서쪽은 선비(鮮卑)와 접해 있고, 북쪽에는 약수(弱水)가 있다. [국토의 면적은] 사방 2
천 리가 되며, 호수(戶數)는 8만이다. 고구려(高句麗)는 요동(遼東)의 동쪽 천리 밖에 있다. 남쪽은 예맥(濊貊)과, 동쪽은 옥저(沃沮) 와, 북쪽은 부여(夫餘)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환도(丸都: 고구려 도읍지의 하나)의 아래에 도읍 하였는데 면적은 사방 2천리가 되고, 호수(戶數)는 3만이다.
동옥저(東沃沮)는 고구려 개마대산(蓋馬大山)의 동쪽에 있는데, 큰 바닷가에 접해 산다. 그 지형은 동북간은 좁고, 서남간은 길어서 천
리 정도나 된다.
북쪽은 읍루(挹婁: 중국 한나라 이후 문헌에 나타나는, 중국 동북 지방에 살던 퉁구스계 종족의 하나). 부여(夫餘)와, 남쪽은 예맥(濊貊)
과 접하여 있다. 호수(戶數)는 5천戶인데, 북옥저(北沃沮)는 일명 매구루(置溝婁)라고도 하는데 남옥저(南沃沮)와는 8백여리 떨어져
있다. 그들의 풍속은 남. 북이 서로 같으며, 읍루(挹婁)와 접해 있다.
읍루(挹婁)는 부여(夫餘)에서 동북쪽으로 천 여리 밖에 있는데, 큰 바다에 닿아 있으며, 남쪽은 북옥저(北沃沮)와 접하였고, 북쪽은 그
끝이 어디인지 알 수가 없다.
2) 후한서 동이열전
회(濊)는 북쪽으로는 고구려(高句驪). 옥저(沃沮)와, 남쪽으로는 진한(辰韓)과 접해 있고, 동쪽은 대해(大海)에 닿으며, 서쪽은 낙랑(樂
浪)에 이른다. 예 및 옥저. 고구려는 본디 모두가 [옛] 조선(朝鮮)의 지역이다.
마한(馬韓)은 서쪽에 있는데, 54國이 있으며, 그 북쪽은 낙랑(樂浪), 남쪽은 왜(倭)와 접(接)하여 있다. 진한은 동쪽에 있는데, 12國이 있으며, 그 북쪽은 예맥(濊貊)과 접(接)하여 있다. 변진(弁辰)은 진한(辰韓)의 남쪽에 있는데, 역시 12國이 있으며, 그 남쪽은 왜(倭)와 접(接)해 있다.
전체 국토의 넓이가 사방 4천여리나 된다. 변진(弁辰) 사람들은 진한(辰韓) 사람들과 뒤섞여 사는데, 부여국(夫餘國)은 현도(玄菟: 예전에 한사군의 하나)의 북쪽 千里 쯤에 있다. 남쪽은 고구려(高句驪)와, 동쪽은 읍루(挹婁)와, 서쪽은 선비(鮮卑)와 접해 있고, 북쪽에는 약수(弱水: 신선이 살았다는, 중국 서부의 전설적인 강)가 있다. 국토의 면적은 사방 二千里이며, 본래 회족(濊族)의 땅이다.
고구려는 요동(遼東)의 동쪽 천리 밖에 있다. 남쪽은 조선(朝鮮)과 예맥(濊貊), 동쪽은 옥저(沃沮), 북쪽은 부여(夫餘)와 접경(接境)하여 있다. 그 나라의 넓이는 사방 2천리인데, 동옥저는 고구려 개마대산(高句驪 蓋馬大山)의 동쪽에 있다. 동쪽은 큰 바다에 연접하였으며, 북쪽은 읍루(挹婁). 부여(夫餘)와, 남쪽은 예맥(濊貊)과 접하여 있다. 그 지형이 동서는 좁고 남북은 긴데, [면적은] 사방 천리의 절반 쯤 된다.
북옥저(北沃沮)가 있으니 매구루(置溝婁: 북옥저의 다른 이름)라고도 하는데, 남옥저(南沃沮)와는 8백여리 떨어져 있다. 그 풍속은 모두 南沃沮와 같으며, 읍루(挹婁)의 남쪽 경계와 접해 있다. 挹婁는 옛 숙신(肅愼: 춘추 전국 시대에 중국 북쪽에 있던 나라의 이름)의 [지역에 있는] 나라이다. 부여(夫餘)에서 동북쪽으로 천여리 밖에 있는데, 동쪽은 큰 바다에 닿고 남쪽은 북옥저(北沃沮)와 접하였으며, 북쪽은 그 끝이 어디인지 알 수가 없다.
3) 사마천 사기 화식열전
연(燕) 역시... 북쪽으로는 오환(烏桓)과 부여(夫餘, 고구려로 바뀐 졸본부여)와 이웃해 있고, 동쪽으로는 예맥조선(穢貉朝鮮), 진번(眞番)이 집결되어있어 유리한 위치에 있다.
■ 예인 예맥 즉 예맥조선이 중국 하북성 창주시라는 중국 고대 정사인 한서 무제기와 사마천 사기 평준서 내용
1) 「한서」권6 무제기 창해군 설치
秋, 匈奴入遼西, 殺太守: 入漁陽、雁門, 敗都尉, 殺略三千餘人. 遣將軍衛靑出雁門, 將軍李息出代, 獲首虜數千級. 東夷薉君南閭等[一]口二十八萬人降, 爲蒼海郡.
[一]服虔曰:「穢貊在辰韓之北, 高句麗沃沮之南, 東窮于大海.」 晉灼曰:「薉, 古穢字.」 師古曰:「南閭者, 薉君之名.」
(원삭元朔 원년인 B.C 128) 가을, 흉노가 요서를 침입해 태수를 죽였다. 어양, 안문을 침입해 도위를 패배시키고 3천여 명을 살략했다.
장군 위청(衛靑)을 보내 안문을 나가게 하고, 장군 이식(李息)은 대(代)를 나가게 하여 수천 급을 참획했다. ; 동이(東夷) 예군(薉君) 남려(南閭) 등 구(口) 28만 명이 항복하자 창해군(蒼海郡)을 설치했다.
[一] 복건 왈 [예맥(穢貊)은 진한(辰韓)의 북쪽, 고구려, 옥저의 남쪽에 있었고 동쪽으로 대해로 막혀있었다. 진작 왈, 薉는 옛날의 穢 자다. 안사고 왈, 남려(南閭)는 예군(薉君)의 이름이다.]
2) 사마천 사기 권30 평준서 平準書
自是之後,嚴助﹑朱買臣等招來東甌,[一]事兩越,[二]江淮之閒蕭然煩費矣.唐蒙﹑司馬相如開路西南夷,鑿山通道千餘里,以廣巴蜀,巴蜀之民罷焉.彭吳[三]賈滅朝鮮,[四]置滄海之郡,則燕齊之閒靡然發動.及王恢設謀馬邑,匈奴絶和親,侵擾北邊,兵連而不解,天下苦其勞,而干戈日滋.
[一]正義烏侯反.今台州永寧是也.
[二]正義南越及閩越.南越,今廣州南海也.閩越,今建州建安也.
[三]索隱人姓名.
[四]索隱彭吳始開其道而滅之也.
이 이후로(한무제 즉위 이래 재정과 경제가 풍족해지고 사치풍조가 일어난 후) 엄조(嚴助), 주매신(朱買臣) 등이 동구(東甌,※)를
[1] 초래(招來, 초무: 끌어들임)하고 양월(兩越, 남월과 동월)에서 일을 벌이니
[2] 강회(江淮,장강과 회수) 사이가 소란해지고 크게 비용이 소모되었다. 당몽(唐蒙), 사마상여(司馬相如)는 서남이(西南夷)에 이르는 도
로를 열어 천여 리에 걸쳐 산을 뚫고 길을 통하게 하니 파촉(巴蜀) 땅을 개척했으나 파촉 백성들은 피폐해졌다.
팽오(彭吳)는 [3] 조선(朝鮮)을 멸하고자 하여 [4] 창해군(滄海郡)을 설치하니 연(燕), 제(齊) 사이가 바람에 휩쓸리듯 소란해졌다.
그러다 왕회(王恢)가 마읍(馬邑)에서의 모책을 꾸미자 흉노가 화친을 끊고 북변을 침요(侵擾)하여 전쟁이 연이어 풀리지 않으니, 천하
가 그 노역에 괴로움을 당했으나 간과(干戈,전란)는 날이 갈수록 더욱 심해졌다.
3) 창해군(蒼海郡) 폐지
한(漢) 무제(武帝)는 팽오(彭吳) 등에게 요동군(遼東郡)에서 창해군(蒼海郡)에 이르는 교통로를 닦게 하였지만 인력과 비용이 지나치게 많이 소모되어 공손홍(公孫弘, BC 200 ~ BC 121) 등의 건의를 받아 교통로 개척을 중단하였다. 그리고 BC 126년에 창해군(蒼海郡)도 폐지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창해군 [滄(蒼)海郡]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