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 생성 AI 검색 서비스
의도 파악해 7초만에 답변
연관 검색어 정보 출처도 제시
MS '빙챗'과 정면 대결 예고 "매끄러운 한국어 실력이 강점"
'요리 초보가 추석때 쉽게 만들 수 있는 명절 음식은 뭐가 있을까? 재료는 어디에서 사는게 합리적이지?'
복잡한 질문을 건네도 4~7초 만에 검색 결과를 분석하고 답변을 시작한다.
전, 잡채, 블고기를 제시하면서 이들 레시피와 재료 구매처를 찾아준다. 온라인 주문이 가능한 링크도 제시한다. 네이버가 20일 공개한 인공지능 검색 서비스 '큐'의 힘이다.
-사람처럼 질문 의도까지 파악
네이버는 이날 '큐'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 큐는 복잡한 구조로 구성된 질의를 이해하고, 체계적인 답변을 생성하는 서비스이다.
네이버가 지난달 선보인 생성 AI'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개발했다.
지난달 하이퍼클로바X의 첫 서비스로 출시한 대화형 AI서비스 '클로바X'는 문서 작성 및 창작 업무를 돕는데 특화해 기업이나 개인의 생산성 향상 측면에서 활용도가 높다. 형제 서비스인 큐는 성격이다르다. 클로버X와 달리 검색에만 집중하다.
큐의 진가는 여러 의도를 섞은 문장을 입력했을 때 드러난다. 복합 질문의 의도를 분석한 뒤 적합한 정보를 찾아 조합해 답변을 생성한다. 주제와 연관된 관심사, 정보는 물론 출처도 제시한다. 네이버 관계자는 "멀티스텝 리즈닝(단계별 추론)"을 적용했기 때문에 생성된 답변이 어떤 과정을 통해 제공됐는지 논리의 흐름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치열해진 생성 AI주도권 경쟁
업계에선 네이버가 MS와 정면 대결을 벌일 것으로 보고있다. 큐는 MS가 지난 2월 출시한 생성 AI검색 챗봇 '빙챗'과 운영 목적, 서비스 제공 면에서 공통점이 많아서다.
빙챗은 오픈 AI의 챗GPT기반 검색 서비스다. 사티아 나델라 MS최고경영자가 "검색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라고 말했을 정도로 완성도가 높다.
큐의 차별점은 한국어다. 빙챗에서는 한국어로 길게 질문하면 이를 영어로 번역해 답변을 제시한다. 한국어를 잘못 번역해 답변을 제시하는 사례가 빈번하다. 네이버 관계자는 큐는 한국어 질문에 깃든 의도를 가장 잘 파악하고 섬세하게 제시해준다고 말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생성AI시장은 내년 1370억달러(약182조원)에서 2028년 5480억달러(약 729조원)로 커질 전망이다.
출처:한국경제 정지은 기자
<사견>
open AI 시장이 코로나 후로 boom이 일어났습니다.
2023년에 신문에서 챗 GPT가 꾸준히 등장하였으며, 곧 일상 업무에 AI가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된다는 소식을 접했습니다.
네이버가 지난달 대화형 AI 서비스 클로바x를 출시하자마자 이번 달에는 생성 AI 검색서비스인 큐를 출시하였습니다.
이는 ms에서 빙챗과 비슷한 서비스이며, 차이점은 큐는 한국어의 특화된 검색엔진이라고 합니다.
ms는 전 세계를 타겟으로 삼았지만, 네이버는 한국인들을 타겟으로 삼았다는 점이 큽니다.
이 시장은 마치 한국인에게 네이버는 없어서 안 될 존재이지만 구글도 같이 병행하여 사용합니다. 즉 ms AI 서비스도 사용하지만 네이버 AI 서비스는 한국인에게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될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궁금한 점이 생기거나, 물건에 대한 리뷰를 확인하고 싶을 때, 맛집이 어딘지 찾고 싶을 때 네이버 블로그 혹은 유튜브를 이용하곤 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큐를 이용하면 쉽고 빠르고 한 번에 제가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서비스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앞으로 생성 AI 시장은 더욱 커질 전망으로 보이며 미래에는 이 서비스들을 어떻게 적용하고 바뀔지 무척 기대됩니다.
첫댓글 후발주자인 우리나라 토종 AI의 발전은 고무적이구나.
향후 AI 기반 정보화 물결의 발전 추세는 더욱 가속화될 것임에 틀림없으나 더불어 그에 뒷따르는 정보수집 및 활용의 윤리적 문제는 심화될 가능성이 있단다.
의견도 반영한다니 AI의 경쟁은 앞으로 더 치열해질 것 같네요
기업들이 돈만 번다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무차별적 경쟁을 한다면 어떤 미래가 될 지도 두려우면서 궁금하기도 합니다.
AI 기술을 잘 활용해서 미래에 많은 이익이 오면 좋을 것 같아요
앞으로의 싸움은 정보의 바다에서 AI들의 기술 개발정도가 기업의 차별점이 될것같습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어두운면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부분을 캐치하여 잘 적용하는것은 기업의 역량에 달렸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