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봉송편
봉송(법주 요령)
(이미 유체를 떠나 열반으로 향하려는 영가를 전송하는 의식)
절이 몰고비구 ( 모 )영가
기수연이순적 내의법이(다비 매장)
분백년홍도지신 입일로열반지문
앙빙대중 자조각령
엎드려 생각하옵니다. 서거하신 ( )영가께서는
이미 연에 따라 열반에 보이셨기로
법에 의지하여 (다비 매장)를 모셨습니다.
(다비 매장)이라 함은
긴 세월 도를 펼치시던 육신을 사름이며
열반의 문에 이르는 외길에 드심입니다.
우러러 덕 높으신 대중께 바라옵나니
각령의 깨달음을 도와주소서.
십념(목탁)(문법에 앞서 삼보를 염케하여 청법자의 마음을 청정히 함)
청정법신비로자나불 원만보신노사나불
천백억화신석가모니불 구품도사아미타불
당래하생미륵존불 시방삼세일체제불
시방삼세일체존법
대성문수사리보살 대행보현보살
대비관세음보살 대원본존지장보살
제존보살마하살 마하반야바라밀
청정한 진리를 몸으로 삼으신 비로자나부처님!
인행이 원만하사 성취하신 노사나부처님!
천백억의 몸으로 중생 제도하시는 서가모니부처님!
극락구품 건립하사 중생 제도하시는 아미타부처님!
미래세에 강림하사 중생 제도하옵실 미륵부처님!
시방삼세의 거룩하신 모든 부처님!
시방삼세에 존귀하신 모든 법보님!
지혜가 모범이신 문수보살님!
수행이 으뜸이신 보현보살님!
대자비로 돌보시는 관세음보살님!
큰 원의 주인공이신 지장보살님!
이렇듯 거룩하신 모든 보살님!
큰 지혜로 저 언덕에 이르게 하옵소서.
표백(법주 요령)
(다비의식을 일단 마무리하였음을 내외에 알리는 의식)
의식이 진행되는 동안 오방번을 소한다.
상래 칭양성호 자천왕생
유원 혜경분명 진풍산채 보리원리
개부각의지화 법성해중 탕척신심지구
다경삼전 향설일로 용천운정 화남성중
지금까지 성호를 모셔 왕생을 도왔나이다.
오직 바라옵건대.
지혜의 거울은 밝아지시고 참된 가풍은 빛을 발하여
보리의 동산 속에서 깨달음의 꽃이 만발하게 하시고
진리의 바다 가운데서
몸과 마음의 번뇌를 깨끗이 하옵소서
다를 기울여 세 번 올리고 향을 한 향로에 사르옵니다.
하오니 운정에 이르사 성중께 예를 올리소서
원왕게(목탁)(미타국토에 왕생코자 간절한 염원을 나타낸 게송)
원왕생원왕생 왕생극락견미타 획몽마정수기별
원왕생원왕생 원재미타회중좌 수집향화상공양
원왕생원왕생 왕생화장연화계 자타일시성불도
가지이다 태어나지이다 극락세계에
극락세계 왕생하여 아미타불 뵈옵고
이마를 어루만져주심에 기별 얻어지이다.
가지이다 태어나지이다 극락세계에
아미타불 설법하시는 그 자리에 동참하여
이 손으로 향화공양 올리게 되어지이다.
가지이다 태어나지이다 극락세계에
연꽃에 갈무려진 화장세계에 왕생하여
한 날 한 시 저희 모두 성불하여지이다.
상품상생진언(요령)
(극락구품 가운데 최고의 극락이기를 염원하는 진언)
옴 마니다니 훔훔 바탁 사바하(3번)
원성취진언
(지금까지 발원한 내용이 모두 성취되기를 발원하는 진언)
옴 아모카 살바다라 사다야 시베훔(3번)
보궐진언
(의식 진행상 잘못되거나 부족한 부분이 고쳐지고 채워지기를 발원하는진언)
옴 호로호로 사야목계 사바하(3번)
보회향진언(공덕을 중생에게 돌려 성불의 계기로 삼게 하려는 진언)
옴 삼마라 삼마라 미만나 사라마하
자거라바훔(3번)
섭수게(목탁)
(의식을 끝으로 아미타불께 거듭 귀의를 표명하며 왕생극락을 발원하는 게송)
계수서방안락찰 접인중생대도사
아금발원원왕생 유원자비애섭수
서방세계 안락한 국토에 계시오며
중생을 이끄시는 위대한 스승께 계수례를 올리나이다.
저희 지금 왕생극락 발원하오니
자비를 베푸사 애틋이 여기소서
시식
(사찰로 돌아와 영가에게 다과 등 제물을 올리며 시식을 베푸는 의식)
이때의 시식은 반혼제를 말한다.
위패나 영정을 모시고 사찰로 돌아와 영단에 안치한 후에 영가에게 다과 등 제물을 올리는 의식이며,
관음시식 이나 화엄시식으로 거행한다.
또 시식 이전에 권공의식을 거행해야 하는데
상주권공을 참고하면 된다.
창의(법주 요령)
(사찰로 돌아와 망자의 생전 도구를 경매에 붙이는 의식)
우리나라에서는 고래로 창의를 거행하지 않았다.
다만 교훈이 될 내용이기로 소개한 것이다.
신원적 (모령)
인차향연강연석 증명창의견문지
법신본래향청정 단제번뇌증보리
부운산이영불유 잔촉진이광자멸
금자고창 용포무상 앙빙대중 염차십념
상래 창의 염송공덕
봉위(모령)
형탈근진 초출삼계 맥답천성지로
유희일승지장 해천명월초생처 암수원제정헐시
새로이 열반에 드신(아무개) 영가이시여
이 향연을 좇아 연석에 강림하사
창의를 증명하시고 무상의 도리를 보시고
들으시고 아소서
법신은 본래부터 항상 청정하여
번뇌만 끊어버리시면 보리를 증득케 되옵니다.
떴던 구름 흩어지니 그림자조차 남지 않고
남은 초 다함에 불빛 또한 절로 스러지네
지금 이렇게 생전에 쓰시던 물건의 값을 불러
무상을 나타내며 우러러 대중을 의지하오니
이어 십념을 염하여 주소서
지금까지 창의하고 염송한 공덕으로
(아무개)영가의 명복을 비오니
근진을 멀리 벗으시고 삼계를 뛰어넘으사
단번에 천성께서 가신 길을 가시어
일승의 도량에 유희하소서
바다 하늘에 밝은 달 처음 떠오를 때가
바위 굴 원숭이 울음 멈출 때로다.
산골편
습골(법주 요령)
(다비 후 유골을 수습하여 준비한 자루에 모아 담는 의식)
신원적 (모령)
취부득 사부득 정당이마시 여하위실 돌
척기미모화리간 분명일국황금골
새로이 열반에 드신(아무개) 영가이시여
얻을 수도 없고 버릴 수도 없습니다.
바로 이런 때를 당하시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아------- ㅅ.
눈썹을 바짝 세우고 불 속을 바라보시오
분명 한 움큼의 황금빛 뼈가 있으리니.
습골은 봄에는 남쪽, 여름에는 북쪽,
가을에는 동쪽, 겨울에는 서쪽부터 시작한다.
기골(법주 요령)
(수습된 유골을 쇄골이나 안치를 위한 제2의 장소로 이운하는 의식)
영골을 쇄골이나 산골을 위한 장소로 옮겨 모시는 의식이다.
신원적 (모령)
일점영명 요무소애 일척번신 다소자재
무상무공무불공 즉시여래진실상
새로이 열반에 드신(아무개) 영가이시여
한 점 영묘 불가사의한 밝음은
요요하여 걸릴 바가 없으니
모든 애착을 단번에 버리시고 몸 한 번 돌리시면
참으로 자재하실 것입니다.
모습도 없고 공함도 없고 공하지 않음도 없나니
곧 이것이 여래의 진실한 모습입니다.
쇄골(법주 요령)(산골을 위해 유골을 분쇄하는 의식)
신원적 (모령)
약인투득상두관 시각산하대지관
불락인간분별계 하구녹수여청산
저개백골 괴야미괴야 괴즉유여벽공
미괴즉청천백운 영식독로 유재부재
환식저개마 불리당처상담연 멱즉지군불가견
새로이 열반에 드신(아무개) 영가이시여
만일 누구라도 깨달음의 관문을 통과하면
비로소 산하대지가 무애함을 깨닫게 되리니
인간의 분별계에 떨어지지 않는다면
어찌 녹수며 청산에 구애받겠습니까?
이 흰 뼈들은 무너지겠습니까? 아니 무너지겠습니까?
무너진다면 허공과 같은 것이요
아니 무너진다면 푸른 하늘에 흰구름일 것입니다.
영식이 홀로 드러나니 있는 듯 없는 듯
이 도리를 아시겠는지요?
바로 이곳을 여의지 않고 항상 담연하니
달리 찾으신다면 영가께서는 가히 못보실 줄아셔야합니다
산골(법주 요령)
(유체의 마지막 처리과정으로 분말상태의 유골을 산하에 뿌리는 의식)
신원적 (모령)
회비대야 골절하안 맥지일성 시도뇌관 돌
일점영광무내외 오대공쇄백운간
새로이 열반에 드신(아무개) 영가이시여
재가 벌판에 날리니
골절인들 어찌 편안하겠습니까?
급작스런 한 소리!
비로소 뇌관에 이르렀습니다.
야--ㅅ.
한 점 신령한 빛에는 안팎이 없건만
지혜는 공연히 백운 사이에 갇혔습니다.
오방으로 산골을 거행할시에는 이내용으로 거행할 것.
향동방(법주 요령)
신원적 (모령)
신종무상중수생 유여환출제형상
환인심식본래무 죄복개공무소주
(모령)
백골궤산귀화귀풍 일몰장영개천개지
(모령)
환회마 여금욕식일몰체 울울청산시고향
새로이 열반에 드신 (아무개) 영가이시여
육신이 모습도 없는 가운데서 생을 받으니
환술로 온갖 형상을 내놓은 것과 같습니다.
환술로 빚어진 사람의 심식은 본래 없거니
죄며 복도 모두 공하여 머무는 곳이 없습니다.
(아무개) 영가이시여
백골은 무너지고 흩어져 불과 바람으로 돌아간데도
한 물건은 길이 신령하여 하늘과 땅을 덮습니다.
(아무개) 영가시여 아시겠느지요?
만일 그 한 물건을 알고자 하신다면
빽빽한 청산이 바로 고향이랍니다.
향남방(법주 요령)
신원적 (모령)
기제선법본시환 조제악업역시환
신여취말심여풍 환출무군무실성
(모령)
영골풍표남북주 부지하처견진인
(모령)
생전착사후착 세세생생우중착
여금요득무생리 착착원래종불착
새로이 열반에 드신(아무개) 영가이시여
가지가지 선법을 일으킴이 본래 헛것이요
가지가지 악업을 지음 또한 거짓이랍니다.
육신은 거품이 모인 것과 같고 마음은 바람과 같은 것.
거짓에서 나왔으니 뿌리도 실다운 성품도 없습니다.
(아무개) 영가시여
바람불어 뼈들이 남쪽으로 흩어지니
모를 일입니다. 어느 곳에서 참 사람을 보아야 할지?
(아무개) 영가시여
생전에 잘못이면 사후에도 잘못이며
세세생생 거듭거듭 잘못입니다.
이제라도 무생의 이치를 요달해 아신다면
그릇된 모든 것이 본래 그릇됨이 없을 것입니다.
향서방(법주 요령)
신원적 (모령)
사대가차이위형 심본무형인경유
(모령)
전경약무심역무 죄복여환기역멸
약료무심역무신 여시료지향십마처거
무영수하소월음풍 무봉탑전안신입명
새로이 열반에 드신(아무개) 영가이시여
사대는 빌린 것으로써 모양을 삼은 것이고
마음은 본래 모양도 없어 경계를 인하여 있는 것입니다.
(아무개) 영가시여
앞에 경계가 없으면 마음 또한 없나니
죄와 복도 신기루 같아 일어났다 또한 없어집니다.
마음이 없는 이치를 알면 육신 또한 없는 것!
이렇게 깨달아 알면 어디를 향해 간다 하시겠습니까?
그림자 없는 나무 아래서 달과 바람을 읊조리고
한 덩이 돌탑 앞에 비로소 마음이 편안합니다.
향북방(법주 요령)
신원적 (모령)
견신무실시불신 요심여환시불심
요득신심본성공 사인여불하수별
(모령)
신체소산수시주 무심명월여청풍
새로이 열반에 드신(아무개) 영가이시여
육신이 실답지 못하다고 봄이 불신이요
마음이 신기루 같음을 앎이 불심입니다.
육신과 마음의 본래 성품이 공한 줄을 깨달았다면
이 사람은 부처님과 견주어 무엇이 다르리까
(아무개) 영가시여
이 몸이 불에 타 흩어지면 누가 이 몸의 주인공입니까?
무심한 명월이 맑은 바람과 함께 하였도다.
향중방(법주 요령)
신원적 (모령)
불불견신지시불 자성심외별무불
(모령)
지자능지죄성공 천덩불찰등한유
(모령)
회비대야골절하안 맥지일성시도뇌관 돌
일점영명비내외 오대공쇄백운간
새로이 열반에 드신(아무개) 영가이시여!
부처의 보이지 않는 몸 이것이 부처인 줄 아시면
자신의 성품인 마음 밖에 달리 부처가 없습니다.
(아무개) 영가시여
지혜로운 사람은 능히 죄의 성품이 공한 줄 알아
천당이며 불찰에 무심히 노닙니다.
(아무개) 영가시여
재가 벌판에 날리니 골절인들 어찌 편안하겠습니까?
급작스런 한 소리 비로소 뇌관에 이르렀습니다.
야--ㅅ.
한 점 신령한 빛에는 안팎이 없건만
지혜는 공연히 백운 사이에 갇혔습니다.
환귀본토진언(법주 요령)
옴 바지라 사다모(3번)
산좌송(바라지 목탁)
영각법신변대천 심광쇄락조인천
영결제연사별후 소요좌와보련대
신령스러운 법신은 삼천대천세계에 두루하고
마음은 상쾌하여 인간계와 천상계를 비춥니다.
모든 인연 영결하고 석별의 정 나눈 후에는
보련대에 소요하며 앉기도 눕기도 하시리이다.
산좌송(바라지 목탁)
(산골을 마칠 때 혹은 산정에서 제2의 다비를 거행할 때의 게송)
법신변만백억계 보방금색조인천
응물현형담저월 체원정좌보련대
법신은 백억 세계에 두루하시고 가득하사
널리 금색을 놓아 인천을 비추시네
중생을 응하사 모습을 나투심이 못 속의 달과 같으시나
체는 원만하사 보련대에 정좌하시었도다.
배송(법주 요령)(산골을 끝내며 영가를 전송하는 의식)
( 모 ) 영가 부답명료 고보연대
( )영가시여
명부의 길을 걷지 마시옵고 높이 연화대로 나아가소서
축원(법주)
(산골 끝에 혹은 유골로 지은 환을 물고기에게 보시하며 올리는 축원)
앙고 서방정토 극락세계
아등도사 아미타불 불사자비 허수낭감
상래 소수공덕해 회향삼처실원만 이차공덕
( 모 ) 영가
직지서방 환도인간 변득출가 작대법왕신
도일체중생
연후원
항사법계 무량불자 등
동유화장장엄해 동입보리대도량
상봉화엄불보살 항몽제불대광명
소멸무량중죄장 획득무량대지혜
돈성무상최정각 광도법계제중생
이보제불막대은 세세상행보살도
구경원성살반야 마하반야바라밀(반절)
우러러 고하나이다.
서방정토 극락세계에 계시오며
저희 모두의 스승이옵신 아미타부처님이시여
버림 없으신 자비로 밝으신 지혜를 드리워 주옵소서
지금까지 닦은 바 한량없는 공덕을
세 가지 목적으로 돌리오니 모두 원만히 이루어지이다.
이 공덕으로 ( )영가께 오선
바로 서방극락세계에 이르시고
다시 인간계에 돌아오사 곧 출가하시어
대법왕의 몸을 지으사
모든 중생을 제도하게 되어지이다.
연후에 다시 원하옵니다.
항하사의 모래만큼 많은 세계의 한량없는 불자들이
함께 연화장 세계 장엄의 바다에서 지내게 하시옵고
함께 깨달음의 큰 도량에 들어
항상 화엄세계의 불보살임을 만나 뵈어
언제나 모든 부처님의 위대한 광명을 입사와
한량없는 죄를 소멸케 하시옵고
한량없는 큰 지혜를 얻게 하사와
문득 더할 나위 없는 최상의 바른 깨달음을 이루고
널리 법계의 중생을 제도케 되어
모든 부처님의 막대한 은혜를 갚으며
어떤 세상을 만나든 항상 보살도를 행하여
마침내는 일체의 지혜를 원만히 이루어
큰 지혜로 저 언덕에 이르게 하여지이다.
19. 매장의식
하관편
하관(법주 요령)
신원적 (모령)
일체제중생 신심개여환 신상속사대
심성귀육진 사대체각리 수위화합자 대중차도 금일영가
향십마처거 일체불세계 유여허공화
삼세실평등 필경무래거 모령 환회독
차평등무래 거저일구마(양구)
기혹미연 퇴양일보 화니합수 갱청주각
기사인간 백세환신 엄귀지하 영년유택
체백안녕 장보자손 혼귀안양 자재우유
새로이 열반에 드신 (아무개) 영가이시여!
일체 모든 중생의 몸과 마음은 모두 환과 같나니
몸은 본래 지수화풍 사대에 소속된 것이고
각자의 마음은 육진에 귀속된 것입니다.
따라서 사대가 각각 흩어지면
누가 화합 당시의 주인공이겠습니까?
대중께서도 말씀해 보십시오
금일영가께서는 어디를 향해 가시는지를
모든 부처님의 세계는 허공의 꽃과 같고
과거 현재 미래도 모두 평등하여
마침내는 오고감이 없습니다.
( )영가시여
그러면 이 평등하여 오감이 없다는 일구를 아시겠습니까?
(잠시 있다가)
아직 혹시 그렇지 못하시면 한 걸음 양보하시어
골수 뇌 등이 진흙과 섞이고
침 눈물 고름 등이 물과 합하였나이다.
현실을 직시하시며 다시 제 말씀을 들어주십시오.
이미 영가께서는 인간으로서
긴 세월 지니셨던 거짓 몸을 버리셨고
문득 지하의 영원한 유택으로 돌아가셨습니다.
하오니 칠백을 편안히 하사 길이 자손을 보호하시고
삼혼은 안양국으로 돌아가시어 자재로이 노니소서
환귀본토진언(법주 요령)
옴 바지라 사다모(3번)
산좌송(바라지 목탁)
법신변만백억계 보방금색조인천
응물현형담저월 체원정좌보련대
법신은 백억 세계에 두루하시고 가득하사
널리 금색을 놓아 인천을 비추시네
중생에 응하사 모습을 나투심이 못 속의 달과 같으사
체는 원만하사 보련대에 정좌하시었도다.
매장이 진행되는 동안
반야심경 법성게 장엄염불 등을 지송한다.
마하반야바라밀다 심경(목탁)
(제 성중으로 하여금 제법의 실상을 깨닫게 하여 가행케 하려는 의식)
넓고 큰 지혜로 부처님의 세계에 도달케하는 진리의 말씀
관자재보살 행심반야 바라밀다시
관자재 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에
조견 오온개공도 일체고액 사리자
오온이 모두 공함을 비추어 보고
일체의 고뇌와 재액을 건넜느니라. 사리자여,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색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이 색과 다르지 아니하니,
색이 곧 공이요 공이 곧 색이며
수상행식 역부여시 사리자
수․상․행․식도 또한 되풀이하면 이와 같느니라. 사리자여,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이 제법의 공한 모습은 나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으며,
더럽지도 않고 깨끗하지도 않으며, 늘지도 않고 줄지도 않느니라.
시고 공중무색 무수상행식 무안이비설신의
이런 연고로 공 가운데에는 색도 없으며,
수․상․행․식도 없으며 안․이․비․설․신․의도 없으며,
무색성향미촉법 무안계 내지 무의식계
색․성․향․미․촉 법도 없으며, 안계도 없으며,
나아가 의식계 까지도 없고,
무무명 역무무명진 내지 무노사 역무노사진
무명도 없으며, 또 무명이 다함도 없으며
나아가 노사도 없으며, 또 노사가 다함도 없으며,
무고집멸도 무지역무득 이무소득고
고․집․멸․도 도 없으며, 지혜도 없으며 또 얻음도 없나니라.
얻을 바가 없는 까닭에
보리살타 의반야 바라밀다고
보리살타는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나니,
심무가애 무가애고 무유공포 원리전도몽상
고로 마음에 걸림이 없으며 걸림이 없는 연고로
두려움이 없으며 전도된 몽상을 멀리 여의어
구경열반 삼세제불 의반야바라밀다
마침내 열반하느니라.
삼세의 모든 부처님께서도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신
고득 아뇩다라삼먁삼보리 고지 반야바라밀다
연고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셨느니라. 그러므로 알지어다.
시대신주 시대명주 시무상주 시무등등주
더없이 밝은 주문이며 더없이 높은 주문이며
견줄 바 없는 주문으로 능히 일체의 고액을 없애주며
능제일체고 진실불허 고설 반야바라밀다주
진실되고 허망치 않느니라.
그러므로 반야바라밀다의 주문을 설하리라.
즉설주왈 곧 주문을 설하여 말하면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3번)니라
법성게(대중 요령 목탁)
(석존께서 깨치신 ‘화엄경’의 도리를 정리 찬탄한 게송)
법성원융무이상 모든것이 본래성품 원융하여 둘아니니
제법부동본래적 삼라만상 그대로가 본래부터 적멸이라.
무명무상절일체 이름없고 모양없어 헤아려선 알수없고
증지소지비여경 깨달아야 알바로서 달리알수 없는경계.
진성심심극미묘 참된성품 깊고깊어 지극히도 미묘한데
불수자성수연성 자기성품 안지키니 인연따라 천태만상
일중일체다중일 하나중에 전부있고 많은중에 하나있어
일즉일체다즉일 하나가곧 전부이고 많은그것 곧하나라.
일미진중함시방 한티끌속 가운데에 온우주를 머금었고
일체진중역여시 하나하나 티끌속도 살펴보니 그와같네.
무량원겁즉일념 한량없는 긴세월은 한생각에 바탕하니
일념즉시무량겁 지금갖는 한생각이 무량한겁 그대로다.
구세십세호상즉 구세십세 달리없어 서로서로 의지해도
잉불잡란격별성 엄한질서 유지하여 자기모습 따로있네.
초발심시변정각 처음발심 했을때가 다름아닌 정각이며
생사열반상공화 생사열반 두경계가 항상함께 화합하네.
이사명연무분별 理와事의 이치깊어 분별할길 없는것이
십불보현대인경 열분부처 보현보살 대성인의 경계로다.
능인해인삼매중 부처님의 깨침바다 크신삼매 가운데서
번출여의부사의 뜻한대로 쏟아지는 불가사의 진리의법.
우보익생만허공 보배비가 중생돕듯 저허공에 가득하여
중생수기득이익 중생들은 근기따라 이로움을 얻게되네.
시고행자환본제 이렇거니 수행자여 근본마음 돌아가세
파식망상필부득 망상심을 아니쉬곤 얻을것이 분명없네.
무연선교착여의 무연자비 선교방편 여의하게 어서얻어
귀가수분득자량 본분가에 돌아가서 수분수력 큰힘얻세.
이다라니무진보 다라니의 큰위신력 다함없는 보배로써
장엄법계실보전 온법계를 장엄하여 보배궁전 세우고서.
궁좌실제중도상 마지막엔 참된법인 중도상에 앉자보세
구래부동명위불 예전이나 지금이나 이를일러 부처라네.
장엄염불
평토제편
반혼착어(법주 요령)
(별도의 단에 자리한 영가에게 법어를 내리는 의식)
진명성체묘난측 월타추담계영한
금탁수성개각로 환구영탈좌영단
참되고 밝은 본성의 실체는 미묘하여 측량키 어려운데
달이 가을 못에 떨어지니 계수나무 그림자 차가웁네
요령을 몇 번 울려 성불의 길 여옵나니.
거짓 몸일랑 영원히 벗으시고 영단에 자리하소서.
향게(법주 요령)
아차일편향 생종일편심
원차향연하 훈발본진명
제가 올리는 이 한 조각 향은
일편단심으로부터 나온 것입니다.
원하옵건대 이 향연 아래서
훈하심에 진여의 밝음을 발하소서
다게(바라지 목탁)
(불법의 요체가 투영된 다를 영가제위에게 권하는 의식)
백초임중일미신 조주상권기천인 팽장석정강심수
원사 망령 헐고륜(반절)
원사 제령 헐고륜(반절)
원사 고혼 헐고륜(반절)
세상의 모든 맛 가운데 일미로 신선커니와
조주 스님도 항상 많은 사람에게 권하셨다네.
이 돌 솥에다 강 한가운데 물을 달였으니
원하옴은 망령으로 하여금 윤회를 쉼입니다.
원하옴은 제령으로 하여금 윤회를 쉼입니다.
원하옴은 고혼으로 하여금 윤회를 쉼입니다.
행보게(목탁)
(정토로 향할 것과 아미타불 알현할 마음 자세를 일깨워 주는 게송)
이행천리만허공 귀도정망도정방
삼업투성삼보례 성범동회법왕궁 (반절)
극락으로 가시는 길은 어디에든 있사오니
도에 돌아가 망정만 잊으시면 정방에 이릅니다.
삼업으로 정성을 다해 삼보께 예를 하시면
성현과 범부가 함께 법왕궁에 모이게 됩니다.
산화락(목탁)(꽃을 뿌리며 영가제위를 환송하는 의식)
산화락(3번) 꽃비가 내립니다.
귀의인로(인로왕보살님께서 정토로 이끌어주실 것을 부탁하는 의식)
나무 대성 인로왕보살(목탁)(3번)
위대한 성인이시며 길을 인도해 주시는 보살님께 귀의하옵니다.
법성게(대중 요령 목탁)
(석존께서 깨치신 ‘화엄경’의 도리를 정리 찬탄한 게송)
법성원융무이상 모든것이 본래성품 원융하여 둘아니니
제법부동본래적 삼라만상 그대로가 본래부터 적멸이라.
무명무상절일체 이름없고 모양없어 헤아려선 알수없고
증지소지비여경 깨달아야 알바로서 달리알수 없는경계.
진성심심극미묘 참된성품 깊고깊어 지극히도 미묘한데
불수자성수연성 자기성품 안지키니 인연따라 천태만상
일중일체다중일 하나중에 전부있고 많은중에 하나있어
일즉일체다즉일 하나가곧 전부이고 많은그것 곧하나라.
일미진중함시방 한티끌속 가운데에 온우주를 머금었고
일체진중역여시 하나하나 티끌속도 살펴보니 그와같네.
무량원겁즉일념 한량없는 긴세월은 한생각에 바탕하니
일념즉시무량겁 지금갖는 한생각이 무량한겁 그대로다.
구세십세호상즉 구세십세 달리없어 서로서로 의지해도
잉불잡란격별성 엄한질서 유지하여 자기모습 따로있네.
초발심시변정각 처음발심 했을때가 다름아닌 정각이며
생사열반상공화 생사열반 두경계가 항상함께 화합하네.
이사명연무분별 理와事의 이치깊어 분별할길 없는것이
십불보현대인경 열분부처 보현보살 대성인의 경계로다.
능인해인삼매중 부처님의 깨침바다 크신삼매 가운데서
번출여의부사의 뜻한대로 쏟아지는 불가사의 진리의법.
우보익생만허공 보배비가 중생돕듯 저허공에 가득하여
중생수기득이익 중생들은 근기따라 이로움을 얻게되네.
시고행자환본제 이렇거니 수행자여 근본마음 돌아가세
파식망상필부득 망상심을 아니쉬곤 얻을것이 분명없네.
무연선교착여의 무연자비 선교방편 여의하게 어서얻어
귀가수분득자량 본분가에 돌아가서 수분수력 큰힘얻세.
이다라니무진보 다라니의 큰위신력 다함없는 보배로써
장엄법계실보전 온법계를 장엄하여 보배궁전 세우고서.
궁좌실제중도상 마지막엔 참된법인 중도상에 앉자보세
구래부동명위불 예전이나 지금이나 이를일러 부처라네.
봉송편
평토제를 마치면 사찰로 돌아가 반혼재를 모시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반혼재를 모시는 경우에는 사찰로 돌아가 반혼재를 모시면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영가를 봉송하는 봉송의식으로 이어진다.
표백(법주 요령)(의식의 주제가 전송으로 바뀌었음을 알리는 의식)
금차종의 봉송재자 (모처)거주 (모인)복위
소천 (모인)영가
상래 시식풍경 염불공덕 이망연야 불리망연야
이망연즉 천당불찰 임성소요 불리망연즉
차청산승 말후일게
지금 매장의식을 마치고
전송하옵는 재자( )등이 엎드려
천도코자 하옵는( )영가시여!
지금까지 법식을 베풀고 경을 외우오며
염불하온 공덕으로
망령된 연을 여의셨습니까? 못 여의셨습니까?
망연을 여의셨으면 무고안온의 불세계에서
걱정없이 지내시고 망연을 여의지 못하셨거든
다시 이 산승이 끝으로 일러드리는 게송을 들으소서.
일월게(법주 합장)
(제법의 실체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지니도록 한 게송)
사대각리여몽중 육진심식본래공
욕식불조회광처 일락서산월출동
사대가 각각 흩어지니 꿈속에서의 일과 같고
여섯가지 경계와 마음작용도 본래 공허합니다.
불조께서 깨치신 도리를 아시고자 하십니까?
해는 서산에 지고 달은 동편에서 오른답니다.
염원문(대중 요령 목탁)
(제보살님의 비원으로 제영가의 바라밀을 발원하는 의식)
염 시방삼세 일체제불 제존보살마하살
마하반야바라밀
온누리에 항상 계옵신 한량없는 부처님과
거룩하신 모든 보살님의 가호를 생각하오니
금일 영가께서 크나큰 지혜로 저 언덕에 이르게 하옵소서.
원왕게(대중 요령 목탁)
(제영가의 왕생을 완료형으로 노래하여 왕생의 염원이 절실함을 나타낸게송)
원왕생원왕생 왕생극락견미타 획몽마정수기별
원왕생원왕생 원재미타회중좌 수집향화상공양
원왕생원왕생 왕생화장연화계 자타일시성불도
가지이다 태어나지이다 극락세계에
극락세계 왕생하여 아미타불 뵈옵고
이마를 어루만져주심에 기별 얻어지이다.
가지이다 태어나지이다 극락세계에
아미타불 설법하시는 그 자리에 동참하여
이 손으로 향화공양 올리게 되어지이다.
가지이다 태어나지이다 극락세계에
연꽃에 갈무려진 화장세계에 왕생하여
한 날 한 시 저희 모두 성불하여지이다.
소전진언(대중 요령 목탁)
(제영가의 의지처였던 전과 위패 및 모든 장엄를 소하는 진언)
옴 비로기제 사바하(3번)
봉송진언(대중 요령 목탁)
(정토를 향한 제영가의 출발이 원만하기를 발원하는 진언)
옴 바아라 사다 목차목(3번)
상품상생진언(대중 요령 목탁)
(제영가의 도착지가 최고의 극락이기를 염원하는 진언)
옴 마니다니 훔훔 바탁 사바하(3번)
계수게(대중 요령 목탁)
(아미타불을 친견하고 예를 올릴 수 있기를 발원한 게송)
처세간여허공 여련화불착수
심청정초어피 계수례무상존
세간속에 자리해도 걸림없는 허공같고
아름다운 저연꽃이 더러움에 물안들듯
청정하온 마음으로 저언덕에 건너나서
오체투지 머리숙여 부처님께 귀의하세.
진중문(대중 요령 목탁)
(제영가는 삼보님께 재자는 제영가에게 작별을 고하는 의식)
귀의불 귀의법 귀의승
귀의불 양족존
귀의법 이욕존
귀의승 중중존
귀의불경 귀의법경 귀의승경
선보운정 복유진중
불보님께 귀의하옵니다.
법보님께 귀의하옵니다.
승보님께 귀의하옵니다.
양족존이신 불보님께 귀의하옵니다.
이욕존이신 법보님께 귀의하옵니다.
중중존이신 승보님께 귀의하옵니다.
불보님께 귀의를 마쳤사옵고,
법보님께 귀의를 마쳤사옵고,
승보님께 귀의를 마치셨으니
청운의 꿈 펼치실 그 길 안녕히 가시옵소서
모쪼록 편안하시옵길 엎드려 비나이다.
보회향진언(대중 요령 목탁)
(자신과 모든 중생이 장차 왕생극락하여 성불하기를 발원하는 진언)
옴 삼마라 삼마라 미만나 사라마하
자거라바 훔(3번)
파성게(대중 요령 목탁)
(봉송을 마지막으로 긴요한 선구로 성불하기를 당부하는 게송)
화탕풍요천지괴 요요장재백운간
일성휘파금성벽 단향불전칠보산
불이 쓸어내고 바람이 흔들어 천지가 무너져도
고요히 오래토록 흰 구름 사이에 있도다.
한 번의 할로 금성철벽은 부서지리니
다만 부처님 전의 칠보산을 향하도록 하시오
고불게(대중 요령 목탁)
(봉송을 마치며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께 거듭 귀의를 표명하는 게송)
나무 환희장 마니보적불(절)
나무 원만장 보살마하살(절)
나무 회향장 보살마하살(절)
환희장 마니보적불께 귀의하옵니다.
원만장 보살님께 귀의하옵니다.
회향장 보살님께 귀의하옵니다.
다비작법순서
1. 천수경
2. 반야심경
3. 현왕불공
4. 사자단작법
5. 사성례
6. 영가수계
7. 염습
8. 성복제
9. 발인작법
10. 노제
11. 산신제
12. 미타단작법(상주 중단권공)
13. 다비(화장작법)
14. 산골
15. 매장의식(하관)
16. 평토제
17. 봉송
18. 상용영반
천수경 반야심경 아미타경 금강경 원각보안경
영가전에 광명진언 극락왕생하옵소서
장엄염불 왕생발원문
염불독경
입정
십념(목탁)(문법에 앞서 삼보를 염케하여 청법자의 마음을 청정히 함)
청정법신비로자나불 원만보신노사나불
천백억화신석가모니불 구품도사아미타불
당래하생미륵존불 시방삼세일체제불
시방삼세일체존법
대성문수사리보살 대행보현보살
대비관세음보살 대원본존지장보살
제존보살마하살 마하반야바라밀
청정한 진리를 몸으로 삼으신 비로자나부처님!
인행이 원만하사 성취하신 노사나부처님!
천백억의 몸으로 중생 제도하시는 서가모니부처님!
극락구품 건립하사 중생 제도하시는 아미타부처님!
미래세에 강림하사 중생 제도하옵실 미륵부처님!
시방삼세의 거룩하신 모든 부처님!
시방삼세에 존귀하신 모든 법보님!
지혜가 모범이신 문수보살님!
수행이 으뜸이신 보현보살님!
대자비로 돌보시는 관세음보살님!
큰 원의 주인공이신 지장보살님!
이렇듯 거룩하신 모든 보살님!
큰 지혜로 저 언덕에 이르게 하옵소서.
독경염불
신원적 ( )영가
어떤사람 평생동안 죄업지어도
임종시에 정신차려 염불하거나
설령참회 못하고서 죽었더러도
자손들이 일념으로 염불한다면
죄업은 소멸되고 극락에나니
금일대중 영가위해 무상묘법과
아미타불 크신성호 일컬으리니
영가여 일심염불 함께하시라.
개경게
위없이 높고깊은 미묘한법은
영원속에 만나기 어려웁지만
저는이제 듣고배워 간직하오며
부처님의 가르침을 깨치오리다.
개법장진언
옴 아라남 아라다(3번)
(상황에 따라 다음 경전이나 영가법문을 독송한다)
아미타경
금강경
원각보안장
영가시어
(독경이 끝나면 장엄염불 왕생발원을 한다.)
다비작법순서
1. 천수경
2. 반야심경
3. 현왕불공
4. 사자단작법
5. 사성례
6. 영가수계
7. 염습
8. 성복제
9. 발인작법
10. 노제
11. 산신제
12. 미타단작법(상주 중단권공)
13. 다비(화장작법)
14. 산골
15. 매장의식(하관)
16. 평토제
17. 봉송
18. 상용열반
염불독송
천수경
반야심경
심경
아미타경
금강경
원각보안경
영가시어
광명진언
극락왕생하옵소서
장엄염불
왕생발원문
茶毗作法解說(다비작법해설)
(1) 집전? 장사주승이 총괄하고 작법은 다비법사가 행한다.
오방번은 오방법사가, 무상번계는 무상계법사 등이 하도록 한다.
조건이 어려운 경우에는 법력을 갖춘 스님이 행하도록 한다.
주의할 것은 다비작법은
본래 승려의 입적을 전제로 거행하는 의식이며,
일반신도에 적용할 경우에는 수계를 전제로 하는 만큼
정상적인 경우라면 일반신도의 집전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2) 거행시점? 운명을 확인한 때를 시점으로 거행.
(3) 거행장소? 절의 경우에는 열반당, 병원, 거처하던 별처.
신도의 경우 수계를 전제로 신도의 자택이나 병원 등에서 거행한다.
(4) 무엇을 위해? 유체처리와 망자의 성불을 위해
석존께서 채택하신 의식이다.
★ 목욕편-입감편은 이적인 면에서 망자의 성불을 위해
★ 기감편은 성불의 주인공으로서 시방삼세의 삼보님과 미타삼존께 예를 올리고 이어 다비를 위한 제2의 장소인 사유소(다비소)로 유체를 옮기기 위해
★ 다비편은 회신멸지로서 완전히 성불을 위해
★ 봉송편은 무여열반의 도리를 확인하고 동시에 정적인면에서 대중과 연을 돈독하기 위해
★ 산골편은 지금까지의 의식 내용을 전제로 무처열반의 이치를 드러내기 위해 의식을 각각 거행한다.
(5) 거행하는 이유?
현실적으로는 망자의 유체를 처리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이고
종교적으로는 망자의 왕생극락 내지 성불과 해탈
즉 긍국적으로는 열반을 목적으로 거행하는 의식이다.
(6) 거행은 어떻게?
① 열반쇠를 울린다.
② 이어 한편에서는 마지와 함께 천수다라니,
금강탑다라니를 현왕단에 모시고 현왕불공을 거행한다.
③ 다른 한편에서는 사자단 작법을 거행한다.
④ 입적 직후 수시를 행하는데, 현왕불공 후 수시가 끝났으면
⑤ 탑다라니는 시신을 가린 병풍 중앙에 걸어 모시고,
천수다라니는 봉투에 들어 있는 그대로 망자의 머리맡이나
탑다라니 좌측에 모시고 “사성례”를 거행한다.
⑥ 망자가 신도나 속인이면 사성례 끝에 “수계작법”을 거행한다.
⑦ 때를 보아 “다비작법”을 정해진 절차에 따라 거행한다.
모셔온 천수다라니는 “목욕편” 말미에 고깔 형태로 접어 시신을 장엄하고,
금강탑다라니는 “감의” 뚜껑을 닫기 전에 시신을 덮듯 모신다.
⑧ 기타 독경이나 장엄염불은 정해진 의식을 거행할 때를 피해 시간이 허용하는 대로 행한다.
1. 現王佛供(현왕불공)
(1) 집전? 다비법사
(2) 거행시점? 병자의 운명직전이나 직후에 봉행
금강탑다라니와 천수다라니는
병자 사후에 필요한 것으로서 불공시기를 잃으면 안된다.
(3) 거행장소? 대웅전 현왕단 명부전 등
(지장보살이 계신 곳에서 한다),
여건이 안될 경우에는 대웅전 상단에서 거행한다.
(4) 무엇을 위해? 망자의 장례시 필요한
금강탑다라니와 천수다라니를 모셔가기 위함.
(5) 거행은 어떻게? 공양물과 함께 금강탑다라니와
천수다라니를 단에 올리고 일상불공과 같이
천수경에 이어 거불 등 권공의식을 거행함.
(6) 거행하는 이유? 병자가 운명하였음을 보현왕여래께 알리고 동시에 보현왕여래의 원력으로 금강탑다라니와 천수다라니를
법답게 모시기 위함.
지장보살 = 염라대왕 = 보현왕여래
2. 使者壇作法(사자단작법)
(1) 집전? 다비법사, 법력을 갖춘스님.
(2) 거행시점? 열반쇠⇒수세걷음⇒사자단작법 거행.
단 속가에서 초혼을 행한다면
위 세 가지 의식은 모두 초혼 뒤에 거행함.
(3) 거행장소? 망자의 시신이 안치된
가옥의 뜰 아래나, 대문밖에 단을 설치하고 행한다.
(4) 무엇을 위해? 권공의 일종으로 사직사자에게 올리는 공양이다.
(5) 거행은 어떻게? 사자단에 밥,짚신, 백지 등 3종의 공양
준비물을 네 몫씩 준비하고, 단 백지는 한 권으로도 족하다.
천수경⇒거불 등 권공의식을 거행한다.
※구 별 ※
승가-사직사자⇒ 네 몫(술과 돈 그리고 명태 등을 사용하지 않는다)
속가-사직사자⇒ 세 몫
사자밥상에는 饌(찬)을 놓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사자단에 사자위목을 붙여야 하며 작법이 끝나면
봉송진언 전에 소전진언을 지송하며 위목을 燒(소)한다.
奉請 四直使者神祇等衆
奉請 年直使者
奉請 月直空行使者
奉請 日直地行使者
奉請 時直琰魔使者 等衆
(6) 거행하는 이유? 사자의 명칭은
모두 세월의 단위이며, 동시에 무상을 의미한다.
망자가 명부를 가는데는 이들의 안내가 있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급기야는 신앙적 개념으로 전환된 것이라 하겠다.
또 이들 사자에게 飯(반)과 錢(전)을 공급하는 것은
죽음에 대한 거부감 내지 저항적 자세에서 죽음을 인정하고
죽음에 순응함으로서 오히려 적극적으로 대처하려는 마음의 표현이라고 하겠다.
(7) 전거?
해다비⇒ 4장 소수 “사자단작법” 모범
석문의범⇒ 생전예수 “소청사자편”를 참고
“사자단작법“은 普和應同的(보화응동적) 입장에서
불교의 無常觀(무상관)을 재래신앙에 접합시켜 열반의 端緖(단서)로 삼으려 의식화한 것이다.
※ 십왕경 ※
성도부자사 장천이 지음
지옥의 고뇌를 면하기 위하여 생전에 제공할 것을 권한 책
* 중국 우리-예수십왕생칠경
* 일본- 불설지장보살발심인연십왕경
3. 四聖禮(사성례)
사성례란 아미타불과 관음 세지 양대보살 그리고 미타회상에
상주하시는 보살님들을 친견하고 이를 인연으로 윤회의 세계인 사바에 돌아오지 않으며 장차 성불하려는 염불행자의 간결한
원이 담긴 예경의식 이다.
(1) 집전? 다비법사의 집전으로 거행
상주를 위시한 권속과 조객은 모두 참석한다.
상주는 연향게를 모실 때 봉향한다.
(2) 거행시점? 빈소가 마련되면 현왕불공 후 모신 금강탑다라니와 천수다라니를 정해진 자리에 모시고 거행한다.
사성례에서 소례는? 아미타불과 관세음 대세지 대해중보살 등
극락사성이다.
(3) 준비와 진행은? 금강탑다라니와 천수다라니를 정해진 자리에 모시고 영정이나 위패는 한단 낮은 곳에 단을 마련하거나 바닥에 내려 모시는데 이때 다라니를 향하도록 모신다.
(4) 거행하는 이유? 선도의 임종방결 “임종자가 왕생하고자 하는 불국토가 있으면 그 나라 주인이신 부처님의 명호를 일념으로 염송해야한다.
그러하면 임종시에 그 불국토로부터 화불과 보살중이 묘향화를 지니고 임종자를 맞이하러 오며 이를 본 임종자는 환희심을
일으켜 마치 선정에 들 듯 임종한다.
이 땅에 대다수 불자들은 서방정토 극락세계와 아미타부처님을 신앙하고 있다.
망자나 설판재자가 신앙하고 있는 극락사성을 청해 모시고
망자의 왕생극락 발원코자
다비작법의 도입부분에서 거행하는 것이다.
4. 靈駕受械(영가수계)
(1) 집전? 다비법사가 행한다.
(2) 거행시점? 목욕편을 거행하기 전에 한다.
병자의 운명 직전에 거행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창혼, 반혼착어, 진령게를 생략한다.
운명 직후 사자단작법 직전에 거행해도 된다.
저승사자도 계를 받은 사람은 정중히 대한다고 하기 때문이다.
(3) 거행장소? 병자가 거쳐하고 있는 곳, 빈소에서 거행한다.
(4) 무엇을 위해? 승려가 아닌 일반신도나 속인에게 베푸는 의식이다.
(5) 거행은 어떻게? 상황과 장소에 맞게 계단을 설치하고 천수경부터 위에서 소개한 절차에 준해 거행한다.
마지는 진언진공 직전에 올린다.
(6) 거행하는 이유? 다비작법은 수계한 승려를 대상으로 하는
작법인데 망지로 하여금 승려와 같은 수준에서 다비작법에
임하게 하기 위함이다.
의식집인 “작법귀감, 석문의범 ”등재된 다비작법이나 다비문에 망자를 대상으로 하는 수계에 대해 이렇다할 언급이 없다.
해다비 말미에 속인 화장시 참회식이 보인다.
수계를 전제로한 작법으로서 본 참회식에 준하여 수계자인
일반 신도나 속인에게 계를 수여한다면
현행 다비작법의 내용을 그대로 적용 할 근거가 된다.
(7) 신작불명 모인 영가에서 불명은 어떻게 짓나?
그리고 이 때 불명의 종류는?
불명은 다비법사가 망인의 성품을 보아 알맞게 짓는다.
불명에는 승명 보살명 거사 등이 있는데
망인이 여자이면 보살명, 남자이면 거사명으로한다.
축원이나 위패에는
남자의 경우( )생(본관 성)씨 ○ ○ 영가(거사-두자)
여자의 경우( )생(본관 성)씨 ◇ ◇ ◇ 영가(보살-세자)
이름만 불명으로 바꾼다.
결론적으로 이름만 불명으로 바꾼 것이다.
그러나 위의 예는 영산재 보존회의 예를 든 것이고 사찰마다
가풍은 인정된다.
4. 殮襲(염습)
(1) 木浴篇(목욕편)
① 削髮(삭발): 무명을 제거하는 것으로 내심을 청정히 하는 것.
② 沐浴(목욕): 내심 뿐 아니라 외경까지도 청정히 하는 것
③ 洗手(세수): 삭발과 목욕을 전제로 진리를 얻게 되었음을 의미.
④ 洗足(세족):보살로서 제10지인 법운지에 이르렀음을 보이는 것이 다.
⑤ 着裙(착군): 목욕 후 의관을 갖추는 순서 가운데 첫 번째이니
내의를 입는 것으로 2차적 행위의 출발을 가르킨 다. 내용을 보면 부끄러운 부분을 가리는 참괴심 즉 중생심을 거부함으로서 등각 위에 오르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⑥ 着衣(착의): 의란 부드럽고 성내지 않는 마음가짐을 비유한 것.
⑦ 着冠(착관): 수능엄 삼매를 얻었음을 상징하는 것이다.
외경과 내심이 함께 고요해짐에 따른 결과이다.
⑧ 正坐(정좌): 자기 주체성의 확립을 의미하는 것.
보살 수행의 제51위인 등각위에 이르렀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2) 入龕篇(입감편)
입감의 시기는 목욕편이 완료된 시점과 관계없이 입감법에 의해 행한다.
목욕편은 보살수행 계위 가운데 십지와 등각위에 해당.
입감편은 묘각위에 해당되는데 묘각은 구경각이니 곧 불의 대각위에 해당된다.
龕(감)이란? 부처님의 지위를 가르키는 것임.
불의 지위에 오름을 의미한다.
작법을 통해서 시신을 관에 모시는 일을 선종에서는 부처님을 감에 모시는 것과 동일시한다.
일본에서는 망자를 “호도께” 즉 부처라고 부르는데
한국의 다비문과 같은 절차를 이해하지 않고서는 이해할 수 없다.
지금까지의 의식에 있어서 제3자의 입장이었던 대중을
법어의 서두에서 “신원적 모령” 대신 “대중차도”라 하여
법어의 대상을 삼고 있다는 것이다.
시식은 입감을 마친 후에 성복제를 겸해서 거행한다.
성복제는 초상이 나서 처음으로 상복을 입을 때에 차리는 제사를 말한다.
승가에서는 특별히 성복제라 할 의식이 없으나 상장을 부착하는 시기로 참고하면 되겠다.
(3) 起龕篇(기감편)
발인에 따른 절차로서 빈소에 안치된 감을 사유소 까지 옮겨 모시는 일련의 법요를 말하며,
事的人面(사적인면)에서는 감을 사유소로 옮겨 모시기에 앞서 극락사성께 다시 한번 왕생극락을 발원하고 지금까지 수행처 였고 의지쳐였던 본사 삼보님께 하직 인사를 올린 후에 지인들의 전송을 받으며 사유소로 향하는 것이다.
理的人面(이적인면)에서는 목욕에서부터 입감을 거치며 묘각위에 이른 영가가 성류에 든 신입생으로서 극락사성과 제불께 예를 올리는 것으로 지인들의 축하를 받으며 완전 열반 즉 업신을 사르어 무여열반에 이르기 위한 나머지 불사로서 사유소에 이르는 일련의 절차가 기감편 이다.
5. 成服祭(성복제)
성복제란 상주가 제사 지내기 전 상복을 입는 의식을 말한다.
스님의 장의 일 때는 입감 뒤에 바로 시식을 하며,
재가불자의 장의일 때는 입관한 뒤 상주가 상복을 입고
의식 순에 따라 제사를 지낸다.
6. 發靷作法(발인작법)
발인 준비가 다되어 운구하러 할 때에 관 앞에서 거행함.
혹 병원 영안실에서 출상할 때는 영결식순에 따라 진행하거나
영결식이 없으면 발인으로 끝맺는다.
7. 路祭(노제)
노제는 견전제라고도 하는데,
발인시 문 앞에서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다비의식의 경우 본당을 출발한 장의행렬은 곧 사찰 입구에 이르게 되는데 그곳에는 망자의 제자와 도반 내지 지인이 모여 있다. 이들은 망인과의 영결에 앞서 석별의 정을 나누고 이승에서 맺은 정을 돈독히 하고자 음식을 장만하고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즉, 이 때 지내는 제사를 망자를 떠나보내며 길에서 지내는 제사라 하여 “노제”라고 부르는 것이다.
8. 山神齋(산신재)
불교의 산신에 대한 개념?
신중신앙의 시원인 “화엄경” 초기 화엄신장의 수는 39위로
한정되어있는데 이 가운데 제33위에 산신이 자리하고 있다.
(1) 집전? 법주와 바라지 1인
(2) 거행시점? 감을 다비소에 안치한 직후 산신재를 먼저 거행한다. 산신재를 시작하면 곧 미타단작법을 거행한다.
이는 국내의 주인에게 먼저고하는 의미이다.
(3) 거행장소? 다비소가 마련 된 곳부터 주봉쪽으로 200보쯤
올라가 적당한 곳에 단을 설치하고 거행
100미터 떨어진 곳에 설치하는 미타단과 차별하기 위함이니
선택은 가감
(4) 무엇을 위해? 장사를 모시는 산의 주인이신 산신에게 공양을 올리기 위함
(5) 거행은 어떻게? 향 초 공양물을 단에 올리고 천수경부터
거불등(권공의식),중단권공에 준하여 약례로 모시는 경우가 많다.
(6) 거행하는 이유? 산신에게 공양을 올려 금일장사가 원만히
회향될 수 있도록 부탁을 드리고자 하는 것이다.
9. 彌陀壇作法(미타단작법)(상주 중단권공)
현왕불공과 사자단작법은 망자를 위한 의식이다
그러나 궁극적 목적은 망자로 하여금 극락왕생하여 아미타불을 뵙고 성불의 길로 나아가게 함이니
다비에 앞서 아미타불을 소례로 올리는 권공의식이 미타단작법 이다.
(1) 집전? 다비법사와 바라지
(2) 거행시점? 다비소에 도착한 직후 마련된 장소에서 봉행한다. 이 때 다른 한편에서는 산신재를 지낸다.
즉 거화 전에 거행하는 것이 마땅하다.
(3) 거행장소? 다비소에서 서쪽으로 약 100보쯤 떨어진 곳에
미타단을 설치하고 거행 여건이 갖추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미타국토가 자리한 서쪽을 향하여 거행하면 된다.
(4) 무엇을 위해? 미타회상의 주인공이신 아미타불과 오보세계의 제여래 내지 관음 세지 양대 보살님을 소례로 공양을 올리기
위함이다.
(5) 거행은 어떻게? 미타단 중앙에는 원불 탱화를 걸어모신다. 한층 낮추어 影子(영자)와 銘旌(명정)을 세워 봉안한다.
단 앞에는 향 초 꽃 제물 등을 배설한다.
갖추어 봉행하는 경우에는 종 다섯 망치 올리고 요잡 바라를 행한다. 종이 없을 시 태징으로 운집쇠를 울리면 된다.
그런 연후에 상주권공의 순서에 준하여 거행한다.
약례로 모실 경우에는 천수경부터 거불 등 권공의식을 거행한다.
(6) 거행하는 이유? 장차 다비를 거행함을 아미타불게 고하고
동시에 아미타불의 원력으로 본 다비의식이 원만히 회향되고
영가의 왕생이 성취되기를 발원하기 위함이다.
영단 미타단 중단 서쪽
↑100보 북쪽
적신대 -- > 산신단 동쪽
150-200보
다비소 배치도
中壇勸供(중단권공)
(1) 집전? 다비법사와 바라지
(2) 거행시점? 다비소에서 거행한 미타단작법 완료 후 마련한 장소에서 봉행한다.
(3) 거행장소? 미타단을 바라보는 입장에서 우측에 단을 설치하고 신중위묵을 모신다. 설치 여건이 원만치 않는 경우에는 방향만이라도 정하여 거행한다.
신중 위묵의 내용
(좌측) 南無 忉利會上 聖賢衆
(중앙) 南無 金剛會上 佛菩薩
(우측) 南無 擁護會上 靈祇等衆
(4) 무엇을 위해? 삼보를 옹호하시는 성중 즉 화업성중을 소례로 공양을 올리기 위함이다.
(5) 거행은 어떻게? 미타단 우측에 마련한 신중단에 신중위묵을 모셨으면 단 앞에는 향 초 꽃 제물 등을 진설한다.
일반적으로 거행하는 중단권공에 준하여 거행한다.
(6) 거행하는 이유? 장차 다비를 거행함을 신중제위께 고하고
동시에 사미외도 등의 침노를 막아 본 다비의식이 원만히 회향 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를 발원하기 위함이다.
10. 茶毘(火葬)作法(다비(화장)작법)
시신의 처리 방법의 일환으로 불교에서 채택한 화장으로 장사를 거행하는 일련의 법요를 말한다.
오방 불청이란 금일 영가의 왕생에 크게 도움을 주실 다섯 방위의 부처님을 정단으로 모셔 공양하기 위한 법요의식이다.
(1) 擧火(거화)? 다비를 위해 마련한 장작더미에 불을 붙일 때 긴 막대가 달린 횃불이 필요한데 이 홰에 불을 붙이는 의식이 거화이다.
(2) 下火(하화)? 거화에 의해 마련된 횃불로 다비를 위해 마련한 장작더미에 불을 붙이는 의식을 말한다.
11. 奉送扁(봉송편)
금일 다비를 계기로 극락왕생 내지 열반에 드실 영가를 전송하는 일련의 의식이다.
봉송은 지금까지 거행한 작법절차에 따라 묘각위에 이르렀고
이미 유체를 떠나 열반으로 향하려는 영가를 전송하는 의식이다.
(1) 표백은 제문을 읽고 다를 올리며 이로서 영가천도를 위한 일련의 다비의식이 영가를 봉송함으로서 일단 마무리 되었음을 내외에 알리는 의식이다.
봉송이 끝나면 일반 대중은 각자의 처소로 돌아간다.
(2) 창의를 행하는 장소는 사유소가 아닌 사찰이며 의미는 망자가 생전에 소유하였던 도구 즉 의발자구 등을 경매에 붙이는 의식이다.
(3) 시식은 사찰로 돌아와 영가에게 다과 등 제물을 오리며 시식을 베푸는 의식이다. 이 때 거행하는 제를 반혼제라고 한다.
속가에서는 죽은 사람의 혼을 짐으로 불러들일 때 지내는 제사를 “빈혼제”
불가에서는 생전에 수행정진하던 도량으로 영가를 불러 안좌케 하는 제사를 말한다.
이 때 거행하는 시식은 “관음시식, 화업시식”이다
시식이전에 권공의식을 거행해야 하는데 이 때는 상주권공을 참조한다.
11. 散骨(산골)
다다비를 마친 후 남은 遺體(유체)를 收拾(수습)하여 처리하는 一連(일련)의 法要(법요)를 말한다.
(1) 拾骨(습골)은 타고남은 遺骨(유골)을 木筯(목저)로 집어 준비한 자루에 모아 담는 행위
(2) 起骨(기골)은 拾骨(습골)에 의해 수습된 遺骨(유골)을 제2의 장소 예컨대 두 번째 다비를 위한 山頂(산정)이나 碎骨(쇄골)이나 安置(안치)를 위한 장소로 移運(이운)하는 의식이다.
(3) 碎骨(쇄골)은 收拾(수습)하여 옮겨온 遺骨(유골)을 “散骨(산골)”을 위해 분쇄하는 의식이다.
(4) 散骨(산골)은 쇄골에 의해 기존의 모습이 없어지고 粉末(분말)의 상태가 된 유골을 분말상태 그대로 연못이나 강가 혹은 산등에 뿌리는 儀式(의식)이다.
※拾骨(습골)과 起骨(기골)의 順序(순서)이다.
拾骨(습골)은 下火(하화)로부터 3일째 되는 날 거행한다.
碎骨(쇄골)은 중국 일본은 없다.
散骨(산골)을 뿌릴 경우에는 동 -> 남 -> 서 -> 북 -> 중방 순서로 한다.
환귀본토진언 -> 산좌송 -> 법신게로써 마친다.
12. 埋葬儀式(매장의식)
下棺(하관)
埋葬(매장)이 진행되는 동안 “반야심경, 법성게, 장엄염불” 등을 지송한다. 그러나 매장이 민족전래의 葬禮法(장례법)인 만큼
亡者(망자)의 家門(가문)에 別途(별도)의 儀式(의식)이 있으면
다비법사는 산좌송을 끝으로 平土祭(평토제)를 거행할 때까지 쉰다.
13. 奉送(봉송)
平土祭(평토제)를 마치면 사찰로 돌아가
返魂齋(반혼재)를 모시는 경우와 그렇지 않는 경우가 있다.
返魂齋(반혼재)를 모시는 경우에는
사찰로 돌아가 반혼재를 모시면 되고,
返魂齋(반혼재)를 모시지 않는 경우에는
靈駕(영가)를 奉送(봉송)하는 의식으로 이어진다.
한 가지 유념할 것은 본 儀式(의식)을 거행하는 장소에 관한 것으로 故人(고인)의 遺品(유품)이나 喪中(상중)에 사용하던 물건
가운데 燒(소)하는 燒臺(소대)로 자리로 옮겨 擧行(거행)한다는 점이다.
소전진언을 지송할 때 행한다.