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행정 싸이클 기관이 자동차에 쓰이지 않는 이유는 뭐죠?
가장 큰 이유는 연료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4행정기관의 경우 엔진의 효율이 30%정도입니다. 2행정기관의 경우 20% 내외입니다. 효율면에서 50%정도의 차이가 나죠.
그리고 2행정 싸이클 기관이 오토바이 말고 다른 곳에 쓰이는 경우는 없나요?
간단한 기관에서는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성묘때 풀베는 예초기, 농약치는데 사용하는 분무기 엔진, 기타 RC CAR와 같은 기관 등
4행정 싸이클 기관이 오토바이에 쓰이지 않는 이유는 뭐죠?
4행정이 되려면 엔진의 구조가 복잡해집니다. 부피가 커지고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됩니다.
오토바이에 전혀 안쓰는게 아니라 오토바이에도 100cc이상에서는 4행정 사이클 기관입니다.
정말인지 확인해 보시려면 실린더 해더 부분(스파크 플러그 달린 부분)을 분해해 보면 밸브가 보일 것입니다. 2행정기관에서는 밸브가 필요없죠.
그리고 4행정 싸이클 기관이 자동차 말고 다른 곳에 쓰이는 경우는 없나요?
거의 산업기계의 대부분의 경우 4행정기관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발동기를 비롯해, 간이형 발전기, 압축공기 생성기계, 선박, 열차, 대형 수송기(비행기임.)등
2행정 싸이클 기관과 4행정 싸이클 기관의 장단점을 적어 주시고
2행정 사이클 기관의 장점이 4행정에서는 단점이 되고,
2행정 사이클 기관의 단점이 4행정에서는 장점이 됩니다.
2행정 기관의 장점: 가볍다. 구조가 간단하다. 가격이 저렴하다. 2행정마다 동력을 얻으므로
초기 가속성능이 뛰어나다.
2행정 기관의 단점: 효율이 떨어진다. 불완전연소에 의해 유해한 배기가스량이 많다.
엔진오일을 연료주입시마다 보충해야 한다.
2행정 싸이클 기관과 4행정 싸이클 기관의 연료 소비율을 명확히 표현해 주세요
죄송합니다. 데이터가 없네요.
*참고자료
연료소비율
내연기관 등의 원동기에서 발생하는 기계에너지에 대한 소비연료의 비율
일반적으로 g/kWh라는 단위로 표시한다. 연료소비율은 열효율과 반비례하므로, 이 값이 작을수록 열효율은 높아진다.
석유계 연료의 경우, 열효율 40 %는 연료소비율 200 g/kWh에 대응한다. 발전기가 가동될 경우에는 발전기의 전기출력(kW)에 대하여 위와 같은 연료소비율을 계산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내연기관에서 도시연료(圖示燃料) 소비율이라고 하는 것은 그 도시출력(kW)에 대하여 산출한 것으로서 축출력(軸出力:정미출력)에 대하여 산출한 연료소비율을 특히 정미연료소비율이라고 하여 구분하기도 한다.
원동기뿐만 아니라 자동차 등의 주행거리에 대한 연료소비의 비율도 연료소비율이라고 한다. 이런 경우, 예를 들면 자동차가 100 km를 달리는 데 몇 ℓ의 연료를 필요로 하는가(단위:ℓ/100 km)를 표시하는 방법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1ℓ의 연료로 자동차가 달릴 수 있는 거리(단위:km)를 계산한다. 결과적으로 이 값이 큰 자동차가 연료소비율이 좋은 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