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관]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29% 상승세이다. 휴스틸 +4.88%, 세아제강 +3.36%, 하이스틸 +2.89%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테마 설명? 강관, 빈 봉 형태의 철강으로 원자재 가격변동성에 민감? 러·우 전쟁 및 미국 IRA 통과에 에너지용 강관 수요 ↑? 남북경협(남북러 가스관), 수돗물 유충 사태 등 이슈에 부각강관은 내부가 빈 봉 형태의 철강 제품으로 상수도관, 가스관, 각종 배관, 건설·교량 등의 기초물로 활용. 강관산업은 계절적으로 1, 3분기는 비수기이며 2, 4분기는 성수기.제조원가 중 재료비 비중이 높아 주원재료인 코일, 후판 가격변동에 따라 경쟁력 좌우. 또한 대체재 및 저가 제품 유입에 따른 위협이 증가됨에 따라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설비 자동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 품질개선이 과제로 대두.전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는 추세로 반덤핑 조치 등을 통한 수입규제 및 통상압력이 강화. 특히 북미지역의 통상압력은 수출시황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 그 외 탄소배출권 거래제 등 여러가지 규제가 시행함에 따라 생산활동 제약.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2023년 1월 강관 수출량은 15만4000톤으로 전년 동기(15만7000톤) 대비 1.9% 감소. 그러나 2023년에도 강관업계는 북미 에너지 시장 호조와 신재생 에너지 사업 확대로 호황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친환경 LNG 프로젝트 수요 증가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미국의 천연가스·원유 시추 수요가 증가 등으로 북미지역의 유정용 강관(OCTG) 수요가 급증.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올해 미국의 원유 생산량이 사상 최고치인 하루 1280만 배럴에 이를 것으로 전망.주요 강관업체들은 2월 출하분부터 가격을 이전 대비 7~8% 인상할 것이라고 통보(출처: 언론보도). 이에 열연(HR), 열연용융아연도(HGI), 칼라 등을 소재로 한 강관류 제품 가격은 모두 상향 조정됨.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에 따른 수혜도 기대. 이 법은 기존 신재생에너지 구축 세금 감면 뿐 아니라 석유·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생산·운송을 위한 인프라 관련 규제도 동시에 완화. 미국 내 파이프라인, 가스 액화 및 저장 설비, 해상 운송을 위한 터미널 등 건설이 늘어날 것으로 관측돼 에너지용 강관 수요는 확대될 것으로 전망(출처: 하나증권, 언론 보도)한편, 강관업체들은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한과 북한, 러시아를 잇는 가스관 연결(PNG) 사업 추진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남북경협 수혜주로 부각되기도 함. 러시아부터 한반도를 연결하는 가스관 길이는 약 1100km로 1km당 강관 750t이 들어가는 것을 고려할 때 총 82만 5000t이 필요.북한 철강산업은 기술설비 낙후, 열악한 인프라 등의 문제가 있어 본격 개발시 북한 철강 수요는 2040년까지 28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출처: 현대차증권).이외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2019.05.30) 등을 계기로 정부가 노후 인프라 개선에 2023년까지 32조원을 투입하기로 해 노후 상·하수도관 교체 또는 개량이 예상되면서 관련 수혜주로도 부각.※ 테마는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문에 실린 전망 및 예측은 증권사, 경제연구소, 시장조사기관, 사업보고서 등의 자료를 기반으로 합니다.관련 종목종목등락률종목설명휴스틸+4.88%배관용 강관 및 전선관 등 제소.세아제강+3.36%세아그룹 계열의 철강업체. 구조/유정/배관/상수도용 강관(탄소강관, STS강관)과 건축자재/가전 판재(컬러강판, 아연도강판) 제품 등 생산.하이스틸+2.89%배관, 건설, 선박, 자동차, 구조물 등에 쓰이는 강관 제조.대동스틸+2.49%강관 제조에 필요한 열연박판 주로 생산.동양철관+2.43%가스관에 주로 사용되는 배관용 강관 및 수도관 제조.세아제강지주+1.02%구조용, 유정용, 배관용, 상수도용 강관 제조.금강공업+0.69%배관용, 구조용 강관 제조 및 판매업체. 자동용융 아연도금 라인을 준공해 고주파 전기저항 용접강관 및 아연도 강관도 생산.한국주철관+0.56%상하수도용 주철관 및 강관 제조업체. 상하수도용 덕타일주철관과 일반사업에 필요한 부품 또는 소재관련 주물제품 등을 생산. 주요 수요처는 조달청 및 각급 지자체, 수자원공사 등.강관 테마 차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