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고문에도 명시되어 있고 타 아파트와 달리 중산자이만의 특수한 공간이기도 해서 경산에 명물로 거듭나는 특화공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경산시의 부지이지만 어린이공원과 마찬가지로 실제 가장 많은 혜택을 누리는것은 중산자이 입주민이겠죠.
그래서 어떻게 만들어지면 좋을까 상상해봤습니다.
상업시설, 교육시설, 휴게 및 체육시설, 복합커뮤니티 등
상업시설은 W도 들어오는데 굳이?
교육시설은 도서관 들어오는데 굳이?
휴게 및 체육시설이 적당한것 같은데...
사실 전혀 모르겠습니다.
개인적 바램은 풋살장 만들면 딱인데 ㅎㅎ
설치 유지 보수 비용도 비교적 적고,
낮에는 어린이 밤에는 성인들 ㅎㅎ
잠시 행복한 상상이였습니다.
여러분도 상상해봐요~~
하부공간이 여러가지 조건때문에 예쁘게 만들기가 쉽지는 않아보입니다.
많이 나오는 국내 대표 사례들은 뭔가 좀 아쉽네요.
해외사례 검색을 해봐도 마땅히 이거다 싶은게 잘 안보이구요 ㅠ
그래도 전시도 열리고 하는것 보니 최근 트랜드가 하부공간 꾸며보자는 분위기인것 같습니다.
어쨋든 여기도 평범하지 않게 경산에서 소문날 정도로 특화조성 됐으면 좋겠습니다.
http://ebook.seoul.go.kr/Viewer/A9SSEWKQIXX2 고가 하부관련 A~Z
‘금천 고가하부’의 시설 유형은 ‘스마트 도서관 중심의 문화 공간’이다 ⓒ조수봉
고가하부의 좁은 공간임에도 시민들의 커뮤니티 공간 외에 보행로와 휴식 공간이 모두 갖추어져 있다 ⓒ조수봉
작품명 <도심 속 조명상자>인 ‘금천 고가하부’의 전체 모습 ⓒ조수봉
외부에서도 보이는 ‘금천 고가하부’ 1층 다목적 공간에 비치된 열람 및 대출용 도서 ⓒ조수봉
‘금천 고가하부’ 별도 공간의 자동도서반납기 ⓒ조수봉
‘시민의 품으로 돌아온 고가하부전’의 ‘한남1 고가하부’ 관련 자료 전시 부스 ⓒ조수봉
‘한남1 고가하부’는 자연을 추상화한 꽃잎 모양의 구조물 9개를 설치하였다 ⓒ조수봉
꽃잎 모양 구조물이 서로 연결되어 미적 풍경을 연출한다 ⓒ조수봉
‘한남1 고가하부’에는 카페를 운영하여 또 다른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조수봉
이색적인 풍경을 연출하는 ‘한남1 고가하부’의 야경 ⓒ조수봉
‘한남1 고가하부’의 돌출 통유리 공법 카페는 야간에 더욱 멋진 분위기를 보여준다 ⓒ조수봉
‘시민의 품으로 돌아온 고가하부전’의 ‘옥수 고가하부’ 관련 자료 전시 부스 ⓒ조수봉
‘옥수 고가하부’의 시설 유형은 ‘친환경 실내 문화 공간’으로 외부 휴식 공간 외에 ‘다락옥수(‘다리 밑의 즐거움’이란 의미의 ‘다락樂옥수’)’를 운영 중이다 ⓒ조수봉
태양광 집광시스템을 이용하여 식물을 생육하는 ‘다락옥수’ 내부의 ‘프리가든’ ⓒ조수봉
‘다락옥수’ 내부 한 편에는 키즈존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조수봉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5,000개의 미러판을 세워 숲의 분위기를 연출한 다락옥수 외부의 ‘장미(조형물)정원’ ⓒ조수봉
‘옥수 고가하부’는 ‘다락옥수’ 외에 옥외 프로그램(벼룩시장, 공연 등)과 생활체육을 할 수 있는 공간인 ‘옥수역광장’이 같이 한다 ⓒ조수봉
‘옥수 고가하부’의 장미정원은 야간에 장미꽃과 천장의 LED 등이 켜지면 또 다른 볼거리를 제공한다 ⓒ조수봉
‘시민의 품으로 돌아온 고가하부전’의 ‘이문 고가하부’ 관련 자료 전시 부스 ⓒ조수봉
‘이문 고가하부’의 1층은 보행로 겸 가변형 야외 커뮤니티 공간이다 ⓒ조수봉
‘이문 고가하부’의 ‘ROOF SQUARE’는 개방형 주민 커뮤니티 공간이다 ⓒ조수봉
주택가에 인접한 ‘이문 고가하부’의 휴식 공간은 마을 사랑방의 역할도 가능하다 ⓒ조수봉
‘시민의 품으로 돌아온 고가하부전’의 ‘종암사거리 고가하부’ 관련 자료 전시 부스 ⓒ조수봉
10m 높이의 고가도로 아래에 목재루버를 채택한 ‘종암사거리 고가하부’ 시설은 외부와 차단된 시각적 효과를 준다 ⓒ조수봉
시설 유형이 ‘생활 체육 중심의 복합 공간’인 ‘종암사거리 고가하부’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건축되었다 ⓒ조수봉
‘종암사거리 고가하부’ 시설에는 화장실도 별도의 공간으로 운영된다 ⓒ조수봉
‘종암사거리 고가하부’ 시설에서는 월곡천 산책로와도 접근이 용이하다 ⓒ조수봉
‘종암사거리 고가하부’ 시설은 다목적 문화 공간(운동, 공연, 상영 등)과 커뮤니티 공간(필라테스, 전시, 소규모 모임 등)을 갖는다 ⓒ조수봉
첫댓글 실바님을
국회로!!!!!
꼼꼼히 자료 수집하신 실바님 멋지지 말입니다~
무엇이 들어오면 좋을까 상상해 봅니다^^
실바님 늘 허를 찌르는 멋진 제안 감사합니다~
잘봤습니다.실바님^^ 꼭 이쁘고 유용한 시설 들어왔음 하는 바램입니다 ㅋ
시에서 예산을 얼마나 쓰냐, 또 어떤 종류, 형식의 공간이 형성되느냐의 문제겠죠
탁구장, 족구장, 노인을 위한 체육시설, 공연장, 주민 모임공간, 주민들 휴식공간등
유용한 공간 활용이 되길 바래봅니다.
전국적 찜통 더위로 유명한 이 지역에
굴다리 밑 소중한 공간이
주민들을 위한 소중한 명소로 자리 잡을 수 있게 되길~~~
자이만의 특화된 공간이라... 님들의 기발한 의견이 화수분처럼 샘솟고 시청과 트러블 없이 잘 조율되어 어떤것이 되었든지 자이와 경산시민이 더불어 활용 할수 있는 곳이 되었으면 합니다
핵심을 찾아내고 사례를 취합하셔서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는 즐거움에 감쏴~
무엇이 들어오면 좋을지 상상하게 되네요
꼭 유용하고 특화된 공간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ㅎ
오호! 전혀 생각도 못햇던 부분인데 이렇게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당 😊
뭐가 들어오던 밤길 위험하지않게 주변을 밝혀주는 조명은 필수일 것 같아요 ㅜㅇㅜ
우범지대가 되지않게끔!
오 좋은 사례자료 감사합니다 저런식으로 안전하고 밝은 분위기로 거듭나길 바래요
우려 되는 점
교량 하부라 소리의 울림이 심합니다.
사람이 많이 몰리는 시설물이 들어오면 101동, 108동 저층부는 아마 소음지옥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도로소음도 있는데 교량하부 이용객 소음까지 더해지면 늦봄부터 초가을까지 창문 열기가 힘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소음의 크기는 상대적이라 주위가 조용해지는 밤은 소리가 더 크게 들리고 기온이 떨어져 공기 밀도가 낮아지는 밤은 소리가 더 멀리까지 전달됩니다.
특히 풋살장은...
축구해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주택가 풋살장에는 "소음으로 인한 민원이 많으므로 경기중 고성을 지르지 말아주세요."라는 경고문이 필수적으로 있습니다.
무엇이던 장단점이 있습니다.
교량하부는 101동, 108동 저층 주민들의 의견이 가장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